d라이브러리











어떤 눈이 예쁜 눈이라고 생각하나요? 쌍꺼풀이 진한 눈? 쌍꺼풀이 없는 반달눈? 눈동자가 빛나는 눈? 속눈썹이 짙은 눈? 사람마다 예쁜 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다르겠지만 아무리 예쁜 생김새의 눈이라고 해도 건강하지 않다면 아무 소용없을 거예요. 초롱초롱 건강한 눈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에서 알려 드립니다!

나의 눈이 궁금해!

눈은 마음의 거울이라고 합니다. 눈을 통해 마음을 볼 수 있다는 말이지요. 자, 우리는 거울을 통해 눈을 봅시다. 거울 속의 눈과 주변의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나요? 눈이 붉거나 고름 같은 눈곱이 많지는 않나
요? 가렵거나 속눈썹이 눈을 찌르는 느낌이 있지는 않나요? 눈이 건조하거나 혹은 눈물이 심하게 흐르나요? 이런 증상들이 있다면 눈이 아파하고 있는 것이랍니다. 빨리 병원에 가 봐야해요. 눈이 아픈 친구들은 어서 병원으로 가고 눈이 건강한 친구들은 이제 눈의 속 모양을 보아요. 어떻게 보냐구요? 아래를 보세요. 눈의 속 모양을 그림으로 보여 줄게요.

눈 들여다보기

거울로 보면 눈의 앞부분만 볼 수 있고 나머지는 얼굴 속에 가려져 있어요. 눈의 속 모양은 카메라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눈을 깜빡일 때마다 찰칵찰칵 사진을 찍는 것과 같답니다. 카메라의 조리개에 해당하는 홍채는 그 크기가 변하면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합니다. 홍채의 가운데에는 빛이 들어오는 구멍인 동공이 있지요. 그 아래에는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가 모양체의 근육으로 변하면서 물체의 상이 어디에 맺히게 할지 조절해요. 수정체를 지난 빛은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에 맺히고 시신경이 이를 인지해 사물을 보게 되는 것이랍니다.

눈이 나빠졌어요!

초점이 정확하게 맞지 않은 사진은 흐릿하게 보여요.‘눈이 나쁘다’는 것은 이처럼 눈이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것을 말해요.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하니까 흐릿하게 보이는 거지요. 이러한 증세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있답니다. 근시, 원시, 난시가 무엇인지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근시

초등 학생인 친구들에게 가장 흔한 것은 근시예요. 근시는 수정체를 통과한 빛이 망막 앞부분에 맺히는 것을 말합니다. 근시인 경우 가까운 곳의 물체는 선명하게 보이지만 먼 곳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원시

원시는 근시와 반대로 빛이 망막 뒤에 맺히는 것입니다. 보이는 것도 근시와 반대로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지만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요.
 

난시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일정하지 않아 초점이 두 개 혹은 더 많이 생겨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증세를 말합니다. 난시는 근시나 원시와 함께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나쁜 눈, 좋은 눈 만들기

눈이 나빠져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교정을 통해 눈이 잘 보이도록 만들어야해요. 근시는오목렌즈를이용한 안경으로, 원시는 볼록렌즈를 이용한 안경으로 교정하는 것이랍니다. 안경 외에도 소프트렌즈
나 하드렌즈, 드림렌즈,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수술 방법이 있지요. 각 교정 방법의 장단점에 대해 낱낱이 알려 드릴게요.

안경

안경은 불편하고 보기에도 예쁘지 않지만 가장 안전한 교정 방법이에요. 성장기의 친구들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가장 좋은 교정 방법이랍니다. 최근에는 깨지거나 부러지지 않고 가벼운 예쁜 안경도 많답니다.

드림렌즈

자는 동안 끼는 렌즈로 밤 동안 각막을 눌러 줘 낮에는 렌즈나 안경 없이도 잘 보이도록 교정해 주는 렌즈입니다. 드림렌즈는 눈의 표면을 직접 덮어 관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근시 중 눈이 너무 나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렌즈나 하드렌즈

소프트렌즈나 하드렌즈는 안경의 불편함은 없지만 눈의 표면을 직접 덮는 방식이기 때문에 위생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눈을 피곤하게 만든다는 단점이 있어요. 특히 외모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 서클렌즈는 다른 렌즈보다 두껍고 색소도 첨가돼 있어 눈을 더 피곤하게 만든답니다.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수술법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수술은 각막을 깎아 내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으며 성장기의 어린이들은 수술이 불가능합니다. 어른이 되어 눈의 성장이 멈춘 후에나 수술이 가능합니다.

