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보고(寶庫)'라 불리는 인터넷에서는 학술관련 정보도 쉽게 구할 수 있다. 특히 전산학을 중심으로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과학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에는 인터넷을 따라올 만한 곳이 없다. 이번 달에는 과학의 각 분야에 관련된 인터넷의 정보 중에서 중요한 곳들을 소개한다.
생물(Biology)
KAIST 생명과학과(http://bioneer.kaist.ac.kr/)
KAIST 생명과학과에서 운영하는 생물학과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모아놓은 국내 웹사이트다. 이곳에는 자체적으로 수집해 놓은 생물학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있으며, 생물학 관련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연결을 곧바로 할 수 있도록 링크들이 체계적으로 잘 정리돼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생물학 관련 뉴스 그룹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많은 검색용 서버에 질의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메뉴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서버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도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http://www-jbc.stanford.edu/jbc/)
생화학 저널을 온라인상에서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웹 사이트다. 최근 이슈(Issue)들을 제목별 또는 저자별로 나열한 리스트를 통해서 기사들을 찾아볼 수 있고 저자 제목 본문 및 기간 등의 검색조건을 사용해 기사를 검색할 수 있는 도구도 제공한다.
Bio Online(http://www.bio.com/)
인터넷 상에서 생물학과 관련된 회사 대학 연구기관 정부기관 및 비영리단체의 정보를 총망라한 웹 사이트다. 이 사이트의 뉴스 메뉴에서는 인터넷 상에서의 생물학 관련 정기 간행물과 저널 외에도 미국정부의 생물학 관련 입법과 규칙에 대한 정보와 주요사건 일지를 볼 수 있으며 비즈니스센터 메뉴에서는 생명공학 관련 각 산업기관의 홈페이지들과 재정자원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생명공학 관련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연구 기관과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관련 사이트로는 ftp.bio.com이 있으며 ftp를 사용해 이 사이트를 통해서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Molecular Biology and BioInformations WWW sampler(http://www2.pasteur.fr/~tekaia/biohypertext.html)
수백개의 하이퍼미디어 링크들을 찾아 헤매지 않고도 관심있는 웹 서비스를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수많은 생물학 관련 서비스 링크들을 하나의 페이지에 모아놓았다. 이곳에는 분자 생물학관련 서버들, 생의학 관련 서버들, 데이터베이스들의 모음, 단백질구조와 3차원 모델링 등과 관련된 수많은 링크들이 있다.
BioScience Digest(http://www.core.co.uk/core/)
과학적인 방법과 기구들의 제품 소개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중인 몇몇 가상 심포지엄을 포함해 웹에서 이용 가능한 가장 최근의 생물학 연구를 자세히 다루고 있는 온라인 잡지다.
Catalogue of books available from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http://www.cshl.org/books/)
이 곳에서는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출판사에서 출판하는 생물학 관련 서적의 목록과 각 서적의 간략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있는 목록 중에서 원하는 책을 주문하고 싶을 때에는 전자메일(cshpress@cshl.org), 전화(516-349-1930), 팩시밀리(516-349-1946)를 이용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바로 주문할 수 있다.
The Visible Human Project(http://www.nlm.nih.gov/extramural-research.dir/visible-human.html)
해부학적으로 완벽하리 만큼 자세한 남성과 여성의 인체에 대한 3차원 표현을 만드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웹 사이트. 현재 이 프로젝트에서는 남성과 여성 신체의 횡단 CT, MRI 및 저온 해부(cryosection) 영상들을 1㎜ 간격으로 모으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 웹 사이트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돼 수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설명과 그것을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 및 샘플 이미지를 볼 수 있다.
IUBio Archive(http://iubio.bio.indiana.edu/)
생물학과 관련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분자와 관련된 데이터,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생물학 관련 뉴스와 문서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았다. 이곳에 보관돼 있는생물학 관련 뉴스는 90년 이후에 인터넷 상의 생물학 관련 뉴스그룹에 올라온 기사들을 모아놓고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나면 볼 수 없는 뉴스들도 이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키워드를 통해 과거의 기사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인터넷 상의 생물학 게이트웨이로서 활용해도 좋을 정도로 상당히 많은 생물학 관련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를 한곳에 관리하고 있다.
