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윷놀이에서 모가 나오기 어려운 이유

(그림1)연이 뜨는 원리^바람이 연의 윗면과 아랫면을 동시에 지날 때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윗면을 흐르는 바람의 속도가 빨라진다.이때 뒷면 부위의 압력이 아랫면에 비해 떨어져 연이 위로 올라간다(양력).(그림1)연이 뜨는 원리^바람이 연의 윗면과 아랫면을 동시에 지날 때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윗면을 흐르는 바람의 속도가 빨라진다.이때 뒷면 부위의 압력이 아랫면에 비해 떨어져 연이 위로 올라간다(양력).

설날 즈음 가족들이 모여 윷놀이며 연날리기,팽이치기를 즐기는 모습이 흔하다.그런데 우리의 전통 놀이 속에 흥미진진한 과학이 숨어있다.원리를 알고 놀이에 빠져들면 즐거움이 한층 더할 것이다.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다양한 놀이문화를 통해 힘든 일에서 벗어나 즐거운 여가시간을 보냈다. 온통 텔레비전과 컴퓨터 모니터에만 빠져 있는 현대인에 비해 옛사람들은 야외와 실...(계속)

글 : 이영완 한국과학문화재단
이미지 출처 : 동아일보 조사연구팀

과학동아 2000년 02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0년 02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