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도청을 불가능하게 하는 레이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와 박홍규 박사팀은 7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지름 1백만분의 1m 크기의 레이저를 개발했다”고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9월 3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 레이저는 도청을 막을 수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교수는 “이 레이저를 바탕으로 전류를 아주 약하게 흘려 빛 알갱이인 광자가 하나씩 나오는 레이저총이 등장하면 이를 이용한 비밀 광통신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광통신을 할 때 광자를 하나씩 보내면 도청을 시도할 때마다 광자의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도청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광결정 레이저’ 로 불리는 이 장치는 특수한 구조로 된 반도체 기판으로 구성돼 있다. 이 기판에 아주 작은 양의 전류를 흘려주면 빛이 증폭돼 레이저가 발생한다. 지금까지는 레이저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레이저가 필요했지만 이 장치는 전기만 연결하면 레이저를 구동할 수 있어 실용화에 유리하다. 또 이 레이저는 빛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어 레이저 크기가 작아지고 적은 에너지로도 만들 수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4년 10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물리학
  • 전자공학
  • 광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