BioBox Wonder World(http://shamrock.csc.fi:81/cgi-bin/topbio)
전세계 사람들이 관심있어 하는 생물학 관련 인터넷 사이트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단순히 다른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들을 모아놓은 여타 웹서버들과 달리 이곳에서는 사용하는 사람이 자신이 관심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이트를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한사람, 혹은 몇몇 소수 인원에 의해 선정된 사이트들만을 리스트에 수록하거나 생물학 관련 사이트만 보이면 닥치는 대로 리스트에 집어넣는 웹서버와는 달리 인터넷 사용자중에 생물학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사이트의 현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CSC Computational Biology(http://www.cse.ucsc.edu/research/compbio/)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에 있는 'Computational Biology' 그룹의 홈페이지. Computational Biology는 생물학적 진행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알고리즘의 발견 및 구현을 위한 학문으로서 이 그룹의 구성원들은 DNA와 RNA의 3차원 구조 및 단백질 배열 순서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그룹의 연구산물인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ftp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는 메뉴가 이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된다. 이 그룹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프로젝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UCSC Computational Biology Research Projects'메뉴를 참조하기 바란다.
물리(Physics)
Physics Servers Around the World(http://www.physics.mcgill.ca/physics-services/physics-services.html)
전세계에 있는 물리학 관련 인터넷 사이트들의 목록을 일목요연하게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전송속도가 느린 곳에서 접속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림없이 순수 문자만으로 구성된 홈페이지와 그림들로 보기좋게 장식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따로 제공한다. 또한 유럽 지역에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는 미러(mirror)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보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곳에서는 물리학 관련 BBS, 각 대륙별로 정리된 전세계의 물리학과 사이트들, 물리학 연구소들, 서적, 저널, 물리학 기구 및 장비를 구할 수 있는 회사들, 물리학 회의 등 수많은 물리학 관련 인터넷 사이트들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Metaphysical Review(http://www.yahoo.com/Science/Physics/Journalsl)
물리학과 일반과학에서 개념적으로 어려운 문제와 관련된 서적 편지 논평 수기들을 포함하는 전자저널인 'Metaphysical Review'의 홈페이지다. 이 저널의 구독은 무료이기 때문에 굳이 구독신청을 하지 않아도 온라인상에서 저널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으나 운영자측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저널을 구독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구독을 권유하고 있다. 이곳에서 제공하는 각종 이슈들은 일반 문서(Plain Text) 외에도 포스트스크립트나 REV TeX dvi 등 여러가지 문서형태로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떤 이슈를 보기 원할 때는 해당 이슈에서 자기가 볼 수 있는 문서형태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http://www.aip.orgl)
물리학 지식을 보급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31년에 뉴욕주에서 공인받은 비영리단체인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AIP)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AIP에서 발간하는 여러가지 서적들과 저널들에 대한 정보, AIP에서 제공하는 FTP 서비스, 고퍼서비스 등 각종 인터넷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IP에서 CD-롬 형태로 보급하고 있는 물리학 관련 교육 소프트웨어 및 저널의 목록과 그것들을 구하는 방법도 찾아볼 수 있다.
Physics:Preprint archives & Publishers & Books & Journals(http://www.physics.mcgill.ca/physics-services/physics-publ.html)
물리학과 관련된 각종 서적 저널 출판사 및 포스트스크립트 형태로 미리 인쇄된 자료들을 구할 수 있는 서버에 대한 링크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수많은 링크들을 여기서 볼 수 있는데, 각 링크들은 Preprint archives, Journals, Magazines, Newsletters, People in Publishing, Publishers, Books 순서의 분류에 따라 알파벳 순으로 정리돼 있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리스트들은 주기적으로 최신 정보에 맞추어 갱신되고 있으므로 물리학 관련 서적정보를 자주 찾는 사람에게 아주 유용하다.
