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로 구동되는‘로프 어센더’는 군인, 낙하산 부대 위생병, 소방관이 단 30초만에 30층 건물의 벽을 타고 오르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다.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됐던‘로프 어센더’가 최근에는 응급처치를 위한 도구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한다 이(異)물질이나 체내의 노폐(老廢)세포 등을 포식하는 대형 아메바상(狀)의 세포를 말한다 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가수분해 효소가 축적된 리소솜이 많고, 이물질을 포식함으로써 생긴 파고솜과 융합하여 효소를 방출한다피드백이 제어의 중심 원리로 된 시스팀 원래는 전기에 관련된 용어다 피드백은 전기회로에 있어서 출력의 일부를 입력측에 되돌려 출력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작용을 반복하는 시스팀으로 대표적인 것이 프로세스 오토메이션 여기서는 제조공정의 각 부에 계측기가 있어 이를 통해 피드백을 일으킨다 계기에 나타나는 작업지령이 계획과 맞지 않으면 계측기가 조절기 또는 조작기계로 신호를 보내 공정을 자동적으로 조절·제어하는 것이다직접 측정하려는 대상에 접촉하거나 그 가까이서 데이타를 알아내어 필요한 정보를 신호로 전달하는 장치 또는 소자 이것을 이용하면 인간의 감각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수치도 잴 수 있어 위험한 작업이 따르는 기계에도 많이 부착하게 되었다 공장 자동화나 산업용 로봇에는 없어서는 안 될 장치로 평가된다 그 응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최근에는 인텔리전트 센서 등 정보나 수치를 스스로 계산, 판단, 처리하는 보다 고도의 센서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프로펠러는 항공기나 선박에 고정되어 추진력을 부여하는 장치헬리콥터와 같이 수직으로 상승하는데 필요한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날개내연기관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중의 하나 1분간의 회전수를 의미한다두 액체를 혼합할 때 한쪽 액체가 미세한 입자로 되어 다른 액체 속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 이 액체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동물의 젖이기 때문에 유탁액(乳濁液)이라고도 한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용해되지 않는 액체도 흔들어 섞으면 에멀션이 되지만, 불안정하여 각각의 액상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에멀션화제(化劑)조수의 간만(汗滿)에 의한 수위차에서 발생하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따라서 간만의 차가 심해야 하므로 지역적으로 한정된 장소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서해안은 비교적 간만의 차가 커서, 인천의 경우 약 81m에 이른다 그러나 얻어지는 유효낙차가 적고 조위의 변화가 연간을 통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는 성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모든 생물의 세포속에 들어있는 고분자 유기물의 일종 부모의 형질을 자식에게 전해주는 유전, 단백질을 제조하는 생합성(生合成) 등에 관여, 생명활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물질 염기, 당, 인산이 한 구성 단위가 되어, 인산디에스테르 결합으로 중합(重合)되어 있는 거대한 연쇄상의 분자이다 당의 종류에 따라 리보핵산(RNA)과 디옥시 리보핵산(DNA)으로 구분된다 염기로는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RNA의 경우는 우라실)을 포함한다1초간에 1J(Joule)의 일을 하는 일률의 단위(W) 주로 전력의 단위로 쓰인다 1와트는 1볼트(V)의 전압으로 1암페어(A)의 전류를 통할 때의 전력에 해당한다액체의 유동성과 결정(結晶)의 광학적 성질을 함께 갖춘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성질의 물질 외부에서 온도나 전기를 가하면 결정의 방향성이 변화한다 그리하여 그 부분만 분자의 배열이 변화, 빛을 투과시키거나 거꾸로 빛을 통과시키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특수한 성질을 이용, 결정의 투과광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 만들 수 있다 전자시계의 문자판, 계산기의 표지판 등이 대표적인 이용사례 액정의 장점으로는 소비전력이 적고 재료비가 싸며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방향족(芳香族) 폴리아미드 섬유 매우 강하고 곧은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액을 방출하는 것만으로 고강도의 섬유가 얻어진다 이 섬유는 강력한 