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흡혈박쥐가 피를 나눠먹는 이유

(그림) 집단선택론의 모형(그림) 집단선택론의 모형

어젯밤 칠레산 와인의 향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다윈의 식탁 둘째 날이 밝았다. 오늘은 “이타적인 행동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열띤 토론이 전개될 것이다. 이 쟁점은 좀더 전문적으로는 “자연선택이 어떤 수준에서 작용하는가?”라는 물음이 될 수 있다. ‘이기적 유전자’(19...(계속)

글 : 장대익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daeik@chollian.net

과학동아 2003년 10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3년 10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