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소행성과 지구 충돌」심포지엄서 컴퓨터모의 실험결과 발표

소백산 천문대 64cm 망원경으로 찍은 슈메이커-레비 혜성. 혜성 뒤쪽으로 많은 물질이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혜성의 꼬리다. 화살표는 혜성의 진행방향 4월 14일 박남규, 박승철 촬영소백산 천문대 64cm 망원경으로 찍은 슈메이커-레비 혜성. 혜성 뒤쪽으로 많은 물질이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혜성의 꼬리다. 화살표는 혜성의 진행방향 4월 14일 박남규, 박승철 촬영

지구와 외계물체가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오는 7월 목성과 충돌하는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결과는 이에 대한 간접적인 해답을 제시해줄 것이다.우리는 알게 모르게 '인류는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에너지 공급원인 태양을 매우 규칙적으로 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안정된 시스템이 무너진다는 것은 쉽게 상상...(계속)

글 : 동아일보사 편집부

과학동아 1994년 05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94년 05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