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 줄 때를 알려주는 감자

수분이 부족하면 형광유전자가 반짝거려

성장하면서 물이 필요하면 반짝거리는 ‘슈퍼 감자’가 유전자 조작을 통해 개발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12월 19일자로 보도했다.

스코틀랜드에 있는 에딘버러 대학의 과학자들은 감자에 발광 해파리인 애쿼레 빅토리아에서 가져온 형광 유전자를 주입했다. 이 유전자는 수분이 부족해지면 자극을 받아 단백질을 형성하고, 이것이 잎에서 녹색으로 반짝거리게 만든다. 이 빛은 맨눈으로 잘 볼 수 없지만 작은 휴대용 장비를 이용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이 감자는 식용으로 개발되지 않았다. 상업 작물과 함께 심어, 다른 작물이 물을 필요로 한다는 정보를 농민에게 알려주는 보초 역할을 하도록 고안됐다. 연구자들은 한 밭 내에서 토지의 물 상태를 측정하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서 애써왔는데, 이것을 가능케 한 것이 바로 식물에게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식물은 내년부터 농작물 재배에 사용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앤토니 트리웨바스 교수는“이 감자는 농민들에게 아주 유용한 작물이 될 것이다. 40년 안에 농작물 재배에서 가장 비싼 것이 물이 될 전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기술이 다른 과일나무나 채소로 확장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물이 부족하면 잎이 녹색으로 반짝거리는 개량된 감자가 다른 유용한 작물의 물 관리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1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농업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