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

1세기 약초 세밀화에서 NASA 외계행성 상상도까지

매달 ‘과학동아’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표지 그림이다. 이번 특집과 기획은 무엇일까, 일반 기사에는 어떤 내용이 실렸을까 하며 책장을 넘길 때 눈에 들어오는 것은 글이 아니라 화려한 그림이다. 어떤 기사는 그림만 보고도 주요 내용을 간파하기도 한다. 이뿐이 아니다. 천안함이 무슨 충격으로 어떻게 두 동강이 났는지, 나로호가 어떻게 발사돼 어떤 경로로 궤도에 진입하는지, 지각 판이 어떻게 움직인 까닭에 아이티에 지진이 일어났는지를 전달하기 위해 뉴스에서도 말이나 글보다 이해하기 쉬운 그림들이 등장한다. 이런 그림을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이라고 부른다.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은 복잡한 기계나 미세한 화합물 등을 단순화시킨 약화부터 인체나 동식물을 사실적으로 그린 세밀화까지 포함한다. 컴퓨터그래픽이 최고의 전성기를 달리는 현재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은 실제와 흡사하게 3D로 그리거나 주요 특징만 살려 단순하게 표현하기도 하지만, 원래는 연필 스케치 위에 얇은 붓으로 채색한 세밀화에서 시작됐다.

이를 처음 그린 사람은 고대 그리스의 약리학자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 1500종이 넘는 약용식물의 특징을 세세히 기록하는 데 글은 한계가 있어, 직접 하나하나 손으로 그렸다. 그 뒤 수많은 생태학자가 동식물을 그림으로 남겼고, 현미경과 망원경이 탄생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세포나 분자에서 지구 밖에 있는 행성과 은하까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됐다.

어렵고 복잡한 과학이 어떻게 그림 속에서 살아 숨 쉴까. 과학을 그림으로 그릴 때 고려해야 하는 점은 무엇일까. 작가의 ‘붓끝’에서 과학이 탄생하는 모습이 궁금하다면, 과학과 미술이 공존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하다면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의 세상을 들여다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06월 과학동아 정보

  • 이정아 기자

🎓️ 진로 추천

  • 미술·디자인
  • 생명과학·생명공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