방탄력이 있어 방탄조끼 제조에 쓰이기도 한다 또 플래스틱 강화제로 사용할 경우 로킷 엔진 케이스 보강에도 도움이 되는 등 공업용 섬유로서 뛰어난 인장력과 내열성을 갖는다미국표준규격협회(American Standard Association; ASA)가 1947년 제정한 필름 감도측정법에 따른 필름감도지수 현재의 ASA 감도는 1961년에 개정된 새로운 ASA법에 따르고 있다 사진촬영에서 노광량(露光量)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피사체의 밝기와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는 ASA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도 2배가 된다물체가 유체(流体)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과, 두 물체가 접촉하면서 움직일 때 물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힘의 총칭 앞의 경우 항력은 흐름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 방향의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양력이라고 한다 이때 항력의 크기는 흐름의 속도를 ν, 유체밀도를 ρ, 물체의 단면적을 S라 하면 cρSν²/2 이다 여기서 c는 항력계수 그리고 뒤의 경우에는 접촉면에 물체상호의 운동을 방해하려는 항력이 생긴다 여기에는 접촉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수직항력과 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마찰력이 있다 수직항력은 두 물체가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을 막는 힘 이는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분자 간의 응집력에 기인한 것이다동일분자를 2개 이상 결합,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생성하는 반응 이 중합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을 중합체 혹은 폴리머라고 한다 이에 대응하는 말로 단량체(monomer)가 있는데 이것은 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화합물을 말한다 또 중합체는 중합도에 따라 이합체·삼합체·다합체 등으로 나뉜다 중합반응에는 중합체의 분자량이 단위체의 배수가 되는 중첨가 반응, 간단한 분자를 떼어내 배수의 분자량이 되지 않는 중축합(重縮合)반응 등이 있다흐르는 유체 내에 물체를 놓거나 혹은 파이프 속을 유체가 흐를 때 유체의 흐름 상태를 특징짓는 숫치 영국의 유체역학자 '레이놀즈'가 발견하였다 운동하는 유체 내부에 나타나는 마찰력 즉 점성(粘性)의 크기를 u, 유체의 밀도를 ρ, 유속을 ν, 원형파이프일 경우 그 반지름을 ℓ이라 하면 레이놀즈수 R=ρℓν/u이다 이 수는 유체역학에서 중요한 것이다 이 값이 작을 때는 흐름이 규칙적인 층류(層流)가 되지만, 어떤 값 이상이 되면 불규칙한 난류(亂流)가 된다 일반적으로 난류와 층류의 경계가 되는 R의 값을 임계레이놀즈수라고 한다앨지브라는 수 대신에 문자를 기호로 사용, 수의 성질이나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 아라비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방정식의 이항을 의미한다 우리말의 대수는 중국어로 번역된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 수 대신 문자를 써서 문제 해결을 쉽게 하고, 수학적 법칙을 일반적이고 간명하게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고등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주성분으로서, 목질부(木質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당류 섬유소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C}_{6}$${H}_{10}$${O}_{5}$)으로 표시되며 냄새가 없는 백색고체로서 물에 녹지 않는다 석탄에 이어 자연계에서 대량으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이며 공업적으로 중요한 자원이 된다 셀룰로스는 다당류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큰 물질의 하나로, 모여서 섬유를 이룬다 솜도 거의 순수한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섬유 그밖에 종이 의류의 원료로 사용되는 외에도, 레이온 화약 등 여러 가지로 응용되고 있다물체의 물질적인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 비등방성(非等方性)이라고도 한다 특히 빛에 대한 결정의 성질이 결정체의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방성을 지닌 물체를 이방체라 한다 반면 방향에 따라 물리적인 성질이 변하지 않는 것을 등방성이라 한다 따라서 등방성을 지닌 물체는 등방체다 결정이 아닌 액정의 경우에도 이러한 이방성을 보인다위, 장, 방광, 기관(氣管)등의 내용물을 뽑아내거나, 약물주입하고,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관상(管狀)의 