The High Energy Weapons Archive(http://www.ph.unimelb.edu.au/~gau/smurf.html)
이곳은 물리학과 고에너지 폭발기구에 대한 몇몇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자료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인터넷의 이곳저곳에서 모은 핵융합, 원자력을 동력으로 쓰는 항공기 등 수많은 관련 주제에 대한 단편적인 글들을 볼 수 있다. 현란한 그림들로 치장하거나 재미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여타 사이트들과는 달리 겉으로 보기엔 문자로만 이루어진 메뉴들의 나열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한눈에 관심을 끌지는 못하겠지만 차분하게 하나씩 여기에 있는 글들을 읽어내려가다 보면 의외로 흥미있는 내용을 많이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SISSA.IT e-prints server(http://babbage.sissa.it/)
물리학과 관련된 연구논문들을 출력할 수 있는 파일 형태로 모아놓고 이를 전자우편을 통해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여러가지 검색조건을 통해서 논문들의 목록과 개요를 검색해 볼 수 있으며, 해당 논문이 필요할 경우에는 xxx.lanl.gov의 각 분야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get〈paper#〉' 형식의 명령을 내용으로 가지는 전자우편을 보내면 해당논문을 전자우편을 통해 받을 수 있으며 이밖에도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보기 위해서는 help 메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http://www.fnal.gov/fermilabhome.html)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입자가속기인 '테바트론'(Tevatron)을 가지고 있는 페르미 입자 가속기 연구소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페르미 연구소에 대한 소개, 톱쿼크(Top Quark)의 발견과 관련된 정보, 페르미 연구소에서 수행중인 연구들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정보 등을 볼 수 있다.
Black Holes and Neutron Stars(http://cossc.gsfc.nasa.gov/htmltest/rjn-bht.html)
블랙홀과 중성자별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는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블랙홀 및 중성자별과 관련된 각종 MPEG 형태의 동화상도 볼 수 있다. 물론 이것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MPEG viewer용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MPEG 파일의 경우 크기가 다른 형태의 파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크므로 마우스로 클릭해서 한번만 보고 말 것이 아니라 파일 형태로 디스크에 전송받아 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NCSA Relativity Group(http://jeanluc.ncsa.uiuc.edu/)
블랙홀과 중력파,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고된 다른 현상들을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연구하는 그룹인 'NCSA Relativity Group'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이 그룹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들, 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구성원들, 이 그룹으로부터 발간된 여러가지 문서들에 대한 정보 등 매우 많은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이 홈페이지는 기본적으로 커다란 이미지 버튼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전송속도가 느린 곳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문자 메뉴만으로 구성된 홈페이지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전송속도가 느리지 않더라도 이곳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은 문자메뉴만으로 구성된 홈페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할 것이다.
Physics News(http://www.het.brown.edu/news/index.html)
인터넷 상의 물리학과 관련된 뉴스를 볼 수 있는 웹 사이트이다. 누구든지 기사를 올릴 수 있는 일반적인 뉴스그룹을 볼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게이트웨이가 아니라 자체적으로 선정한 뉴스들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놓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제각기 기사를 올려놓아 산만한 일반적인 뉴스그룹과는 달리 일관된 분류 기준에 따라 자료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배치해 놓았기 때문에 신문을 읽는 가벼운 마음으로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웹사이트다.
화학(Chemistry)
Biochemical Resources(http://biores.com)
산업계의 여러 회사들로부터 구할 수 있는 화학생화학 및 실험실 제품을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찾기 힘든 각기 다른 그룹의 회사들로부터 생산된 제품이나 최신 제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은 무료이며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된다. 이 웹 서버는 현재 cgi-bin 인터페이스를 통한 검색 도구를 제공하지 않으며 홈페이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단순히 telnet 게이트웨이 역할만 하고 있다. 즉, 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access the database' 링크를 화면상에서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telnet://guest@biores.com/'으로 직접 접속해야만 한다. 모뎀을 통해 접속할 경우 전화번호는 1-800-968-4075이며, 제공되는 모뎀속도는 9천6백bps다.
