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선이 맥주거품을 만든다는데…

베바트론 쏘아 보았으나 반응 없어

 

우주선과 맥주거품의 관계는?


1950년대의 물리학자 도널드 글레이서가 우주선(線)이 발생시키는 거품을 추적하기 위해 몇시간 동안 맥주잔을 들여다 봤다는 얘기는 물리학계에서 오래도록 회자되고 있다.

이 얘기는 그동안 수없이 반복되곤 했는데 최근 미국 버클리대학의 물리학자인 프랭크 크로퍼드가 이 일을 재현해냈다.

그는 글레이서의 주장대로 우주의 소립자가 정말로 맥주의 거품을 만들 수 있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감마선을 방출하는 약한 방사선인 코발트 60을 맥주잔에 조사해 보았다. 그러나 새로운 거품은 전혀 생기지 않았다. 계속해서 그는 더 강력한 감마선을 방사선 차단체인 납이 도금된 잔속에 들어 있는 맥주를 향해 발사했다. 그렇지만, 여전히 새 거품은 볼 수 없었다.

끝으로 크로퍼드는 강력한 가속장치인 베바트론을 활용, 우주에서 가장 강한 방사선을 맥주에 쏘아 보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그는 차기운 맥주를 끓게(거품이 나게)할 정도의 우주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으면서 그 이유를 설명했다.

사실 글레이서가 고안한 '우주선 잡는' 거품실은 과열된 액체수소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그렇지 않아도 끓기 일보직전인 액체수소에 감마선 등 고에너지의 우주선이 통과하면 수소기체 즉 거품이 생길것이다. 그러나 차가운 맥주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우주의 소립자가 맥주를 끓게 할 정도로 강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맥주병의 따개를 딸 때 생기는 거품들은 순전히 탄산가스일 뿐이다.

아무튼 맥주를 여러 잔 먹을 때까지 아무 것도 볼 수 없었다는 약 40년 전의 글레이서의 불평은 크로퍼드에 의해 실험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1년 06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