외과용구별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별 별의 등급은 가장 빛나는 1등성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마지막 한계의 별인 6등성까지로 분류된다 1등성과 6등성은 밝기가 1백배 다르다 따라서 두 별의 등급차가 1일 경우 1백의 5제급근인 2512배만큼 차이가 난다 이 때 등급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한밤중 일정한 고도에서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되새김동물 낙타과(科)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소과 등의 동물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반추동물들은 4∼5개의 방으로 된 반추위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첫째 위(혹위)는 가장 커서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다시 꺼내 되새김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첫째위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셀룰로스를 분해시킨다 되새김질된 먹이는 벌집모양의 벽을 지닌 둘째 위(벌집위)로 이동하는데, 여기에서는 수축·이완운동을 통하여 음식물을 첫째 위로 배출하거나 또는 첫째 위로부터 끌어들인다 끌어들인 음식물은 다시 점막이 주름 모양인 세째 위(겹주름위)로 옮겨져 가늘게 부서진 다음, 위액이 분비되는 네째위(주름위)로 이동, 비로소 소화된다 다만 낙타과와 애기사슴과는 겹주름위와 주름위가 분화되지 않아 방이 3개이다생물체의 발광(發光)에 관계하는 물질 발광 관련 효소인 루시페라제(luciferase)와 결합하여 발광을 일으킨다 여러 종류의 루시페린이 있는데, 그 중에 반딧불이, 바다반딧불이, 라티아조개 등의 루시페린 화학구조는 이미 알려져 있다아데노신에 인산기(H₃PO₄) 3개가 달린 유기화합물 이때 만약 인산기가 1개 달려 있으면 아데노신일인산(adenosine monophosphate; AMP), 2개 달려 있으면 아데노신이인산(adenosine diphosphate; ADP)이라고 한다 아데노신삼인산은 모든 생물의 세포 내에 풍부히 존재하는데, 생물의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ATP의 마지막 인산기와 두번째 인산기는 고에너지 인산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ATP 한 분자에 물 한 분자가 들어가서 마지막 인산기를 가수분해시킬 경우, ATP 1mol당 7∼12kcal의 많은 에너지가 방출된다 또 ATP가 가수분해되어 생긴 ADP 역시 AMP로 분해될 때 같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모든 생물은 유기물의 산화에서 생긴 에너지를 이 ATP라는 화합물 속에 저장, 필요에 따라 이것을 가수분해시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물체는 운동·체온유지·생체전기의 발생·발광·고분자 유기물질의 합성 등 모든 생명활동을 영위하게 되는 것다시마·감태·대황 등의 갈조류(褐藻類)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의 하나 묽은 황산으로 씻은 갈조를 묽은 알칼리성의 더운 물에서 추출, 추출액을 산성으로 만들면 침전이 생기는데, 이것이 알긴산 포유류에는 알긴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어 알긴산을 영양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긴산을 나트륨염으로 만들면 수용성이 되어 점성도가 아주 높아지기 때문에 용도가 넓다 직료물·수성도료·에멀션화제 외에도 식품에서 아이스크림·잼·마요네즈 등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 이용된다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강우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積雲)에 수반하여 발생한다 매초 10m 이상의 격심한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대기의 상승이 대류불안정 상태로 되기 때문 뇌우에는 전선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선성뇌우, 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 일어나는 저기압뢰, 그리고 여름철 오후 강한 일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뢰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뇌우는 계절적으로 보아 여름철에 가장 많고 오후 2∼3시경이 최고이며, 내륙지방에서 자주 발생한다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먹고 먹히는 관계로 일련의 사슬과 같이 이어져 있는 것 태양에너지를 고정(固定)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녹색식물을 생산자, 스스로 합성할 수 없는 동물을 소비자라 한다 소비자 