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3





입안에 있는 미각 수용체와 똑같은 구조를 가진 수용체가 몸 속에도 존재한다.
위장, 소장, 췌장, 심지어 기도에도 분포한다. 일부 과학자는 혀보다 내장에 더 많은
미각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입으로 넣는 음식물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일부 유리된 당과 아미노산만 느끼는데, 내장 기관에서는 음식물이 분해돼 나온 포도당과 지방산, 아미노산 등 음식 분자를 느껴야만 하기 때문이다.

물성 수용체

위에는 생각보다 다양한 감각수용체가 있다. 물성 수용체는 음식물때문에 위 벽이 당겨지고 늘어나는 감각 등을 감지한다.

화학 수용체

음식물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pH 등을 감지한다. 뇌의 시상하부와 감각 영역에 음식물의 성분 정보를 전달한다.

온도 수용체

먹은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삼투압 수용체

삼투압을 감지한다. 만약 삼투압이 높으면 물을 분비해 삼투압을 정상 수준으로 끌어내리고 낮으면 반대작용을 한다. 너무 달거나 짜게 먹으면 위에서 통증이 일어나는 이유다.

➎ 단맛 수용체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음식물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은 포도당으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지방은 지방산으로 각각 분해돼 소장에서 흡수된다. 과학자들은 소장 어딘가에 영양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분명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연구했는데, 2005년 그 센서가 바로 맛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
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 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

➏~➓ 지방 수용체

내장에는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먹으면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측좌핵과 기타 보상 중추가 자극을 받아 기쁨을 느끼는데, 지방도 이 부위를 강하게 활성화시킨다. ‘배신의 식탁’을 쓴 마이클 모스는 소금, 설탕, 지방을 가장 강력한 맛의 도구라고 말했다. “설탕은 뇌를
급습해서 강타하는 필로폰과 같다면, 지방은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효과를 발휘하는 아편과 비슷하다.”

➎ 단맛 수용체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음식물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은 포도당으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지방은 지방산으로 각각 분해돼 소장에서 흡수된다. 과학자들은 소장 어딘가에 영양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분명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연구했는데, 2005년 그 센서가 바로 맛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
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

➏~➓ 지방 수용체

내장에는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먹으면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측좌핵과 기타 보상 중추가 자극을 받아 기쁨을 느끼는데, 지방도 이 부위를 강하게 활성화시킨다. ‘배신의 식탁’을 쓴 마이클 모스는 소금, 설탕, 지방을 가장 강력한 맛의 도구라고 말했다. “설탕은 뇌를
급습해서 강타하는 필로폰과 같다면, 지방은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효과를 발휘하는 아편과 비슷하다.”

2016년 10월 과학동아 정보

  • 우아영 기자
  • 기타

    [기획] 우아영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식품학·식품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