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8번째 시조새 화석

새의 직계조상일 가능성 커

다른 시조새보다 날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춘 다른 시조새보다 날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춘

새의 조상은 누구일까. 일반적으로 알려진 설명은 절반은 새이고 절반은 파충류인 ‘시조새’에서 진화했다는 것. 이 관점은 1861년 독일 바바리아 지역에서 시조새 화석이 발견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최근 이전까지 발견된 화석(7개)보다 새의 ‘직계’ 조상에 가까운 새로운 화석이 발견됐다.중국 ‘과...(계속)

글 : 동아일보사 편집부

과학동아 1996년 10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96년 10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