가운데에서도 생산자를 먹는 것을 초식동물 또는 1차소비자, 1차소비자를 잡아먹는 것을 육식동물 혹은 2차소비자, 그리고 2차소비자를 먹는 것은 3차소비자이다 이들 동식물의 죽은 몸체는 다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 무기염류로 되어 식물에 흡수된다 그러나 자연계의 먹이사슬은 단일하게 존재하지 않으며 모두가 먹이망(food web)을 형성한다 또한 먹이사슬의 각 영양단계에서 단위면적당 생물 개체수는 생산자로부터 고차의 소비자로 감에 따라 급격히 감소, 피라밋형을 이루고 있다생물분류의 기본단위로서, 개체사이에서 교배가 가능한 한 무리의 생물 다른 생물군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된 생물군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사실은 반드시 이렇게 명확히 선을 그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즉 외견상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서로 교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재료 또는 화물을 일정한 거리만큼 자동적으로 연속해서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합리적인 반송(搬送)체계 전진하는 컨베이어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작업형 시스팀과 다른 작업대로 옮겨 가공하거나 컨베이어를 멈춘 후 가공하고 다시 가동시키는 정지작업형 시스팀 그리고 이 둘을 혼합한 혼성형 컨베이어 시스팀이 있다화산쇄설물의 하나 폭발형 화산에서는 용암이 크고 작은 파편으로 화산가스와 함께 분출된다 이것을 화산쇄설물이라고 한다 지름이 32mm 이상인 것을 화산암괴, 4∼32mm인 것을 화산력(火山礫) 또는 분석(噴石), 4mm 이하인 것을 화산재, 특히 4분의 1mm 이하인 미세한 가루를 화산진(塵)이라 한다 이외에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될 때는 머리카락처럼 가늘고 긴 섬유상의 화산모(火山毛)가 만들어지기도 한다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말 소립자 사이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의 하나이다 원자핵 내에 있는 핵자(nucleon) 사이에 작용하는 특수한 힘인 핵력이나 다른 하드론(강입자라고 한다 강한 상호작용의 소립자로서 중간자와 중입자로 분류) 사이의 상호작용이 이에 해당된다 이에 반해 약력(weak force, weak interaction)은 강력과 마찬가지로 소립자 사이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의 하나이면서도 강력보다 훨씬 약하다 핵의 붕괴나 μ(뮤)입자, κ(카파)중간자, λ(람다)입자와 같이 ${10}^{-10}$초 보다 긴 수명을 가진 소립자의 붕괴가 이에 해당된다전기나 자기에 바탕을 둔 힘의 총칭 보통 전자장(電磁場)내의 전하 자기량 전류에 전자장이 미치는 힘을 말한다 전장E, 자속(磁束)밀도 B인 장 안에서 전하밀도 ρ, 전류밀도 i의 단위체적의 부분이 받는 힘은 F=ρE+(1/c)i×B로 주어진다 여기에서 c는 광속 원생동물 섬모충류의 표피, 다세포동물의 섬모상피 세포의 자유표면에 존재하는 운동성 세포기관 길이는 수μ(${10}^{-6}$) 내지 수십μ, 지름은 약 02μ 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비교적 긴 것을 편모라 하여 따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구조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 작용은 주위의 물에 힘을 미쳐 이동운동을 하는 외에도 호흡이나 필요하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섬모의 운동은 거의 모두가 직선으로 뻗쳤다가 부드럽게 굴곡하는 왕복운동으로 매초 수 회 내지 수십 회 정도로 반복한다기계나 구조물의 재료에 변동하는 외력이 되풀이 가해지면 어떤 시간이 경과된 후 재료가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재료의 피로라고 하며 이 피로에 의해 재료가 파괴되는 것을 피로파괴라고 한다 피로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최대변형력이 피로한도 이것은 재료마다 다르다폭넓은 벨트로 된 바닥을 모터로 회전시키고, 그 위를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걷거나 뛰게 하는 장치 보행이나 주행은 특별한 연습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에 의한 생체기능 측정시 작업 부하용으로 사람뿐만아니라 동물에게도 사용된다 작업부하 조건은 벨트바닥의 이동속도를 바꾼다거나 바닥의 경사를 바꿈으로써 변화를 줄 수 있다바이페닐의 염소화체이다 물에는 녹지 않지만 기름이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서 안정하며 내열성·전기절연성이 좋아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PCB는 DDT등의 유기염소계 살충제 이상으로 쉽게 분해되지 않을 뿐더러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PCB에 