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에 개최될 '지구섬미트'(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주요국의 정상회담)에서 조인을 목표로 하고 있는 지구온난화방지대책이 각국의 이해가 엇갈리면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말 제네바에서 열린 4차실무회담에서 각국 주장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열거한 '초안'이 작성되긴 했지만, ${CO}_{2}$배출규제나 개발도상국의 자금지원문제 등 수백개 조항에서 아직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2월에 뉴욕에서 5차 실무회담이 개최될 예정이지만 각국의 이해가 좁혀질 전망은 보이지 않는다.
중국 인도 등이 주축이 된 개발도상국에서는 과거의 환경파괴에 대해 선진국이 배상해야 한다는 '오염자 부담원칙'을 총론에 명기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고, 선진국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가장 대립이 격심한 부분이 ${CO}_{2}$를 포함한 온난화가스 배출문제. 참가국들은 선진국, 개발도상국, 해면상승으로 국토면적이 줄어들 위기에 처한 섬나라 연합(AOSIS)으로 나뉘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EC측은 2000년의 ${CO}_{2}$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고정시킨다는 안을 내놓고 있지만, 미국은 실시기간을 명시하고 ${CO}_{2}$ 감소목표를 정하는데는 반대라고 강경자세를 취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입장은 국가별 총량기준으로 정할 것이 아니라 1인당 배출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 개발도상국 내부에도 석유소비량 감소를 우려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과 조기에 온난화방지대책이 필요한 AOSIS나라들의 의견차이가 심하게 대립되고 있다.
여기서 가장 핵심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나라는 미국. 가장 많은 ${CO}_{2}$ 배출국인 미국은 EC나 일본에서 내놓은 안조차 거부하고 자국의 경제성장 둔화만을 걱정한 채, '점차로 온난화 가스 농도를 안정시킨다'는 선언성 협약안에만 동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