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 백악기에도 거미가 줄을 쳐서 곤충을 잡아먹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맨체스터대 데이비드 펜니 교수팀은 스페인 북부 알라바에서 발견한 호박 속의 거미 화석이 1억2100만~1억1500만년 전의 것임을 알아내 영국왕립학회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이 거미는 신종으로 ‘메소지기엘라 둔로피’(Mesozygiella dunlopi)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 둥글게 거미줄을 쳐서 곤충을 잡아먹는 거미는 2847종에 이르는데, 이번에 발견한 거미는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연구팀은 “중생대 백악기는 꽃이 피는 식물이 많았던 시기로 화분을 매개하는 곤충이 많았다”며 “이번에 발견한 거미처럼 거미줄을 쳐서 곤충을 잡아먹는 종이 많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펜니 교수가 발견한 중생대 거미화석. 호박 속에 갇혀 잘 보존돼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6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지구과학
  • 역사·고고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