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수정에서 출발, 출산으로 마감하는 여성의 임신과정을 살펴보자. 이 글에 등장하는 까다로운 용어는 「이 달의 과학용어」를 참조할 것. 총 20문제중 15문제 이상을 맞추면 당신의 임신에 관한 상식은 충분한 셈이다. 하지만 10문제 이하를 맞추면 상식부족으로 판정할 수 있다. 3문한중 가장 적합한 문항을 고를 것.
퀴즈
1.(ㄱ)난관에는 (ㄴ)난소에는 (ㄷ)자궁에는 보통 '성숙한' 난자가 있다.
2.난자는 (ㄱ) 1일 (ㄴ) 2일 (ㄷ) 1주일 동안 성숙한 상태로 남아 있다.
3.자궁벽에 수정란이 부착하는 '착상'은 (ㄱ) 수태후 1시간 (ㄴ) 수정후 하루 (ㄷ) 수정후 1주일에 발생한다.
4.1주일된 수정란은 자궁벽에 붙어서 (ㄱ) 태반에 의해 (ㄴ) 모체의 혈액에 의해 (ㄷ) 난황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5.난황란은 (ㄱ) 미숙한 태아에게 영양공급을 하기 위한 것이다. (ㄴ) 수정후 1주일이 되면 없어진다. (ㄷ) 태반이 형성되기 전에 태아에게 영양소로 전환된다.
6.여성의 혈액내에서 임신임을 확인할 수 있는 호르몬은 (ㄱ) 프로제스테론 (ㄴ) 황체 (ㄷ) 융모막성 고나도트로핀이다.
7.융모막성 고나도트로핀(Chorionic Gonadotropin)은 (ㄱ) 태아성장에 필수적이다. (ㄴ) 임신후 새로운 월경주기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ㄷ) 난자의 성장을 위해 자궁을 준비시킨다.
8.태반의 2대 기능은 (ㄱ) 양수를 보유하고 태아를 보호하는것. (ㄴ) 모체에서 태아에게로 영양을 공급하는 것과 태아의 분비물을 배출하는 것, (ㄷ) 영양을 저장하고 태아를 위해 산소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9.태반은 또 (ㄱ) 태아에게 해로울 수 있는 물질을 걸러낸다. (ㄴ) 임신유지를 돕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ㄷ) 태아심음을 규칙적으로 해준다.
10.태반은 (ㄱ) 자궁 (ㄴ) 수정란 (ㄷ)난관에 의해 형성된다.
11.태반은 (ㄱ) 신체로 흡수된다. (ㄴ) 다음 월경기에 배출된다. (ㄷ) 태아출산 후에 자궁으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12.탯줄은 태아와 (ㄱ) 모체의 위장 (ㄴ) 태반 (ㄷ) 자궁내벽을 연결한다.
13.탯줄은 (ㄱ)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 (ㄴ) 수백의 소동맥과 소정맥들 (ㄷ) 1개의 동맥과 2개의 정맥으로 구성된다.
14.양막은 (ㄱ) 태아가 산소를 공급받는 막 (ㄴ) 태아가 떠있는 액체가 차있는 주머니 (ㄷ) 태아성장을 위한 호르몬을 생산하는 기관이다.
15.태아는 양수에 떠 있는데 그것은 (ㄱ) 수영을 배우려는 것이다. (ㄴ) 산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ㄷ) 심한 동요로부터 쿠션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6.태아기의 진단법인 양수천자는 주사바늘을 자궁에 꽂아서 (ㄱ) 태아의 혈액 (ㄴ) 양수 (ㄷ) 태반조직을 채취한다.
17.양막은 보통 (ㄱ) 출산시 자궁밖으로 나온다. (ㄴ) 임신 마지막주에 천천히 흡수된다. (ㄷ)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 파괴된다.
18.아기의 성별은 (ㄱ) 난자 (ㄴ) 정자 (ㄷ) 호르몬에 의해서 결정된다.
19.태아의 심장과 뇌는 (ㄱ) 수정된후 첫주에 (ㄴ) 수정후 3째주에 (ㄷ) 수정후 1달 뒤에 발달이 시작된다.
20.태아의 거의 모든 중요한 기관은 임신 (ㄱ) 5개월 (ㄴ) 6개월 (ㄷ) 7개월이 지난후 생긴다.
정답
1.(ㄱ) 난관에서 수정된후 수정란은 자궁으로 내려온다.
2.(ㄷ) 난자는 대개 7일동안 생존한다. 즉 7일간 수정할 능력이 있다는 말.
3.(ㄷ) 수정란이 난관에서 자궁까지 가는데는 3일정도 걸리며 자궁벽에 착상하는데는 또 3~4일이 걸린다.
4.(ㄴ) 수정란은 모체의 혈관을 뚫고 들어가 자궁벽에 붙는다. 여기서 태반이 형성될 때까지 영양을 공급받을 수 있는 혈액웅덩이를 만든다.
5.(ㄷ) 난황란은 혈액세포와 생식세포의 조기발달에도 관련한다.
6.(ㄷ) 융모막성 고나도트로핀은 잘 발육한 난자를 생산해내는데 이것이 곧 임신의 증거이다.
7.(ㄴ) 난소의 황체가 프로제스테론을 계속 생산해내는 것은 난자의 성장을 위해 자궁을 준비시키는 것이다.
8.(ㄴ) 모체와 태아의 수백만의 작은 혈관들은 태반으로 연결되어 있고 자궁벽에 착상되어 있다.
9.(ㄴ) 태반은 에스트로젠 호르몬을 분비한다.
10.(ㄴ) 수정란은 분열하여 한쪽에 구멍이 움폭 들어간 구형(球型)의 형태가 된다. 구(球)의 한 부분은 태반이 되기 전의 형태인 영양배엽이 된다.
11.(ㄷ) 태반은 출산 바로직후 빠져나온다.
12.(ㄴ) 탯줄은 태아의 생명줄이며, 태반에서 태아의 배꼽으로 연결된다.
13.(ㄱ) 2개의 동맥은 이산화탄소(CO₂)와 다른 분비물 등을 제거하고 정맥은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을 운반해준다.
14.(ㄴ) 자궁에 있는 동안 태아는 양수에 떠 있다.
15.(ㄷ) 양수는 태아의 충격에 쿠션역할을 하고 자궁내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준다. 또 태아가 움직임으로써 근육이 성숙하는 것을 도와준다.
16.(ㄴ) 양수에는 세포와 태아에 의해 모체에서 떨어져 나온 물질 등이 있다. 호르몬 염색체 그외 여러 평가로 성(性)을 구별할 수 있다.
17.(ㄷ) 진통이 시작되면 양막이 터지고 양수가 질에서 분출돼 나온다.
18.(ㄴ) 모든 난자는 여성염색체인 X염색체이다. 정자는 X염색체와 남성염색체인 Y염색체가 있다. X-X의 결합으로 임신한 경우라면 아기는 딸이고 X-Y결합이면 아들이다.
19.(ㄴ) 중추신경계와 심혈관계가 처음으로 발달한다.
20.(ㄱ) 5개월 미만의 미숙아로 태어나는 경우 생존이 거의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