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 연구진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토양과 콘크리트를 한 달 안에 최대 98%까지 정화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기술개발부 김계남 책임연구원은 방사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폐액 등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복합 동전기 제염(除染) 장치’를 개발했다고 6월 20일 밝혔다. 이 장치는 토양과 콘크리트에 들어 있는 방사성 물질 중 우라늄과 코발트는 98%, 세슘은 96%까지 한 달 안에 제거할 수 있다. 1년 동안 200L 용량의 드럼통 50개를 처리할 수 있으며 6개월 간 80% 정도 제염했던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것이다.

먼저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에 질산 용액을 넣어 방사성 물질을 녹인다. 질산 용액을 침전시킨 뒤 여과하면서 방사성 물질이 분리된다. 이 과정을 통해 토양 등에 있는 방사성 물질의 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토양 또는 콘크리트에 한 달간 전극을 걸어 양이온인 방사성 물질을 음극에 모은다. 분리한 방사성 물질은 별도로 폐기한다. 김 연구원은 “질산을 쓰는 세척법과 전극으로 분리하는 ‘동전기 제염법’을 복합한 장치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질산 용액은 여과한 뒤 100% 재활용하기 때문에 폐액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장치는 일본 후쿠시마 제 1원전의 제염작업에도 쓰일 전망이다. 이와 관련 일본 홋카이도대 환경과학과 연구진이 공동 연구를 제안해 8월 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최세민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화학·화학공학
  • 전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