의한 환경오염이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긴 침전물 오니(汚泥)라고도 한다 오니는 유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함수율도 98%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처리하기 어렵다 이제까지의 처리법은 농축·탈수·응집시켜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것이었는데, 이용가치가 높은 것을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큰 성과를 거둔 것은 없고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상태천체의 운행을 나타내는 기계 천체의 과거·현재·미래의 운행을 영상화하여 주로 교육적인 목적에 사용된다 하지만 천체 운행의 간단한 계산기로도 이용된다 플라네타리움은 그 기능상 크게 3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 째 항성 투영부에서는 작은 구멍에 의해 전 하늘에 걸쳐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은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나타낼 수 있다 두번 째 태양계 투영부에서는 태양과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의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태양계 내의 여러 천체들과 천체현상을 나타낸다 그밖에 여러 부수적인 투영부에 의해 천구의 좌표계와 자오선, 별자리의 그림과 이름, 세차운동, 연주운동 등을 나타낸다리보핵산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구조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핵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심부와 이것을 싸고 있는 단백외각(capsid), 그리고 몇 종류의 바이러스에서 보이는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바이러스는 DNA(디옥시리보핵산)나 RNA(리보핵산)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DNA바이러스와 RNA바이러스로 구분하게 된다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외력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체적의 변화에 대해 일어나는 체적탄성과 모양의 변화에 대해 일어나는 형상탄성으로 나뉜다 탄성은 예외없이 모든 물체에서 볼 수 있다 고체에서는 힘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탄성이 없어져 힘을 제거하더라도 변형된 채로 남는다 이 한계를 탄성한계라고 한다 이 한계점을 넘어 더 힘을 가하면 갑자기 변형이 크게 증가, 항복점을 넘으면 영구변형을 일으킨다회전형 내연기관 종래의 왕복형 피스톤식 내연기관을 개량해 적당한 회전체를 사용한 엔진을 말한다 이 중에는 완전한 회전형이 아닌 것들도 포함된다 단순히 로터리 엔진이라고 하면 1959년 독일의 F반켈이 고안한 반켈 회전형 엔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것은 행정이 작은 왕복형 엔진이고 완전한 로터리형은 아니다 왕복운동은 정지와 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 운동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회전운동은 정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아주 빠르게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내연기관이 회전운동을 하는 로터리 엔진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관측자의 위치에서 천체의 위치를 정하려는 목적으로, 관측자를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이 무한대의 구면(球面)을 설정하고 천체를 그 위에 투영해서 나타내는 것 1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이 천구가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모든 천체가 이 천구위에 고정된채로 돌고 있다고 믿어졌다 현재에도 천체까지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천구상에서의 천체의 위치를 생각하는 구면천문학이라는 분야가 있다케플러가 세운 행성운동에 관한 세가지 법칙 즉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공전한다는 것, 행성과 태양을 연결하는 직선의 면적과 속도는 한 행성에 대해 항상 일정하다는 것, 그리고 임의의 행성의 공전주기를 제곱한 것은 태양으로부터의 평균거리 3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이 그것 지구의 궤도가 원이라는 가정을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남긴 관측데이타를 이용해 타원궤도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그의 