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표 1) 벼의 생육단계별 염해반응(정상치에 대한 수확량지수)(표 1) 벼의 생육단계별 염해반응(정상치에 대한 수확량지수)

일반적으로 간척지의 염분농도가 0.3%를 초과하면 벼의 생육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생육초기단계에 피해가 크다.예로부터 쌀 하면 김포쌀이니 이천쌀이니 해서 이른바 경기미를 첫손가락에 꼽아왔다. 그런데 요즘엔 계화미를 으뜸으로 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맛있고 질좋은 계화미 있음'이라고 써붙인 쌀집도 눈에 띈다. 기름지고 찰지다거...(계속)

사진 : 정경택
글 : 황의봉

과학동아 1987년 1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87년 1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