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Blame video games-that’s the watch phrase these days when something tragic happens. The media often zeroes in on video games that are highlighted in horrifying crimes, invoking the question: Do video games screw people up? The answer might be like this. “Not all games screw people up. But some violent games may do so.”

Recently, the trial of Norwegian Anders Breivik was held. Breivik, 33, is a right-wing extremist charged with killing 8 people in a car-bomb attack near a government building in Oslo last July and 69 others in a follow-up shooting spree at a youth camp run by Norway’s Labor Party. In the trial, prosecutors reportedly painted an image of a Breiobsessed with computer games. Reuters says Breivik smiled when the image of his online character was displayed. According to AFP, Breivik played World of Warcraft ‘full time’ from the summer of 2006 to the summer of 2007. None of the reports indicate that prosecutors were fingering the game as an excuse for Breivik’s behavior, but implication is nine-tenths rationalization. Reality is more complex. Preliminary studies that attempted to link violent games with increased aggressive behavior did not include critical variables like family history, mental health and gender. More broad researches need to be done.

However, Breivik wrote in a 1500-page manifesto titled ‘2083: A Europ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at in order to battle what he describes as the rise of multiculturalism and religious colonization of Western Europe, one must avoid suspicion from relatives, neighbours and friends. He further advises telling friends and family that you have started to play World of Warcraft or any other online MMORPG game and that you wish to focus on this for the next months/year. Breivik says this helps justify isolation and adds that people will understand why you are not answering your phone over long periods. What’s important is that Breivik is advising the use of video games as a way to justify social isolation.

Blaming video games for possibly making Breivik a better marksman would not be the answer. As written above, we have to think about all possible parameters. Games are not the sole culprit. But along with other social factors such as how he was not loved by his family or how he was emotionally abandoned by his community, violent games still play a big role.



해석 노르웨이의 살인마는 잔인한 게임들을 즐겼다

게임 탓이다. 비극이 발생할 때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 미디어도 잔인한 범죄가 일어나면 게임을 집중적으로 이야기한다. 이는 ‘게임이 사람을 망치는가’라는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해답은 아마 이럴 것이다. “모든 게임이 사람들을 망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몇몇 잔인한 게임들은 그럴 수도 있다.” 최근 노르웨이에서 앤더스 브레이빅 사건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브레이빅은 33살의 극우주의자이며, 지난해 7월 오슬로의 정부건물 근처에서 자동차 폭탄으로 8명의 사망자를 내고, 노르웨이 노동당에서 주최하는 청년캠프에서 69명을 더 사살한 혐의로 기소됐다. 재판에서 검찰은 반복적으로 브레이빅이 게임에 몰두하는 이미지를 그렸다. 브레이빅의 온라인 캐릭터가 화면에 표시되자 그가 미소를 지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AFP통신에 의하면 브레이빅은 2006년 여름부터 2007년 여름까지 ‘하루 종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라는 게임만 했다고 한다. 어떤 보도도 검찰이 브레이빅이 한 행동의 원인을 게임이라고 지목했다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짐작은 가능하다. 현실은 더욱 복잡하다. 폭력적인 게임과 공격적 행동증가를 연결하려던 초기 연구들은 가정사와 정신건강, 성별 등 주요 변수들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더 폭넓은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

브레이빅은 ‘2083년 유럽 독립선언문’이라는 1500쪽 짜리 선언문을 작성했다. 여기서 그는 스스로 다문화주의, 서유럽의 종교적 식민화라고 지칭한 것과 싸우기 위해서 친척이나 이웃, 친구의 의심을 피해야 한다고 썼다. 더욱이 그는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혹은 다른 MMORPG 게임(다중접속 롤플레잉 게임)을 시작했다고 말해야 이후 몇 달에서 몇 년간 의심을 사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이것이 고립을 정당화하며 오랜 기간 전화를 받지 않아도 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요한 점은 브레이빅이 사회적 고립을 정당화하기 위해 비디오게임을 사용하라고 충고한 점이다.

브레이빅을 더 뛰어난 총잡이로 만들었을 가능성으로 비디오게임을 탓하는 것은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됐듯이, 모든 가능한 변수들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게임이 유일한 원인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다른 사회적 요인들, 예를 들어 그의 가족이 그를 충분히 사랑하지 않았다거나, 그가 속한 집단이 그를 정서적으로 버려뒀거나 하는 점들과 함께 폭력적인 게임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2년 6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심리학
  • 사회학
  • 법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