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이 일어날 때 방출되는 탄성에너지는 상용로그로 표현한 리히터규모로 나타낸다.
2007년 1월 20일 오후 8시 56분 강원도 평창에서 리히터규모 4.8의 강진이 발생했다. 지진이 날 때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리히터규모’는 무슨 뜻일까?리히터규모는 1935년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만들었다.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탄성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리히터는 미국 남부...(계속)
글 : 김흥규 서울 광신고 heung13@unitel.co.kr
과학동아 2007년 03호
과학동아 2007년 0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