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할수 있는 능력 즉 정보나 추상적인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복잡한 소리들을 매우 빠르고 명확하게 변화시키는 일은 인간 고유의 특장(特長)이다. 우리는 말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5만년전에 지구에 등장한‘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보다 앞서 어떤 생물이 말할 수 있었을까? 대다수의 인류학자들은 그 질문에 대해서 “아니오”라고 대답해 왔다. 그러나 한 놀라운 새 발견이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이 “예”일 수도 있게 한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동물 즉 큰 원숭이들도 말하지 않으며 더욱 중요한 사실은 말을 할수가 없다는 것이다. 원숭이의 후두와 그 주변부위는 인간이 할수 있는것만큼 소리를 빠르게 변화시킬수 있도록 발달(마련)되어 있지 않다.
침팬지와 고릴라한테 간단한 의사가 전달될수 있도록 훈련도 해왔으나 이것도 신호나 몸짓을 통해서 해온것 뿐이다.
그들중 가장 영리한 놈이나 열심히 훈련시킨놈도 날수 없는것처럼 말을 할수가 없다. 그들은 해부학적으로 어느쪽도 할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이다. 앵무새나 구관조같은 새들은 우리것과 전혀 다른 목구멍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내는 소리를 흉낸내도록 훈련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물론 이해는 못한다.
돌고래는 쉽게 우리의 능력 이상으로 소리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돌고래들이 그 소리들을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말을하는데 사용하는지 확언할 수 없다.
아무튼 우리의 선조들이 과연 언제부터 말하기 시작했느냐에 관한 의문이 남아 있다. 현생인류보다 더 원시적이었던 원인(原人)들이 가까스로 말할 수 있었을까?
5백만년 전부터 20만년 전까지 살았던 진짜원인, 즉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직립원인)등이 말할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들의 두뇌는 충분히 크지 않았다.
문제는 네안데르탈인이다. 이들은 약 30만년 전에 지상에 나타났고 3만여년 전까지 멸종되지 않고 살아왔다.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은 우리의 골격구조와 너무 비슷해서 그들은 흔히 현생인류의 아종(亜種)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호모 사피엔스 네안데르탈렌시스’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그들의 머리는 우리의 머리만큼 크거나 약간 더 큰 경우도 있다. 그러나 뒷쪽이 크고 앞쪽이 작은데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알수가 없다.
의문은 과연 네안데르탈인이 말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해답의 열쇠는 혀뼈(설골)에 있다. 이 뼈는 혀의 기저부에 있는 U자형의 작은 뼈이다. (하이요이드란 그리스어로 U자형의 뜻) 이 뼈는 두 군(群)에 속해 있는 11개의 작은 근육들에 의해 후두와 붙어있는데, 다른 뼈들과는 연결돼 있지 않다. 이 근육들은 후두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가지 모음과 자음을 연속적으로 빠르게 소리낼 수 있게 한다. 혀뼈가 없다면, 우리는 어떤 방법으로도 후두를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혀뼈를 ‘말하는 뼈’라고 부르는 것 같다.
지금까지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중에서 혀뼈를 가진것은 없었다. 그래서 그들이 말을 하지 않았다는 결론은 합당하게 보여졌다. 그들은 꽤 잘 의사소통을 했을지 모르지만 그것은 단지 신호언어나 끙끙소리로만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증거들이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혀뼈는 매우 작은 것으로 두께가 1인치밖에 안되고 두개의 좁은 ‘혼’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다른 뼈와 연결도 안돼 있다.
몸이 썩을때 혀뼈는 늘어져서 다른 유골로 부터 멀리 떨어져 놓일수 있다. 이제까지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중에서 그런 이유로 후두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이 말을 할수가 없었다고 확신할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1989년 4월, 텔 아비브대학의 ‘바루츠아센버그’교수와 프랑스 보르도대학, 미네소타의 무어헤드대학에서 온 동료 교수들에 의해 놀라운 발견이 보고되었다. 이스라엘의 ‘카멜’산에 있는 한 동굴에서 그들은 현생인류의 것과 모양이나 크기에서 거의 꼭 같은 혀뼈를 가진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을 발견한 것이다. 유골의 연대는 6만년전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발견이 뜻하는 바는 네안데르탈인이 해부학적으로 말할수 있었다는 것이다.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와 아마 5만년이나 같이 살았으며 그들의 사촌격인 보다 진화된 현생 인류에게서 말을 배울수 있었을 것이다.
나는 이문제에 개인적인 흥미를 느끼고 있다고 고백해야만 하겠다. 공상과학 작가들은 흔히 선사시대를 다루며 특히 네안데르탈인을 많이 다룬다. 지난 1939년 내 절친한 친구인 ‘레스터 델 레이’가 매우 감동적인 소설을 썼는데 제목은 ‘그날은 오고’였다. 이 소설은 주위의 현생인류에 의해 친절한 보살핌을 받았으나 열등감때문에 절망하여 죽고만 최후의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얘기를 쓴 것이다. 그 열등의식의 한가닥은 말을 할수가 없었다는 것이었다.
