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밥맛 비결은 땀 배인 주물기술

신라 성덕왕때 승려3천명의 식사를 책임졌던 보은 법주사 철확.신라 성덕왕때 승려3천명의 식사를 책임졌던 보은 법주사 철확.

예로부터 선조들은 밥을 단순히 생명유지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밥이 보약’이란 말도 여기서 왔을까. 상차림이 부실해도 맛깔스런 밥 한사발이면 족하다란 표현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우리네 입맛이 밥맛 하나에 이토록 민감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손맛이 반찬맛을 좌우한다면 밥맛을 결정짓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물론 벼의 품종도 밥맛을 좌...(계속)

글 :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과 과학기술사연구실 yh-yun@hanmail.net
글 :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과 과학기술사연구실

과학동아 2004년 04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4년 04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