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 'SH2-240'

대상 고창균씨, 무거운 별의 극적인 최후 포착


대상 고창균씨, 무거운 별의 극적인 최후 포착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의 고창균(40)씨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고씨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 ‘SH2-240’을 찍은 사진을 출품했다. 초신성 잔해는 무거운 별이 최후에 폭발하며 우주공간에 극적으로 남긴 흔적이다.

심사위원장인 강용희 경북대 교수(천문학)는 “대상작은 빨강(R)·초록(G)·파랑(B) 필터 외에 특수필터(Hα 필터)를 사용해 세부를 잘 포착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서는 일반부문에 50점, 청소년부문에 26점이 출품됐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금 상
이건호(일반)-장미성운


장미성운


지구에서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5200광년 떨어져 있는 발광성운으로 붉은 장미를 닮았다. 강원도 횡성군에서 10일간 모두 10시간 50분의 노출시간을 들여 찍은 작품이다.

은 상
김기환(일반)-지중해의 흑양(黑陽)


지중해의 흑양


지난해 3월 29일 지중해 서쪽에 위치한 터키 안탈리아 해변에서 찍은 개기일식 과정. 달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진‘검은 태양’이 인상적이다.

은 상
오준택(청소년)-겨울새의 비상


겨울새의 비상


지구에서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1500광년 떨어져 있는 오리온대성운은 새가 커다란 날개를 펼치고 나는 모습이다.

금 상
백승민(청소년)-수피령 북천하늘 일주


수피령 북천하늘 일주


지난 2월 19일~20일 11시간 동안 강원도 수피령 정상에서 북쪽하늘 별들의 일주운동을 담았다.

은 상
김민규(일반)-하현


하현


웹카메라로 찍은 총 76매의 부분사진을 모자이크해 커다란 하현달 전체를 완성한 작품. 수많은 크레이터(구덩이)가 보인다.

동 상
김일순(일반)-쌍가락지성운(Helix Nebula)


쌍가락지성운


지구에서 물병자리 방향으로 650광년 떨어져 있는 행성상성운으로 거대한 눈처럼 보인다. 태양 같은 별이 최후를 맞이할 때 행성상성운이 생긴다.

동 상
신범영(일반)-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와 NGC869)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페르세우스자리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이중성단. 강원도 화천군에서 지난해 한여름밤에 찍은 작품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7년 04월 과학동아 정보

  • 이충환 기자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