Global Instructional Chemistry(http://www.ch.ic.ac.uk/GIC/)
화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들을 모으고 교환하는 포럼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교재와 수업에 알맞은 화학문제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자료를 찾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검색도 이용할 수 있고 프로그램이나 여타 소프트웨어를 얻을 수도 있다. 각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분류되어 메뉴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관심있는 자료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Conversion of Units(http://www.chemie.fu-berlin.de/chemistry/general/units.html)
온라인 상에서 과학에서 쓰이는 각종 단위를 변환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From 필드에 변환하고자 하는 단위의 수치를 입력한 뒤 메뉴에서 해당 수치의 단위가 어떤 것인지를 선택하고, To 필드 메뉴에서 결과 단위를 선택해주면 변환 결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From 필드에 3을 입력하고 m(미터)이란 단위를 메뉴에서 선택해주고 To 필드에 inch를 선택한 다음 Submit 버튼을 누르면 이내 '3m=118.1102 inch'라는 결과가 나온다. 이런 간단한 단위변환 정도야 수첩 뒤에 있는 단위변환표를 보고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번거롭게 이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없지만, 과학에서 쓰이는 온갖 수많은 단위들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희귀하게 쓰이는 단위를 변환하려고 하는데 책을 뒤적거리기 귀찮을 때에는 간단하게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International Chemistry Olympiad(IChO) (http://ezinfo.ethz.ch/ETH/DCHEM/TECH-CHEM/olympiad.html)
전세계 학생의 화학 경연을 위한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의 홈페이지다. 이 대회에서의 이론 및 실험문제들은 화학 각분야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각 나라당 4명의 학생들이 매년 출전하며 1994년에는 노르웨이의 오슬로에서 개최돼 42개국이 참가하였다. 1995년에는 중국의 북경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홈페이지에서는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의 규칙 및 선발단계 등 대회에 대한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다.
Nanoworld(http://www.uq.oz.au/nanoworld/nanohome.html)
강력한 전자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세계를 보여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위치한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원자나 분자 세포와 결합 세포 크기 수준의 물질 구성과 구조를 값비싼 전자현미경 없이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다. 이미지 갤러리 메뉴로 들어가보면 사람의 신체부위 벌레 각종 물질 등을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이미지들을 분류별로 모아놓고 있는 리스트를 볼 수 있고,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보기를 원하는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는 3백kB가 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가 다수 있으므로 전송 속도가 느린 곳에서 보려면 인내심이 요구된다.
Some Chemistry Resources on the Internet(http://www.rpi.edu/dept/chem/cheminfo/chemres.html)
이것은 인터넷 여기저기에 분산되어 있는 화학 정보자원의 HTML 버전 리스트다. 원래 폴리 패링턴(Polly Farrington)이라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고 나중에 개리 위긴스(Gary Wiggins)란 사람에 의해 확장됐다. 인터넷 상에서 접근 가능한 각종 화학 관련 자원들이 서적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문서전송, 전자우편 서버들, FTP 자원, 고퍼, 온라인 검색 서비스 등의 분류별로 잘 정리되어 있다. 이 안내서의 가장 최근 텍스트 버전 문서는 항상 'gopher://gopher.cica.indiana.edu:72/11lchem/'에서 'resource.xxx'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때 뒤에 붙는 xxx는 버전을 나타내는 숫자다.
American Chemical Society(http://www.acs.org/)
15만명에 달하는 화학자와 화학공학자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화학 협회인 'American Chemical Society'(ACS)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협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이 협회에서 운영하는 각종 분과의 활동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키워드를 통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협회에서 운영하는 FTP 서버는 'ftp://acsinfo.acs.org/'이며, 고퍼서버는 'gopher://gopher.acs.org'이다.