법칙은 후에 뉴턴이 만력인력을 발견하는데 수학적인 기초를 제공했다송어·연어 등은 대양을 회유하면서 성장하여 성어가 되면 산란하기 위하여 태어난 하천(母川)으로 되돌아오는데, 이와같은 성질을 모천회귀성이라 한다 연어나 송어는 태어난 곳에서 가까운 해변까지만 오면, 강물에 포함된 물질에 의해서 후각이 자극되고, 그 기억에 의해 태어난 곳뿐만 아니라 부화지까지도 찾아온다고 한다 이 때문에 송어·연어와 같은 어종은 그 하천이 있는 나라가 어획의 권리를 가진다는 주장이 국제 해양법 상에서 제기되고 있다화성의 양극에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축소되며 많은 구름이 발생한다 늦여름이 되면 극관은 거의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봄이 되면 겨울의 안개가 걷히고 크고 빛나는 새로운 극관이 나타난다 이것이 생기는 이유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항공공학에서 쓰이는 의미와 전자공학에서 사용되는 의미, 두가지가 있다 항공 공학에서의 부스터는 로킷이나 항공기 등의 보조 추진용 로킷을 의미한다 이 부스터는 연소 후에 즉시 떼어버린다 그리고 전자공학에서 쓰이는 부스터라는 용어는 전원 전압의 일부분을 전원의 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드물게 감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방송국이나 철도 등에서 이용된다2개 또는 그 이상의 뼈가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접한 구조 두개골이나 척추와 같이 움직일 수 없는 부동연접(不動連接)에 대응하는 뼈와 뼈 사이의 결합형식이다 관절로써 연결되어 있는 뼈의 끝부분은 한쪽이 관절두라 하여 불룩하며 다른 한쪽은 오목한데 이것을 관절와(窩)라 한다 관절을 연락하는 뼈와 뼈 사이에는 작은 공간이 있고 이 속에는 활액이 들어 있어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관절에 결핵균 등 여러 세균이 침투함으로써 생기는 관절의 염증이 바로 관절염연골세포와 그것을 둘러싸는 다량의 기질(基質)로 된 뼈 이것에 대응되는 것이 경골(硬骨) 연골은 관절의 뼈 끝을 덮는 관절연골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뼈 끝부분의 마찰을 방지하는 작용과 귀뼈와 같이 탄력을 유지하고 또 압력에 대해 저항력을 주는 작용 등을 한다 연골은 오징어 등의 일부 무척추동물에도 있지만, 척추동물에서 특히 발달해 있다컴퓨터를 사용한 교수법(教授法) 학습법인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에서는 학습자 즉 배우는 사람이 주체인 반면, CMI는 가르치는 사람이 컴퓨터와 대화하고 컴퓨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시스팀이다미국의 벨(Bell)연구소가 미니컴퓨터용으로 개발한 회화형 오퍼레이팅 시스팀 오퍼레이팅 시스팀(operating system: OS)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법과 순서를 모은 소프트웨어체계이다 UNIX는 C언어로 쓰였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식성이 높다인장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파괴강도 인장시험은 재료에 인장력 즉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해서 재료의 기계적인 성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인장력을 가하면 재료내에 응력이 생기는데 이를 인장응력이라 한다 응력을 재료의 항복점 이상으로 증가시켜 가면 결국 재료는 파괴된다 이와 같이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최대 인장응력값을 인장강도라 한다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특정값으로 중요시하여 왔다 한편 재료에 압축력을 가했을 때의 파괴강도를 압축강도라 한다경입자족(輕粒子族)의 하나 π중간자 및 K중간자가 붕괴할 때 생기는 불안정한 입자로서, 존재하는 시간이 약 2백만분의 1초여서 곧 전자와 중성미자로 붕괴된다 1936년 C 앤더슨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질량은 전자의 약 2백7배로 중간자족에 속하는 것이지만 소립자로서의 행동은 물질입자인 전자에 가깝다 따라서 분류할 때는 중간자족에 넣지 않고 경입자족에 속하는 입자로 간주한다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수정란이 되면 곧 세포분열을 개시하고 자궁 내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이르러 점막 내에 묻히면 모체와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것을 착상이라 한다 수정부터 착상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일이며 착상 후에는 본격적인 발육을 시작하여 태아가 된다성숙한 난세포가 난소에서 배출되는 현상 사람과 소 말 개 쥐 등은 자연배란하지만, 토끼 고양이 등은 교미하여야 비로소 배란이 일어난다고 한다 사람의 경우, 여성의 좌우 난소로부터 