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성에서 발견한 물의 진실

실제 발견한 것은 수소

지난 3월 1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현재 화성 궤도에서 활약중인 오디세이호가 화성에 널리 퍼져있는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NASA의 마이클 메이어 대변인이 “화성 탐사에서 기념해야 할 날”이라며 브리핑을 시작했을 정도로 NASA는 흥분했다.

과연 오디세이호가 발견한 물의 진실은 무엇일까. 오디세이호에는 감마선분광계(GRS)가 장착돼 있다. 감마선분광계는 화성 표면에서 화학원소 20개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감마선은 우주선(cosmic ray)이 화성 표면을 때릴 때 중성자를 내던지며 만들어진다.

이번에 오디세이호의 감마선분광계는 화성에서 감마선과 중성자 방출현상을 관측해 화성 표면 아래에 있는 수소원자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 수소의 가장 그럴듯한 원천에 대해 “바로 물이 언 얼음”이라고 오디세이호 프로젝트의 대변인 과학자 제프리 플로트가 설명했다. 즉 오디세이호가 발견한 것은 물이 아니라 사실 수소였다.

얼음(물)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 곳은 화성 남극에서부터 남위 약 60° 지역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이다. 특히 남극 근처 지표면 아래 약 1m 이내에 상당한 양의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됐다. 물론 아직 데이터가 충분치 않아 화성에 얼음이 정확히 얼마나 있을지 측정할 수는 없다.

또 과학자들은 오디세이호의 열복사 영상시스템(THEMIS)으로 이전에 확인됐던 화산 지역에 아직도 온기가 남아있는지를 알아보고 싶어한다. 만일 화성 표면 아래에 온기가 남아있다면, 이로 인해 얼음으로 가득한 영구동토층이 녹고 그 안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오디세이호의 감마선분광계가 관측한 화성남극의 모습. 파란 부분이 표면 아래에 수소가 많은 지역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2년 04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천문학
  • 지구과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