WebElements(http://www-c8.lanl.gov/infosys/html/periodic/periodicmain.html)
온라인상에서 주기율표상의 각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웹 사이트다. 이곳에 접속하면 맨처음 화면에서 컬러풀한 주기율표를 볼 수 있으며 주기율 상의 원소 중 하나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물질의 번호 기호 원자량 전자수와 함께 물질과 관련된 역사에 대한 내용을 볼수 있다. 주기율표를사용한 검색 뿐만 아니라 원소와 연관된 키워드를 이용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The International Global Atmospheric Chemistry(IGAC) Project(http://web.mit.edu/afs/athena.mit.edu/org/i/igac/www/)
지구상의 환경과 인간 시스템 사이에 복잡한 상호작용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요 국제 단체인 IGAC의 홈페이지다. IGAC는 1983년부터 1988년 사이에 이루어진 몇몇 국제모임의 결과로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수십년간 관측된 지구 대기조성의 급속한 변화와 인간활동에 미치는 잠재적인 중요성에 대해서 고조되고 있는 국제적인 관심을 대변하기 위해서 계획됐다. 이곳에서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이유와 그간의 역사,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관련 조직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계획과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방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금호 화학 연구소(http://camd1.kkpcr.re.kr/)
금호그룹에서 운영하는 화학 연구소의 홈페이지다. 이곳에는 금호그룹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인터넷에서 화학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수 많은 사이트들의 목록이 알파벳 순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인터넷 상의 화학관련 검색도구로의 링크들을 볼 수 있다. 아직은 주목할만한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농후한 몇 안되는 국내 화학관련 사이트 중 하나다.
컴퓨터(Computer Science)
The Genetic Algorithms Archive(http://www.aic.nrl.navy.mil/galist/)
유전자 알고리즘 연구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이다. 이곳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과 관련된 과거 이슈들과 수많은 유전자 알고리즘 구현 소스프로그램, 관련 회의에서 발표된 내용들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전세계의 컴퓨팅 혁명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이트들의 링크들도 다수 포힘하고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사람이나 관심있는 사람들이 꼭 한번쯤은 들려봄직한 사이트이다.
Parallel Computing Archive(http://www.hensa.ac.uk/parallel/)
병렬, 고성능 컴퓨터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병렬컴퓨터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서적 회의 뉴스그룹 및 관련 인터넷사이트들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연구와 관련된 알고리즘 구조 성능평가 시뮬레이션 이론에 대한 자료를 구할 수 있다. 이 사이트의 특이한 점은 HTML 3.0의 향상된 기능을 고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홈페이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클릭해보면 알 수 있다.
Al-related FAQs(http://www.cs.cmu.edu/Web/Groups/Al/html/faqs/ai/ai-general/top.html)
인공지능과 관련된 뉴스그룹과 메일링 리스트의 FAQ(사람들이 자주 궁금해 하는 질문들과 그에 대한 답을 모아놓은 문서)를 집대성 해놓은 웹 사이트다. 여타의 사이트들이 FAQ를 단순히 모아놓기만 한 반면에 이곳에서는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해 놓아 엄청나게 많은 질문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배려해 놓았다. 인공지능에 관해서 의문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유용한 사이트다.
Computer Vision(http://www.cs.cmu.edu/afs/cs/project/cil/ftp/html/vision.html)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컴퓨터 화상인식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이곳에는 5천개 이상의 시험이미지들, 화상인식 관련 자료들을 구할 수 있는 FTP 및 고퍼 서버, 문서자료, 소스 프로그램 코드, 뉴스그룹, 회의, 80개 이상의 연구그룹들에 대한 링크들을 분류해 모아 놓았다. 또한 8천개가 넘는 문서들을 키워드를 통해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도구도 제공한다.
