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롬카드화한 만능 한글 프로그램

한메한글 2.0/한메소프트

대학생들이 주축이 된 한메소프트에서 개발한 한메한글 2.0은 이전 버전과는 달리 롬(ROM) 카드화한 특징이 있다.

컴퓨터란 개념이 외국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우리 실정에 맞추어 사용한다는 것은 약간의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영문으로 작동되게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에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 역사가 얼마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한글을 구현하려는 노력은 컴퓨터가 도입되는 그 시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많이 쓰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디베이스 또는 스프레드시트인 로터스 1-2-3, 프로그래밍에 많이 쓰이는 터보C 터보파스칼 같은 프로그램의 경우 영문으로 덴 데이터 보다는 한글로 데이터를 만들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데이터베이스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 국내에도 나와있기는 하지만 작동방법과 호환성 등의 문제로 외국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이들 프로그램에서 한글 한자를 쓸 수는 없을까.

한글을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소프트웨어적인 방법과 하드웨어적인 방법이다. 두가지 방법에는 각기 장단점이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한글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한글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한글이 나오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대부분의 영문 소프트웨어에서 한글을 사용하는데 크게 불편이 없다. 소프트웨어 한글은 한글카드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한글이 나오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크고 복잡하다. 또한 문자폰트를 기억장치인 램에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자폰트가 램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한글의 모양을 바꿀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한메한글이다. 한메한글 1.5버전까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한글을 처리했으나 한메 한글 2.0은 이전 버전과는 달리 롬카드화해 복사방지장치가 없다. 차후에 행하여지는 버전 업(개정판으로의 교환)은 디스켓(프로그램)교환과 케텔(KETEL)이나 PC서브같은 통신서비스를 통해 이루어 질 계획이다. 한메한글은 롬카드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롬카드에는 자형(폰트)과 기타 데이터 부분이 내장되어 있다. 한메한글은 한글 코드의 지원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합형 코드를 기본으로 했으며, 행정전산망용 또는 교육용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KSC5601 완성형 코드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화면의 코드와 프린터의 코드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서, 화면에서는 조합형 코드를 사용하면서도 프린터는 완성형 코드를 또는 그 반대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한매한글 2.0
 

메모리를 적게 차지

한메한글은 NKP와 같은 한글처리 프로그램에서 통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에 한글이 깨지거나 또는 한글 입력 도중 상대방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볼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했으며, 프로그램 동작시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므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다.

한메한글 2.0은 이전 버전에 비해 사용자 정의 문자(user-defined character)를 지원한다. 사용자 정의 문자나 특수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한자를 입력하는 것과 비슷한데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가 속해 있는 한글 낱자를 입력한 후 한자 입력 글쇠를 눌러 원하는 기호를 선택하면 된다. 한메한글은 한영전환 글쇠나 한자입력글쇠를 사용자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한글자형에 있어서는 두가지 이상의 글자 모양을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지만 원하는 글자의 모양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본문체, 고딕체, 가는 본문체, 샘물체 중 하가지로).

한메한글은 대학생들이 주축으로 이루어진 (주)한메소프트에서 90년 8월에 개발해 (주)삼테크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업그레이드(향상판 제공)가 되고 있다. 한메한글은 IBM PC XT/AT/386/486 호환기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운영체제는 MS DOS 2.10 이상 또는 DR-DOS 5.0이상에서도 가능하다. 메모리는 2백56KB이상이면 되고 그래픽카드는 허큘리스카드 또는 VGA카드면 된다.

가격은 한메한글 버전 2.0이 4만8천원, 한메한글 레이저 버전 1.0이 6만6천원이다. 노트북용 한메한글은 대량공급용으로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 물량만 취급하고 있다. 현재 삼성물산과 삼성전자의 노트북에 한글 지원 프로그램으로 공급되고 있다.


한메한글 롬카드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1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이미아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