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사체에서 풀처럼 피어나는 동충하초

봄기운이 느껴지는 3월 양지바른 곳에 펼쳐놓은 좌판에는 삐악거리는 병아리와 자그만 병이 지나가는 이들의 눈길을 잡아끈다. 병속을 들여다보면 톱밥을 뒤집어쓴 애벌레가 꿈틀거리고 있는데, 바로 사슴벌레의 유충이다. 나무를 썩히는 버섯, 특히 전복느타리버섯이나 느타리버섯의 균사를 넣어 먹기 좋게 부식된 톱밥은 애벌레에게 훌륭한 먹이다.

또 초록빛 비단벌레는 구름버섯이 썩힌 단풍나무에 알을 낳는다. 역시 버섯 균사가 분해한 나무는 애벌레가 소화하기 쉬운 먹이가 된다. 버섯벌레, 거저리처럼 작은 딱정벌레는 아예 버섯 속에 들어가 집을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추운 겨울이 지나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버섯을 먹고 살다 가을에 성충이 된다. 이처럼 곤충과 버섯의 인연은 각별하다.
 

하얀 (분생)포자 가루가 마치 흰 눈이 내린 것처럼 덮여 있는 눈꽃동충하초. 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에서 누에 번데기를 이용해 인공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열대지방에 자생하는 흰개미류 25종 가량은 사람만큼이나 과학적인 방법으로 버섯, 특히 흰개미집버섯을 기르고 있다. 영화 ‘벅스라이프’에서 버섯과 공생하는 것으로 그려지는 흰개미도 이 같은 종류다. 열대의 초원이나 삼림에서 붉은 토기나 고분을 연상케 하는 흰개미집은 눈에 쉽게 띈다. 특히 우기와 건기가 뚜렷한 지역에선 사람의 키만큼이나 큰 집도 있다.

흰개미는 낙엽이나 마른가지를 부지런히 자기 집에 옮겨와 흰개미집버섯 균사로 일부러 썩힌 다음 먹는다. 썩은 낙엽퇴적물 한쪽에서는 흰개미집버섯이 피어 포자를 퍼뜨리고 이 포자는 균사로 변해 퇴적물을 분해한다. 흰개미의 애벌레는 균사 덩어리나 포자 가루로 뒤범벅된 썩은 낙엽을 먹고 자란다. 곤충과 함께 버섯은 자연의 물질순환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흰개미집버섯은 아주 맛있는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흰개미의 유충이나 성충 사체로부터 단백질이나 인을 섭취해 균사에 축적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야를 돌다 보면 계곡물이 가까운 나무그늘 아래에서 곤충의 사체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란 버섯이 쉽게 발견된다. 동충하초(冬蟲夏草)란 겨울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 풀처럼 나타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냄새가 고약한 곤충인 노린재에서 생겨난 노린재동충하초.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동충하초다.


예부터 동충하초는 인삼, 녹용과 함께 귀한 3대 약재로 취급돼왔다. 동충하초가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는 고대 중국의 은상(殷商)시대부터다.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왕과 제후의 무덤 안에서는 동충하초처럼 만든 옥돌도 발견됐다. 왕과 제후가 죽은 다음 다시 부활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를 함께 묻은 것이라고 기록돼 있다. 또 진시황이나 양귀비 역시 동충하초를 오랫동안 먹었다고 알려져 왔으며, 중국의 의약서 ‘증류본초’(1082년)와 ‘본초종신’(1757년)에도 동충하초의 약효에 대한 기록이 등장한다.

동충하초는 생활사에서 버섯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동충하초 자실체(버섯)에서 포자(분생포자)가 흩어질 때 직접 곤충 몸에 떨어져 곤충에 침입하거나 포자가 떨어져 발아한 균사가 곤충의 애벌레나 성충에 들어간다. 그 뒤 곤충을 죽이고 양분을 얻어 이듬해 동충하초가 탄생한다.

동충하초류의 버섯은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성물질(코디세핀)이 함유돼 있고 남성호르몬을 증가시켜 성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에서 누에 번데기를 이용해 인공 배양하는 데 성공한 눈꽃동충하초는 약효가 뛰어나 암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곤충 애벌레는 버섯균사를 이용해 먹이를 만드는 한편, 버섯은 다시 곤충 몸에서 종자를 퍼뜨리기 위한 양분을 얻는다. 곤충과 버섯의 ‘공생관계’는 먹이를 주고받아 달콤하지만 목숨이 걸릴 만큼 살벌하다.
 

버섯 균사가 나무를 썩히는 모습. 곤충 중에는 버섯 균사로 낙엽이나 나뭇가지를 썩혀 먹는 종류가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8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석순자 농업연구사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농업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