Information Systems Meta-List(http://www.cait.wustl.edu/cait/infosys.html)
인터넷 상의 컴퓨터 관련 정보를 총망라해놓은 웹 사이트다. 일반적인 정보도 찾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이 기술적인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사용하기에도 좋은 사이트다. 예를 들어 인포믹스(Informix) 잉그레스(Ingres) 오라클(Oracle) 사이베이스(Sybase) 굽타(Gupta) 마이크로소프트 SQL server IBM DB2 등의 상용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베이스 패키지에 대한 풍부한 정보로부터 시작해 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트랜잭션모니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개발 도구,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도구, CASE 도구, 분산컴퓨팅, 분산 객체지형 컴퓨팅 등 거의 없는 것이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들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분야별로 정리해 놓았다.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컴퓨터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꼭 한번씩은 들려보도록 권장할 만한 사이트다.
High Performance Networks and Distributed Systems Archive(http://hill.lut.ac.uk/DS-Archive/)
고성능 네트워크와 분산 시스템 분야 개발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와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이곳에는 전체 인터넷으로부터 수집된 기술문서, 관심있을 만한 공지사항, 워크숍과 회의 참가 및 논문모집,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다. 이곳은 예전에 고퍼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이제는 웹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urrent Operating Systems and OS-related research(http://www.cs.arizona.edu/people/bridges/oses.html)
컴퓨터 운영체계와 관련돼 현재 진행중인 연구와 이미 완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운영체계들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를 한군데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리눅스(Linux) 마하(Mach) OS/2 윈도우 도스와 같이 널리 알려진 운영체계 뿐만 아니라 스핀(SPIN) 스카우트(Scout) 등과 같은 현재 연구진행중인 다양한 특성의 운영체계들 홈페이지에 대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볼 수 있다.
A Collection of Computer Science Bibliographies(http://cosmos.kaist.ac.kr/pub/bibliographies/index.html)
전산학과 관련된 논문에 대한 약 6백여개의 목록, 약 36만개의 참고문서, 1백60MB에 달하는 BibTex 항목들로 구성된 모음집을 가지고 있는 웹 사이트다. 전세계에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20개 미러(mirror) 사이트가 있으며, 위에 명시한 URL 주소는 KAIST에 있는 미러사이트다.
여기서 제공되는 세부 분야별로 분류된 메뉴를 통해서 원하는 논문을 찾을 수도 있으며 검색도구를 이용해 키워드를 가지고 검색할 수도 있다. 전산학 관련 논문을 찾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유용한 웹사이트이다.
Object-Oriented Information Sources(http://cuiwww.unige.ch/OSG/OOinfo/)
인터넷 상에서 객체지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근원지에 대한 링크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일반적인 객체지향 정보, 객체지향을 연구하는 그룹들의 홈페이지, 관련 논문들의 목록, 저널이나 모임으로부터의 논문모집, 객체지향프로그램 언어, 객체지향 시스템, 교육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를 분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다. 인터넷에서 객체지향과 관련된 정보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 맨 먼저 들려야 할 곳.
3DSite(http://www.lightside.com/3dsite/)
3차원 컴퓨터 그래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3차원 그래픽과 관련된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FTP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 3차원 그래픽 관련 하드웨어 제품, 3차원 이미지와 동화상 소프트웨어 가상현실 등과 관련된 수많은 링크들을 가지고 있다.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매우 유용한 사이트이다.
천문·우주(Astronomy)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http://blackhole.aas.org/AAS-homepage.html)
천문학자들과 다른 과학자들, 그리고 천문학에 관심이 있는 개인들을 위한 북아메리카의 주요기관인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의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매년 두번 1월과 6월에 모임을 가지는데, 이 중 최근에 이루어진 모임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얻을 수 있으며, 이 기관에서 발행하는 세가지 저널 (The Astronomical Journal, The Astrophysical Journal and Letters, and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의 내용을 볼 수 있다.
