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저온생물학과 나노기술로 실현되는 불멸의 꿈

박쥐같은 동면동물은 뇌에서 엔케팔린이라는 호르몬 을 분비해 저온에서도 살 수 있게 생리현상을 조절 한다.박쥐같은 동면동물은 뇌에서 엔케팔린이라는 호르몬 을 분비해 저온에서도 살 수 있게 생리현상을 조절 한다.

저온생물학에서는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따라 스스로 체온을 3℃까지 낮춰 겨울잠을 잔다. 가령 박쥐는 초가을이 되면 겨울...(계속)

글 :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

과학동아 2003년 08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3년 08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