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

지문 식별 과정^①지문의 요철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양이 다르다. 이를 수치화한다. ②지문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대략적인 구별이 가능하다. ③지문의 중심점을 결정한다. ④중심점을 기준을 좌표축을 묘사하고, 각 틍징점의 자표를 측정한다. ⑤지문 좌표축 위의 위치를 수치 데이터로 바꾼다. ⑥보관된 데이터와 입력데이터를 조사하여 합친다.지문 식별 과정^①지문의 요철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양이 다르다. 이를 수치화한다. ②지문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대략적인 구별이 가능하다. ③지문의 중심점을 결정한다. ④중심점을 기준을 좌표축을 묘사하고, 각 틍징점의 자표를 측정한다. ⑤지문 좌표축 위의 위치를 수치 데이터로 바꾼다. ⑥보관된 데이터와 입력데이터를 조사하여 합친다.

사람마다 독특성을 지닌 얼굴이나 목소리, 지문, 눈의 망막과 홍채, 손 등과 같은 생물학적 특징은 행동특성과 함께 '내가 누구인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들 특성을 자동화한 이른바 '생체 측정학'에 관한 연구가 한창 진행중인데, 이 기술이 지금보다 한층 고도화된다면 우리 신분증은 더이상 불필요해질지도 모른다.은행이나 군부대...(계속)

글 : 박병운 한국 정신과학

과학동아 1995년 02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95년 02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