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다한 정보가 몸을 해친다 '정보피로증후군'

소화불량, 심장질환 발병 가능성

TV, 책, 잡지, 신문, 광고게시판, 그리고 인터넷. 홍수처럼 밀려드는 많은 양의 정보 때문에 머리가 혼란스러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보과다’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일 외에 몸이 진짜 아플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 CNN뉴스에서는 다량의 정보가 사람에게 신체적으로 고통을 줄 수 있다는 심리학자들의 의견을 방영해 눈길을 끌었다.

‘정보과다’는 우선적으로 집중력과 의욕, 그리고 창작능력을 떨어뜨리고 사기를 저하시키는 등 정신적인 측면에서 이상을 일으킨다. 로이터통신사가 영국, 미국, 홍콩,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등 5개국에서 직원 1천3백명을 대상으로 취재한 결과 많은 사람들이 정보과다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매일 수많은 정보에 파묻혀 사는 사람들이었다. 응답자의 3분의 1 정도가 스트레스성 고통을 호소했으며, 43%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또 3분의 2 정도는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소화기관이 기능을 잃거나 심한 경우 고혈압을 비롯한 심장 계통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면이나 성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고.

심리학자들은 이 증상을 가리켜 ‘정보피로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이 질환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얻기 전에 뇌를 충분히 쉬게 해주고, 정신을 집중할 때와 느슨하게 풀 때를 적절하게 조화시켜야 한다. 아무리 하는 일이 재미있어도 건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 홍수처럼 쏟아지는 정보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7년 05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심리학
  • 문헌정보학
  • 언론·방송·매체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