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웃으면 복이 와요~

바이오대상(보건복지부장관상) 일반부
김미정(기초과학연구원) 투과전자현미경

돼지가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절로 복이 들어올 것 같다. 막걸리를 한 잔 걸친 듯 얼굴도 불그스레하다. 주위에는 반짝반짝 별도 떠 있어 돼지가 초롱초롱한 눈으로 밤하늘의 은하수를 바라보는 듯 하다. 이 사진은 대식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 세포의 핵과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리보솜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염색했더니 영락없는 돼지 얼굴이 나타났다.



복돼지 한 마리가 순박한 웃음을 터트린다. 맛있는 음식을 배불리 먹고 난 뒤인 걸까, 아니면 친구들하고 놀고 있는 걸까. 사실은 대식세포를 4400배 확대한 것이다. 자연에 숨어 있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제12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에서 ‘웃으면 복이 와요~’를 출품한 김미정(기초과학연구원) 씨와 ‘물에 빠진 호리병’을 찍은 김하영(한국과학영재학교) 양이 각각 일반부와 중·고등학생부에서 대상을 받았다. 올해 대회에는 모두 366개 작품이 출품됐으며, 대상 3점을 포함한 본상 15점, 입선 30점이 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작을 지면에서 만나보자.

물에 빠진 호리병

바이오대상(보건복지부장관상) 중·고등학생부
김하영(한국과학영재학교) 주사전자현미경

도사가 남몰래 술을 넣어둔 호리병이 물속에 풍덩 빠졌다. 주위로 물기둥이 일어나 호리병을 감싸고 있다. 사실은 개미 머리에서 더듬이꽂이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이다. 더듬이꽂이의 둥근 부분이 호리병 모양이고, 개미 머리의 딱딱한 껍데기 무늬가 물결 모양을 만들고 있다.





비상하는 불사조

바이오예술상(충북대학교총장상) 일반부
이정민(광주 계림초 교사) 주사전자현미경

붉게 타오르는 불사조 한 마리가 날개를 뻗으며 하늘로 날아오르고 있다. 국화과에 속하는 루드베키아의 꽃잎이 벌어진 모습을 관찰했더니 불사조가 날개를 펴고 나뭇가지에서 날아오르는 모습이 나타났다.

생명의 진화 역사를 담은 텔로미어

바이오문화상(충청북도지사상) 일반부
서범석(서울대) 공초점현미경

염색체 끝에 있는 텔로미어는 생명체의 노화시계로 불린다. 사진에서 보이는 동그란 구는 하나의 생식세포이며 파란색은 염색체, 빨간색은 텔로미어를 염색한 것이다. 텔로미어는 수억 년에 걸쳐 생명체가 진화해온 과정을 담은 증거이기도 하다.

파도

바이오과학상(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이사장상) 중·고등학생부
김수아(충북 산남고) 전자현미경

해변의 모래사장으로 거친 파도가 몰려오고 있다. 밤 껍질 앞면의 매끄러운 부분과 거친 부분의 경계부분을 확대해 찍은 사진이다. 지나가버린 여름의 시원한 파도가 절로 떠오른다.





춤추는 문어다리

바이오예술상(충북대학교총장상) 초등학생부
나윤서(창신초) 광학현미경

동그란 스노우볼 안에 귀여운 문어가 하늘을 향해 다리를 흔들고 있다. 하늘에서 내리는 하얀 눈송이를 잡으려고 하는 모습이 신나게 춤을 추는 것 같다. 현미경으로 꽃밥(수술에서 꽃가루를 만드는 장소)을 찍은 모습이다.

과자나라 신호등

바이오문화상(충청북도지사상) 중·고등학생부
정구현(충북 세광고) 전자현미경

뛰뛰빵빵! 신호등이 아니었으면 교통사고가 날 뻔 했다. 이 사진은 초파리가 탈피하고 남은 번데기의 더듬이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원래는 대장균을 기르던 배지였는데 그만 초파리가 들어가 알을 낳고 결국 번데기까지 됐다.

복면가왕

바이오공학상(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일반부
전진현(을지대) 투과전자현미경

어, 이 가수는 누구지? 가수 이름이 음…, 정자왕이라고? 그도 그럴 것이 자라의 정소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정자 꼬리에 나타나는 ‘9+2 미세소관 배열’이 잘 나타난다. 하나의 정모세포에서 기원한 두 개의 정자가 붙어 있는 모습니다.

건드리면 톡!

바이오예술상(충북대학교총장상) 중·고등학생부
이요섭(충북 세광고) 주사전자현미경

탐스럽게 익은 붉은 딸기가 이파리 속에 숨었다. 어린아이가 아장아장 걸어오더니 톡~ 하고 건드린다. 사실은 말벌 더듬이가 머리와 연결돼 있는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5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글 김상연 기자 | 사진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충북대 의과학연구정보센터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