너희는 안경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

가장 널리 이용되는 시력 교정방법인 안경. 하지만 안경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사실들이 많아요. 안경에 대한 오해를 풀어 드립니다. 안경 제대로 알자구요!

① 내 시력은 마이너스?

보통 보눈이 많이 나쁜 경우‘내 시력은 마이너스 얼마야’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랍니다. 시력검사표를 보면 가장 큰 글씨가 겨우 보이는 경우 0.1, 가장 작은 글씨가 보인다면 시력은 2.0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글씨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마이너스의 시력이 되는 것이 아니랍니다. 0.1이 안 되는 시력은 다시 0.09~0.01로 나타냅니다. 시력이 0인 것은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마이너스 얼마라는 것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이것은 시력을 교정하는 데 필요한 렌즈의 수치를 말하는 것으로 디옵터라는 단위로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면 0.1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3.00 디옵터의 렌즈를 사용한다는 표현인 것이죠. -3.00의 시력을 말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② 안경, 쓰면 눈이 더 나빠진다?

안경을 쓴다고 해서 눈이 더 나빠지지는 않아요. 자라면서 근시는 점점 심해지기 때문에 눈이 나빠지는 것이지 안경때문이 아니랍니다. 반대로 눈이 나쁜데 안경을 안 쓰면 더 나빠진다는 얘기도 있지요? 이것 역시 안경을 안 써서 눈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근시가 심해지기 때문이랍니다. 안경을 쓰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아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공부에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눈이 나쁠 때는 꼭 시력 교정을 받아야 합니다.

③ 썼다 벗었다 하면 눈이 나빠진다?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한다고 눈이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근시의 경우 잘 보이는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안경을 벗고 잘 안 보이는 먼 곳을 볼 때만 안경을 써도 된답니다.

④ 안경을 쓰면 눈이 튀어나온다?

이것 또한 오해랍니다. 안경을 쓴다고 해서 눈이 튀어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근시가 심해지면서 눈알이 앞뒤로 길어지는 것이랍니다.

건강한 눈 프로젝트

건강한 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눈이 좋은 친구는 눈이 나빠지지 않도록, 안경을 쓴 친구는 눈이 더욱 나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을 좋은사람들 성모안과 박성진 원장님이 알려 드립니다. 건강하고 맑은 눈을 갖고 싶다면 귀를 기울여 보세요.

초기 검진이 중요!

한 쪽 눈만 나쁜 경우에는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알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만 4~5세 때 눈이 나쁘지 않더라도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나쁜 시력을 교정하지 않으면 약시가 될 수 있어요. 약시는 눈에 초점이 잘 맞지 않은 상태로 오래 있다 보니 교정을 통해 초점이 잘 맞게 해 주어도 눈이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약시는 만 7~9세까지는 치료가 가능하므로 아직 시력 검사를 해 보지 않았다면 꼭 해 보도록 하세요.

멀리 보자!

가장 흔한 근시의 경우 가까운 물체를 오래 보기 때문에 생긴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습니다. 30~40분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했다면 10분은 눈을 쉬도록 해 주세요. 이 때 5m 이상 멀리 떨어진 물체를 보는 것이 좋아요. 그냥 먼 산이나 먼 하늘을 바라보는 것보다 한 가지 물체를 집중해서 보는 것이 좋습니다. TV를 볼 때도 3m 이상 떨어져 보도록 하세요. 책이나 컴퓨터를 볼 때의 밝기와 자세도 중요합니다. 너무 어둡거나 밝은 곳에서 보지 말고 엎드리거나 누워서 보는 것은 좋지 않답니다.

골고루 먹자!

편식으로 인해 영양이 부족하면 시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눈에 좋은 비타민이 많은 야채나 과일, 단백질이 많은 콩이나 두부와 생선, 무기질이 풍부한 호두와 잣등 모든 식품을 골고루 먹도록 하세요.

눈을 비비지 말자!

알레르기가 있거나 속눈썹이 눈을 찌를 때,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 때도 눈이 간지러울 수 있어요. 이 때 눈을 비비지 말아야 합니다. 눈을 비비면 각막에 상처를 주고 자주 오랜 기간 동안 눈을 비비면 난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눈이 간지러울 때에는 얼음으로 눈 주위를 차갑게 하면 간지러움이 덜해집니다. 자주 눈이 가렵다면 꼭 병원으로 가세요.

손을 깨끗이 씻자!

손을 통해 눈병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한 눈을 위해 항상 눈을 깨끗이 씻도록 하세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6년 1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현수랑 기자
  • 도움

    박성진 원장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