AstroWeb(http://fits.cv.nrao.edu/www/astronomy.html)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한 천문학 관련 자료에 대한 링크를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7개 기관에서 9명의 협조체계인 AstroWeb컨소시엄에 의해서 유지되는데, 이 곳에서는 여러 자료들의 분류된 목록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검색도구를 사용하여 AstroWeb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CyberSky(http://www.astro.ucla.edu/staff/stephen/cybersky.html)
컴퓨터 화면을 천문관으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인 'CyberSky'의 홈페이지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현재 과거 미래의 하늘을 탐험함으로써 천문학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3.1, 혹은 그 이상 버전에서 작동하며 이 홈페이지에서 바로 프로그램을 다운 로드 받을 수 있다.
Earth and Universe(http://www.eia.brad.ac.uk/btl/)
별들과 은하에 대한 편리한 멀티미디어 가이드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우주의 기원, 별들의 일생, 태양, 은하, 별들의 형성, 별들의 에너지 등에 관한 정보를 움직이는 동화상과 스피커로 울려퍼지는 음성을 통해 접할 수 있다. 동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MPEG 파일을 볼 수 있는 외부 뷰어(external viewer)가 웹 브라우저와 함께 인스톨돼 있어야 하며,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사운드카드와 au 포맷 파일을 위한 외부 뷰어가 따로 있어야 한다.
Astronomy Now Online(http://www.demon.co.uk/astronow/)
1987년에 처음 발간된 영국의 천문학 잡지 'Astronomy'의 웹 사이트다. 이 잡지에서는 아마추어에서 프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 이미 발행된 잡지의 내용을 직접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달 잡지에 어떤 내용이 실릴 것인지에 대한 예고도 살짝볼 수 있다.
NSSDC Photo Gallery(http://nssdc.gsfc.nasa.gov/photo-gallery/photogallery.html)
천문학과 관련된 각종 사진들을 모아놓은 웹 사이트다. 수성 금성 지구 달 화성 목성 토성 등 태양계 각종 행성의 사진 뿐만 아니라 블랙홀이나 다른 은하계의 사진 및 우주탐사선들의 사진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진들은 전송속도 상의 이유 때문에 간단한 설명과 함께 조그마한 상태로 메뉴상에서 표시되며 보다 세밀한 사진을 보기 위해서는 원하는 사진이 위치한 곳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Stargazer Map(http://www.mtwilson.edu/Services/starmap.html)
위치와 시간을 지정해주면 해당하는 별의 지도를 포스트스크립트 형태의 파일로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위치 시간 외에도 자신이 원하는 몇가지 조건을 더 지정해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은 포스트스크립트를 지원하는 프린터로 출력해서 보거나 고스트스크립트(ghostscript), 고스트뷰(ghostview)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화면상에서 볼 수 있다.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http://www.gsfc.nasa.gov/NASA-homepage.html)
미연방우주항공국(NASA)의 홈페이지다. 이곳에서는 NASA의 전략적 계획, 공적 업무, 역사, 교육 프로그램, 온라인 교육 자원, 주제별로 분류된 NASA의 정보 근원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다른 우주 항공관련 사이트로의 많은 링크를 별도의 메뉴로 가지고 있으므로 NASA에 관심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우주항공관련 자료를 인터넷에서 처음 찾는 사람에게도 유용하다.
Views Of The Solar System(http://www.c3.lanl.gov/~cjhamil/SolarSystem/homepage.html)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에는 태양계에서 볼 수 있는 태양 행성 달 소혹성 혜성들에 대한 사진과 정보를 볼 수 있다. 원하는 행성의 사진을 마우스로 클릭하기만 하면 그 행성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고 전문용어의 경우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용어설명 페이지와 연결되어 있어서 뜻을 모를 경우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용어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천문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아주 유용한 사이트다.
