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놀이동산에서처럼 체험할 때 그 재미를 만끽한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이 오는 4월 선보이는 한구과학문화종합정보망(KOSCINET)은 다양한 과학테마공원을 인터넷 사이버공간에 옮겨 놓은 것. "놀고 즐기면서 과학을 알자"는 것이 목적이다.
낚시의 재미는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하는 순간 이를 놓치지 않고 낚아채는 것. 그때 가느다란 줄을 통해 생명의 전율이 느껴진다. 끌려오는 물고기는 무엇일까. 낚시꾼이 되려면 먼저 물고기의 종류와 생태를 알아야 한다. 테마공원 한켠에 자리잡고 있는 사이버 낚시터에 들르면 낚시의 재미에다 자연스럽게 물고기의 생태를 배우게 된다.
또 다른 테마공원인 과학문화극장에 들리면 자연 속에서 숨쉬는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소쩍새, 지빠귀, 물총새, 베짱이, 귀뚜라미와 같이 우리가 잊고 사는 자연의 소리가 마음을 맑게 한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은 이러한 사이버 과학테마공원을 만들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20억원을 투자했다. 국내 최대 규모다. 3천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고, 8천여장의 사진과 그래픽, 수많은 동영상과 소리정보가 입체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옥에 티라면 너무 동영상과 이미지에 신경을 써 속도가 느리다는 점.
과학문화종합정보망에는 모두 9개의 테마공원이 있다. 생활 속의 과학을 쉽게 풀어주는 '즐기며 배우며'를 비롯, 가볼만한 과학축전, 과학문화극장, 과학문화백화점, 가상과학실험실, 선조의 숨결, 생활과학, 첨단제품 속의 과학, 한국의 과학기술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압권은 가상과학실험실. 인터넷 가상공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로 실험하는 것과 똑같이 기구들을 움직여 실험해 볼 수 있다. 물론 선진국에서도 이런 가상 과학실험실은 보기 드물다.
과학문화종합정보망에는 테마공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국내 과학뉴스를 모아 소개하는 '과학문화뉴스', 외국의 우수 웹사이트를 미러링해 한글로 소개하는 '한글로 읽는 해외 웹사이트', 과학문화용어사전, 과학전문가 DB, 과학문화사 연표 등 참고가 될 만한 자료들이 많다.
과학문화재단은 앞으로 과학문화종합정보망을 과학문화를 토론하는 광장으로 만들려고 한다. 그래서 회원에 가입하면 무료로 전자우편 주소를 할당하고, 사이버 과학문화공동체를 만들어 각종 과학동호회들의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과학문화종합정보망은 2000년 12월에 최종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