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7/jAFnSKPmLRCBBJe7lAVP_67020100728.jpg)
영화 ‘아바타’, ‘아이언맨’ 등에서 볼 수 있는 ‘입는 로봇’을 국내에서 군사용 로봇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안산 분원 로봇기술연구부 민군실용로봇사업단은 한양대 한창수 교수 연구팀과 함께 2년간 6억 원을 들여 군사용 입는 로봇 ‘하이퍼(HyPER·Hydraulic Powered Exoskeleton Robot)’를 개발했다.
국내에서 군사용 입는 로봇을 만든 것은 이곳이 처음이며 9월 공식 공개 예정이다. 지금까지 군사용 입는 로봇을 개발한 국가는 미국뿐이다.
사람이 몸에 걸치면 평소보다 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이런 로봇을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exoskeleton)’이라고 부른다.
입는 로봇 하이퍼는 신발, 허리, 발목 등 곳곳에 25개의 정밀한 압력 센서가 붙어 있어 사람의 동작을 따라서 할 수 있다. 성인 남자가 120kg의 짐을 짊어지고 걸어갈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몸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었다. 배터리 등을 합하면 무게가 100kg에 달하지만 자체 동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입고 있는 사람은 무게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
실용화된 입는 로봇은 지난해 대여 사업을 시작한 일본 쓰쿠바대 연구팀이 개발한 ‘할(HAL·Hybrid Assistive Limb·하이브리드 의족)’이 최초다.
미국은 군사용 로봇이 강세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만들고 있는 군인용 다리 로봇 ‘블릭스’는 일본의 ‘할’보다 월등히 힘이 세다. 블릭스의 자체 무게는 50kg 정도. 여기에 32kg의 짐을 싣고 80kg 정도의 성인 남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블릭스는 무게 200kg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한다.
미국의 입는 로봇이 힘이 더 센 이유는 구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의 로봇은 대부분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액추에이터는 기계장치를 움직이게 만드는 구동장치로 사람의 근육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하이퍼 역시 유압식 엑추에이터로 움직인다. 연구팀이 개발한 8개의 유압식 액추에이터가 달려 있다.
생기원 장재호 박사는 “하이퍼는 사람과 짐, 로봇의 무게를 합해 300kg을 짊어지고 움직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