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합메시징서비스 UMS

전화로 e메일을 보낸다

"잘자,내 꿈꿔!"광고에 나오는 것처럼 음성으로 메일을 보내고,메일 내용을 휴대폰으로 듣는 일은 이미 현실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다.심지어 팩스기계가 없어도 팩스문서를 받을 수 있다.이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USM이다.


목소리로 보내는 러브레터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한결이는 통신을 통해 알게된 대학생에게 블랙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자료를 요청했다. 그러자 그 형은 팩스로 자료를 보내주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한결이는 팩스기기가 없었다. 어떻게 할지 곤란해하고 있는데 옆에 있던 친구가 통합메시징서비스(UMS)를 이용하면 쉬울 걸 왜 고민하냐고 하며 자신의 서비스 번호를 알려줬다.

통합메시징서비스는 컴퓨터, 유선전화, 휴대폰, 팩스 등 모든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음성, 팩스, e메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일체형 서비스다. 전자우편을 팩스나 음성으로 보낼 수 있고, 팩스문서를 전자우편으로 받는 등 모든 방향의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로 휴대폰으로 보낸 음성메시지를 컴퓨터로 받아보고, 키보드로 보낸 메일을 휴대폰 음성으로 듣는 휴대폰 업체의 텔레비전 광고가 있다.

장소와 기기 제한 없어

e메일은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요즘에는 휴대폰으로 전자우편을 주고받기도 하지만 역시 제한적이고 불편하다. 하지만 통합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면 일반 전화로 e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나 자유자재로 메시지를 보내고 들을 수 있다.

특히 저장기능이 있어서 음성을 저장해두는 자동응답기로 활용할 수 있으며, 팩스자료도 저장해서 따로 디스켓으로 옮겨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통합메시징서비스 번호에 메시지가 도착하면 휴대폰으로 호출까지 해준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해졌을까.

전화로 메시지를 남기면 그 메시지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데이터는 메시징 센터 컴퓨터에 우편함처럼 존재하는 사용자 사서함에 저장된다. 컴퓨터로 자신의 사서함에 접속하면 광고처럼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듣게 된다. 또 컴퓨터로 보낸 문자메시지의 경우에도 메시징 센터 컴퓨터가 글자를 음성으로 변환해서 전화로 들려주게 된다. 발전하는 인터넷과 컴퓨터 기술이 가능케 한 통합메시징서비스는 인터넷에 기초해서 e메일, 음성, 그리고 팩스 등 다양한 메시지를 통합해 전화, 휴대폰, 인터넷에 서비스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여러 업체가 서비스 경쟁을 벌이고 있다. 올해 3월부터 세계 최대의 UMS업체인 투비슈어닷컴(2bsure.com)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하나로통신과 다우인터넷도 큐리오(Qrio) 서비스를 공동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두루넷은 트루박스(truebox)를, 블루버드소프트는 한박스(hanbox)를 개설해서 통합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드림위즈, 심마니 등의 많은 웹데스크 업체에서도 부가적인 기능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 업체의 서비스 이용 방법은 동일하다. 제일 먼저 인터넷을 통해 회원 등록을 해서 전화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얻어야 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회사콜센터에 전화 ->; 자신이나 메시지 받을 사람의 아이디를 입력 ->; 원하는 서비스 선택 ->; 메시지 전송이나 확인’의 과정을 거치면 음성과 팩스 자료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다. 호출기에 메시지를 남기고 확인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인터넷에서는 웹 화면에서 e메일을 보내듯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도 공짜
 

해외에서도 공짜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비슈어 닷컴의 UMS서비스.


이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무료이다. 또 투비슈어닷컴은 해외에서도 각나라의 콜센터(무료전화)에 전화하면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에서 보낸 메시지를 위치에 관계없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화로 확인할 때 나오는 응답서비스 전화료는 투비슈어닷컴을 제외하고 모두 본인부담이다. 즉 친구에게 전화를 할 때 요금이 나오듯 서비스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을 때 이용되는 전화요금은 청구된다. 이처럼 통합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거의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광고를 이용해 수익을 낸다.

최근에는 대중화된 휴대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메시징서비스 기술에 초점을 맞춰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IMT2000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화상 전화가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통합메시징서비스에서 화상서비스가 추가되면 비디오처럼 화면을 녹화해서 보여주는 기능까지 실현될 전망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0년 05월 과학동아 정보

  • 박응서 기자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