나는 이소설얘기에 찬동하지 않았다. 나는 네안데르탈인은 우리와 너무 비슷해 말을 할수 없었으리라고는 느끼지 않았다. 나는 1958년 ‘못생긴 작은 소년’이라는 소설을 썼는데 이 소설에서 한 네안데르탈 아이가 현대에 살게되고 우리처럼 영어를 잘 배우고 있음을 묘사했다. 레스터와 나는 이 문제를 놓고 거듭 논쟁을 벌여왔다. 나는 그에게 혀뼈의 발견소식을 젊잖게 꼭 알려 주어야만 할 것이다.
The ability to speak, to make a variety of complicated sounds so rapidly and clearly as to communicate information and abstract ideas, is a peculiarly human trait. We can do it, but could any other creatures do it before “modern man” (Homo sapiens sapiens) appeared on Earth, at least 50,000 years ago? Many anthropologists have answered that question with a “no,”but a startling new finding makes it seem the answer might be “yes.”
Even our closest living relatives, the great apes, do not speak, and, what is much more important, cannot speak. An ape's larynx, or voice box, and the region around it are not so arranged that they can make the rapid variety of sounds we can. Chimpanzees and gorillas have been taught to communicate simple ideas, but only by signs and gestures. Even the brightest of them, and the most assiduously trained of them, can no more speak than they can fly. They are not anatomically equipped to do either.
The same is true of other animals. Certain birds, like parrots and myna birds, with totally different throat anatomies from ourselves, can nevertheless be trained to mimic the sounds we make, but, of course, without understanding. Dolphins can easily make an even greater variety of sounds than we can, but we cannot tell whether they use them in speech in something like the human manner.
That, however, leaves the question as to when human ancestors first began to speak. Did hominids more primitive than “modern man” manage to do so?
It seems unlikely that the truly primitive hominids ─ the australopithecines, Homo habilis or Homo erectus ─ all of whom lived between 5,000,000 and 200,000 years ago, could speak. Their brains simply weren't large enough.
That leaves Neanderthal man, who first appeared on Earth perhaps as much as 300,000 years ago, and didn't become extinct till 30,000 years ago.
His skeletal remains show him to have been so similar to ourselves that he is often considered a subspecies of “modern man” and is called Homo
sapiens neanderthalensis. His brain was as large as ours or even a trifle larger, but there was more of it in the rear and less in the front, whatever that might mean.
The question, then, is whether Neanderthal man could speak. The key to the answer lies with the “hyoid bone.” This is a small U-shaped bone set at the base of the tongue (“Hyoid” is Greek for “U-shaped”). It is not connected to any other bone but it is connected to the larynx by 11 small muscles in two groups. These can lift and depress the larynx and makes it possible to sound various vowels and consonants in rapid succession. Without the hyoid bone, we wouldn't be able to move the larynx in that way and so we might call the hyoid the “speaking bone.”
The skeletal remains of Neanderthal men have till now never included a hyoid bone, so that the conclusion seemed reasonable that they didn't speak. They may have communicated fairly well, but only by sign language and grunting.
However, such evidence really isn't conclusive. The hyoid bone is quite small, only an inch thick plus two narrow horns, and is unconnected with other bones. When a body decays, the hyoid bone falls loose and it may be deposited far away from the rest of the skeleton. In the remains that have been found, nothing remains of the larynx either, for that matter; so we can't really be sure Neanderthals can't speak.
But then, in April 1989, a startling find was reported by Baruch Arensburg of Tel Aviv University and co-workers from the University of Bordeaux in France and Moorhead State University in Minnesota. In a cave it Mt. Carmel in Israel, they found the remains of Neanderthal men, including a hyoid bone just about exactly the shape and size of the ones “modern man” possesses. The age of the bone is estimated at 60,000 years.
The implication is that Neanderthal man was anatomically capable of speech. He coexisted with modern man for perhaps as much as 50,000 years, and he could have learned speech from these advanced cousins of his.
I must admit that I have a personal interest in this. Science fiction writers often deal with prehistoric times and with Neanderthal man in particular. Back in 1939, a good friend of mine, Lester del Rey, wrote a very touching story titled “The Day Is Done” about the last Neanderthal man, who was humanely cared for by the surrounding “modern men” but who died in despair out of his sense of inferiority. For one thing, he couldn't speak.
I never accepted that. I felt Neanderthal man was too like us to be unable to speak, and in 1958, I wrote a story titled “The Ugly Little Boy” in which a Neanderthal child is brought into the present and learns to speak English as well as we do.
Lester and I have argued repeatedly over this question. I shall be sure to break the news of the hyoid bone's discovery to thim gently.
(c) 1989, Los Angeles Times Syndic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