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슨산천문대에 방문해 망원경을 보는 아인슈타인. 가운데 있는 사람은 허블이다.
천문학의 중심은 관측에 있다. 우주론 역시 관측된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런데 관측우주론에는 여러 가지 딜레마가 있다. 우주는 지금 팽창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팽창할지 알 수가 없으며, 우주의 나이보다 그 안에 생성된 구상성단의 나이가 많은 경우도 있다. 왜 그럴까.우주론은 우주의 구조를 파악하고 우주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그 역사가 매우...(계속)
글 : 이명균 서울대 천문학과
과학동아 1999년 04호
과학동아 1999년 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