교대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1개씩 난자가 배출된다 난소 안에는 약 50만개의 원시난포가 있는데 일생동안 배출되는 것은 이 중에서 4백∼4백50개에 지나지 않는다암수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생식법을 말하며 유성생식에 대응된다 분열법·출아법·포자법 등이 있고 넓게는 영양생식도 포함된다 분열법은 몸이 거의 같은 크기의 2개 또는 다수의 세포로 분열하여 각각 성체(成體)로 발육하는 것 출아법은 모체에서 눈을 내고 이것이 모체에서 떨어져 나가 성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포자법은 포자가 생기고 그 발아에 의하여 성체가 되는 방법이다 그 밖에 벌의 어떤 종에서 볼 수 있다는 다배생식 즉 1개의 알에서 다수의 유생이 발생하는 생식 등도 무성생식에 포함된다생물의 생식방법 중 하나 성(性)이 관여하는 생식을 말한다 무성(無性)생식에 대응되는 말이다 암수의 성이 분화되어 감각에 있어서 암수의 생식세포가 형성되고, 이 생식세포의 수정에 의하여 새로운 개체가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유성생식 중 양성의 생식세포가 관여하는 경우를 특히 양성생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양성의 분화는 명확하지만 생식에는 한쪽의 생식세포만이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위상이 같은 곳에서는 상태(시각·장소)가 같게 된다 반면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이란, 태양광을 반사하여 빛나는 행성이나 달의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성과 지구를 연결한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종류의 금속을 고리 모양으로 연결하고 한쪽 접점을 고온으로, 다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접점의 온도차에 따라 정해지는데 가령 구리와 콘스탄탄의 조합으로 온도차를 1백℃로 하면, 43mV의 기전력이 생기며 이 때 전류는 고온부의 접점에 있어서 열전류가 높은 콘스탄탄에서 열전류가 낮은 구리쪽으로 흐른다방사성 물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의 하나 빛이나 X선과 마찬가지로 전자기파 X선에 비해 에너지가 크고 파장이 짧다 파장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약 01A˚ 이하의 것을 말한다 γ선은 원자핵이 에너지 준위 사이를 전이함으로써 방출 또는 흡수된다 소립자의 생성이나 소멸의 과정에서도 방출·흡수된다 인공적으로는 베타트론이나 싱크로톤 등 입자 가속기에서 만들어지는 고에너지의 전자선을 중금속에 쪼여 만든다 X선보다 투과력이 훨씬 크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두개의 파동이 겹쳤을 때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성질 간섭이란 두개 이상이 동시에 한점에 도달할 때 각 성분파의 변위를 합성한 크기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수면파 음파 광파 전자파 등은 모두 간섭을 일으킨다 이러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파동 사이의 위상차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생식을 위해 정소의 체세포가 특정한 형태로 변한 반수체의 염색체가 있는 웅성생식세포 체세포에서 정자가 생기는 과정을 정자형성이라 하고 특히 최후의 변형이 현저한 시기를 정자완성이라고 한다 정자는 동물에뿐 아니라 식물에도 존재하는데, 녹조류 이끼식물 양치식물 소철류 은행류 등에서 볼 수 있다뇌 속의 특정한 뉴론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예로는, 중뇌의 흑질(黑質) 뉴론에서 대뇌반구의 미상핵에 이르는 신경섬유에 도파인이 함유되어 있다 파킨슨씨 병의 경우, 흑질의 도파민값이 떨어진다과밀상태의 도시에서 주택용으로서보다는 사무실용으로 만들어진 고층건물의 호칭 그러나 탑이나 기둥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뉴욕의 맨하턴 지구에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381m) 크라이슬러 빌딩(3188m), 세계무역센터빌딩(4123m) 등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데, 마천루(摩天樓)는 이것들을 가리키는 skyscraper를 번역한 것이다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것 시멘트모르타르라고도 한다 시멘트와 모래만을 섞는 것을 건비빔이라고 하여 이것은 쓸 때마다 쓰는 장소에 옮겨 물을 부어 다시 반죽하여 쓴다 시멘트와 물을 경화작용에 의해 모래와 함께 굳어 한덩어리가 된다 그 외에 세립(細粒)골재를 석회·아스팔트·합성수지 등의 고착재에 섞어서 경화시킨 것도 모르타르라고 한다 따라서 모르타르는 고착재의 종류에 따라 석회모르타르, 아스팔트모르타르, 수지모르타르, 페라이트모르타르 등이 있게 된다대뇌반구의 아랫부분(기저부)에 있는 회백질괴(塊) 뇌의 발달과 함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