NOAO Network Services(http://www.noao.edu/)
천문학을 연구하기 위한 대학들의 모임인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AURA)에 의해 조정되는 전미국광학천문대들의 모임인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ies'(NOAO)의 홈페이지다. 여기서는 각 천문대에서 관측된 일식이나 월식사진들과 행성 등의 관측사진을 볼 수 있고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
환경(Environment)
ATSDR Science Corner(http://atsdr1.atsdr.cdc.gov:8080/cx.html)
인터넷 곳곳에 흩어져 있는 환경 관련 정보에 대한 링크를 한데 모아 찾아보기 쉽도록 집대성한 HTML 문서다. 이곳에는 환경 관련 정보에 대한 링크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여러 검색 서비스에 대한 질의를 직접 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 모든 것이 하나의 문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딩 시간은 좀 오래 걸리지만 큰 분량의 문서 내에서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분류메뉴를 문서 맨앞 부분에서 제공하므로 로딩한 이후에는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다.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NIEHS) (http://enterprise.niehs.nih.gov/EHPhome.html)
미국환경과학협회(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에서 1년에 4번 발행하는 저널인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의 홈페이지다. 이 저널은 1972년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환경과학의 이슈와 발전에 대한 정보를 검증, 토론하고 배포를 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하기 위해 재구성되어 왔다. 이곳에서는 이 저널의 최근호에 실린 기사내용을 볼 수 있다.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Library(http://library.niehs.nih.gov/Home.html)
미국환경과학협회에서 제공하는 도서 검색 서비스. 이곳에서는 필요한 환경관련 서적을 온라인상에서 주문할 수 있고, 필요한 저널 구독을 신청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협회 회원들에 의해서 선정된 인터넷 사이트들의 목록도 볼 수 있다. 이 목록에는 각 과학분야에 따라 만들어진 시작지점(starting point)에 대한 링크들, 미국정부의 환경관련 정보와 기관들에 대한 링크들, 인터넷 상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들에 대한 링크들, 그리고 환경관련 뉴스와 전자 저널들에 대한 링크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Electromagnetic Environmental Effects (E3) Division(http://rsd1000.gtri.gatech.edu/public-html/eeedhome/eeedhome.htm)
전자기가 환경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는 'Electromagnetic Environmental Effects'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분야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홈페이지 첫머리에서 볼 수 있으며, 각 분야에 대한 세부 정보를 분류별로 볼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Radiation and Health Physics(http://www.umich.edu/~bbusby/)
방사능과 관련된 정보들과 링크들을 집대성 해놓은 웹 사이트다. 인터넷 상에 있는 수많은 방사능 관련 정보들을 이곳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수많은 정보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방사능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게 자신이 흥미있어 하는 방사능 관련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볼 수 있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 방사능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 (방사능 관련 기본용어, 간단한 수필, 출판물에 대한 정보)
* 방사능 규제기관에 대한 정보
* 전문가를 위한 정보(방사능 관련 기관들, 전자우편주소들, 관심분야, 공문서)
* 바사능 관련 분야들에 대한 정보(방사능 가속기, X선, 핵발전, 원자력공학, 핵무기, 방사능차폐 등 다수분야 포함)
* 방사능 연구 정보 근원지(방사능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기관, 학교들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
* 방사능 교육 관련 정보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Sciences Institute(http://www.eohsi.rutgers.edu/)
환경오염물이 건강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에 초점을 둔 과학자들과 교육자 및 정책연구가들의 모임인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Sciences Institute(EOHSI)의 홈페이지다. 이 단체에서는 환경 건강 환경 정책 노출측정 및 직업건강, 중독과 관련된 전문 소그룹을 따로 운영하고 있으며 각그룹에 대한 개요와 함께 그룹을 이끌어나가는 책임자에 대한 정보를 볼 수있다. 다른 환경관련 단체나 기관들에 대한 링크도 포함하고 있다.
HazDat(http://atsdr1.atsdr.cdc.gov:8080/hazdat.html)
중독환경과 이와 관련된 질병을 등록하는 기관인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에서 운영하는 유해물질 방출과 건강에 대한 효과를 모아놓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대자본 기업으로부터의 유해물질 방출이나 혹은 긴급사건으로 인한 유해물질 방출, 이러한 유해물질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이 웹 사이트에서는 지정한 지역 내에 운영되는 관련 사이트를 검색하거나 지정한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검색방법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