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3/S201704N037_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3/S201704N037_2.jpg)
시안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입니다. 주나라 문왕부터 한나라, 당나라까지 13개 왕조의 수도를 거친 3000년의 고도이죠. 고대 동서 무역로인 실크로드의 시발점이기도 한 시안에는 병마용, 진시황릉, 시안성벽 그리고 양귀비와 당헌종의 사랑이야기가 내려오는 화청지 등 볼거리가 다양합니다. 오늘 소개할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는 시안 시에서 서쪽으로 90km 정도 떨어진 양링에 있습니다. 시안 셴양 국제공항에서 버스를 타고 갈 수 있습니다.
사막화·토양유실 막는 첨단 농업
시안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양링은 중국 중앙정부에서 지정한 유일한 첨단농업특구입니다. 중국대륙 북서부에 있는, 우리나라 세 배 면적의 ‘황토고원’ 초입에 위치해 토양과 물 관리를 연구하기에 적격인 곳이죠. 제한된 물로 생태계를 유지하고, 건조한 지역에 지속가능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첨단 농업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 예로 건물 안에 수십~수백 m2 황토고원을 재현한 뒤 인공 강우를 뿌려 농작물과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실험도 하고요(역시 대륙의 스케일!), 건조한 토양에 적합한 유전자변형 농작물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황토고원 현장에서 다양한 경사지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연구도 이뤄집니다.
한국과 공동 연구도 합니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과 함께 사막화를 막는 식물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중국 북서부 지역은 매년 제주도 면적의 1.5배가 넘는 넓은 땅이 사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모래바람이 봄철이면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방목과 산림 훼손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지역 사람들에게 소득을 담보해줄 수 있는 고구마와, 땅을 비옥하게 만들면서 가축 사료로도 쓰이는 콩과 식물 알팔파, 방풍림으로 쓸 포플러 등을 함께 개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드 배치 때문에 한중 관계가 험악하잖아요. 연구만큼
은 2000년부터 10년 넘게 꾸준히 이어져 왔습니다.
시안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양링은 중국 중앙정부에서 지정한 유일한 첨단농업특구입니다. 중국대륙 북서부에 있는, 우리나라 세 배 면적의 ‘황토고원’ 초입에 위치해 토양과 물 관리를 연구하기에 적격인 곳이죠. 제한된 물로 생태계를 유지하고, 건조한 지역에 지속가능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첨단 농업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 예로 건물 안에 수십~수백 m2 황토고원을 재현한 뒤 인공 강우를 뿌려 농작물과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실험도 하고요(역시 대륙의 스케일!), 건조한 토양에 적합한 유전자변형 농작물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황토고원 현장에서 다양한 경사지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연구도 이뤄집니다.
한국과 공동 연구도 합니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과 함께 사막화를 막는 식물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중국 북서부 지역은 매년 제주도 면적의 1.5배가 넘는 넓은 땅이 사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모래바람이 봄철이면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방목과 산림 훼손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지역 사람들에게 소득을 담보해줄 수 있는 고구마와, 땅을 비옥하게 만들면서 가축 사료로도 쓰이는 콩과 식물 알팔파, 방풍림으로 쓸 포플러 등을 함께 개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드 배치 때문에 한중 관계가 험악하잖아요. 연구만큼
은 2000년부터 10년 넘게 꾸준히 이어져 왔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3/S201704N037_3.jpg)
우수한 농대와 결합해 시너지 창출
1949년 설립된 중국과학원은 소속된 연구소가 120개가 넘습니다. 물토양보존연구소는 사실 그중 하나입니다. 제가 이곳을 선택한 이유는 중국 정부가 농업과 임업 연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적극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장쩌민, 후진타오, 원자바오, 주룽지 등 국가 지도자들이 앞다퉈 방문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소는 중국에서 가장 우수한 농대 중 하나인 서북농림과기대와 붙어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대학에도 동시에 소속돼 학생들의 연구를 지도하기도 합니다. 연구소와 대학의 인력을 모두 합치면 약 1000명 가까이 됩니다. 한 가지 놀라운 건 연구소에 새로 들어온 우수한 젊은 과학자들이 3년 동안 정교수보다 월급이 1.5배 더 많다는 것. 생활비 걱정 말고 연구에만 전념하라는 뜻으로, 성과가 좋으면 3년 뒤 부교수가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연구소를 떠나야 합니다.
연구소 주변의 황토고원, 생태 농장, 인공 강우 실험실은 모두 대중에게 열려 있으니 농업에 관심 있는 분들은 꼭 한번 방문하시길 추천합니다. 서북농림과기대 안에 식물원, 곤충박물관, 정원도 잘 갖춰져 있으니 놓치지 마시고요. 참고로 양링 지역은 특히 밭농사가 아주 잘돼 밀의 품질이 좋습니다. 국수 같은 면요리의 맛이 끝내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