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GM) 모기를 이용해 전염병을 옮기는 모기를 퇴치하는 실험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4월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영국의 생명공학기업 옥시텍이 지난해 4월부터 7개월간 진행한 프로젝트의 결과를 공개했다. 미국 플로리다 남쪽 키스 제도에 500만 마리의 GM 모기를 방사해 이집트숲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프로젝트였다.
야생 이집트숲모기는 소두증을 일으키는 지카바이러스나 급성열성질환을 일으키는 뎅기 바이러스 등을 옮긴다. 살충제로 모기를 잡을 수 있지만, 자칫 벌이나 나비 등 다른 생물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 게다가 모기도 살충제에 점차 내성이 생겨 살충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
옥시텍이 만든 GM 모기는 암컷 자손에서 발현되는 치사 유전자(lethal gene)를 갖고 있다. 치사 유전자가 발현되면 성체가 되기 전에 일찍 죽는다. GM 수컷 모기가 야생 암컷 모기와 짝짓기를 해 태어난 자손 중 암컷이 일찍 죽는 식이다. 자손 중 살아남은 수컷이 야생 암컷 모기와 교배를 하면, 다시 암컷 자손만 일찍 죽는다. 세대가 거듭될수록 암컷 모기가 줄어들며 이집트숲모기 전체 개체수가 줄어드는 원리다.
옥시텍 연구원들은 GM 모기를 방사한 뒤, 2만 2000개 이상의 알을 수집해 부화하는 과정을 살폈다. 치사 유전자를 물려받은 모든 암컷이 성체가 되기 전에 사망했다. 치사 유전자는 야생 개체군에서 2~3개월 혹은 3세대를 거치는 동안 지속되다가 사라졌다. 그 결과 연구팀이 방사한 지역에서 400m 떨어진 곳에서는 GM 모기가 발견되지 않았다. GM 모기를 수컷에만 적용되도록 만든 이유는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암컷과 달리 수컷은 과일의 즙이나 수액을 먹고 산다.
이번 실험으로 GM 모기의 효과가 증명됐지만, 이 연구가 바이러스 전파를 줄이는지를 검증했는가에 대한 논란은 있다. 토마스 스콧 UC데이비스 명예교수는 “미국 플로리다 지역은 원래 이집트숲모기 매개 감염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며 “모기 개체수를 줄인다고 반드시 질병이 억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