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가 바꾸어 논 대학의 모습 입학시험부터 졸업증명서까지

캠퍼스 곳곳에 깔려 있는 컴퓨터 단말기. 이곳에서 대학생활을 위한 필수 정보가 쏟아져 나온다.

컴퓨터는 지난 세월 동안 격변하는 문명의 발달과 하루가 다르게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속에서 인간과 뗄 수 없는 확고부동한 반려자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추세는 진리 창조 비판과 지식의 집합체인 대학에서도 진리탐구의 필요불가결한 도구로서 컴퓨터의 이용이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의 대학은 입시처리와 관리, 학술논문 연구자료 도서정보의 수집 및 처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모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시간의 지연으로 자료의 정확성 여부가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과거의 자료를 수집하거나 현재의 자료를 보관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도 자료가 워낙 방대하고 복잡하여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어려운게 현재의 실정이다. 대학에서 이제까지 컴퓨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1982년 대학행정업무 전산화 추진 계획의 일환으로 구상된 인하종합정보시스팀은 수년에 걸친 경험축적과 기술을 토대로 '대학에서 컴퓨터의 효율적 이용'이란 문제를 해결했다고 할 수 있다.

인하종합정보시스팀(Inha Total Information System)은 머릿글자를 따서 통상 ITIS라 부른다. 이 ITIS는 대학이라는 특수사회의 개성과 생리에 맞도록 설계되고, 나아가서는 ITIS를 이용하는 전대학인 특히 학생들에게 컴퓨터를 직접 사용케하는 산교육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일로 국내외 대학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ITIS는 일반사회에서 구상하는 종합정보 체계와 일맥상통하는 점도 있지만 교육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성을 달리하고있다.

ITIS의 개발은 대학교육의 목적인 '학문의 심오한 이론과 이의 응용방법을 연구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에 이바지 할 지도자적 인격을 양성 배출함에 있다'는 이념에 부응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ITIS는 대학내에서 모든 노력과 경비가 가능한한 교육을 위한 부분에 투자될 수 있도록, 컴퓨팅파워가 사무행정보다는 학생교육 교수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한 대학내의 모든 데이타베이스(Database)가 교직원 학생 행정관리자에게 각각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되는 기능을 갖고 있다.

ITIS를 중심으로 대학전산화를 이용자 측면에서 조명해 보자.


도서대출시 학생증과 책속의 바코드를 바코드리더로 읽으면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정교한 그물조직

ITIS는 대학본부와 대학,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부속기관, 부속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인하학원내에 있는 모든 기관과 연구실을 하나의 끈으로 엮어논 것과 같이 치밀하고 정교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ITIS는 교수 4백명, 학생 1만6천여명, 교직원 2백여명, 일반 경영 교육대학원생 1천여명 등 총 1만7천6백여명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방대한 시스팀이다.

ITIS의 하드웨어 구성은 2대의 MV/10000 컴퓨터와 1대의 MV/8000 컴퓨터를 합하여 총 3대의 컴퓨터 시스팀에 2백60대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고 별도로 대학입시처리를 위한 OMR(Optical Mark Reading)시스팀이 도입돼, 원활한 업무처리를 할 수 있게 돼있다.

이 중 MV/10000 시스팀 1대와 MV/8000시스팀은 네트워크(Network)을 통하여 서로 필요한 자료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백업(Back up) 및 복구(Recovery)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MV/10000 시스팀 1대는 각 행정부서 및 학과 사무실에 설치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단말기를 통하여 각학과에서는 매 학기별로 수강신청의 입력 수정 조회가 이루어지며 단말기를 통한 성적확인이 가능하고 학생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손쉽고 아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을 살펴보자. ITIS의 데이타베이스(Database)는 관계데이타모형(Relational Data Model)인 관계데이타베이스시스팀(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ITIS가 구성하는 단위 프로그램(Application Module)수는 2천여개에 이르며 이 단위 프로그램이 가동되기 위해서 6백MB(약6억자 정도) 크기의 데이타뱅크를 형성하였다. 이 데이타뱅크를 IDB(Inha Database)라고 부른다.

30여만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에서는 도서자료의 선택에서부터 수집, 검색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정보가 데이타뱅크 LDB(Library Database)가 구축돼 있다.

이 모든 업무처리를 위해서 구축해야 할 정보의 양도 막대하지만 이를위해 구성하는 데이타뱅크의 크기는 4×6배판의 책을 예로 들면 1백만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 된다.

동문(同門)정보도 가능

ITIS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정보를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시스팀이 정보시스팀(Information System)이며, 이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 분류 작성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스팀을 운영시스팀(Operation System)이라 한다.

정보시스팀의 사용자는 일반학생 교수 관리자가 되며 운영시스팀의 사용은 담당업무 처리자(사무행정부서 직원)이 한다.


(그림1) 정보시스팀의 구성


정보시스팀은 (그림1)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그 구성 및 내용을 살펴보자.

(그림1)에서 SIS는 학생을 위한 정보 정보시스팀(Student Information System)이다. 이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제공한다. 이 SIS에 속하는 정보를 보면 지도교수 정보, 교수별 전공과목, 교수별 보직내용, 학과별 교수명단, 교과과정, 교직과정, 성명에 의한 재학생 조회, 과별 학년별 재학생 조회, 복학·휴학 절차, 학점취득, 졸업논문, 전공시험안내, 수강신청 절차, 학생주소조회, 증명서 발급안내, 학생회현황, 써클의 등록 행사안내, 아르바이트신청에 관한 안내, 장학금, 학자금 안내, 유학 진학안내, 동문 졸업생 조회, 전자계산소 컴퓨터 이용안내, 서점 교과서, 부속연구소 안내 등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SIS를 이용하는 학생은 이와같은 정보를 과사무실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얻을 수 있는데 예를들면 고등학교 동문의 명단을 얻기 위해서는 교무과에 가서 절차를 밟아야만 얻을 수 있었던 정보를 쉽게 단말기를 통해 찾아볼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EDIS는 학생의 교육지도를 위하여 교수나 행정지원부서에 제공하는 정보들을 볼 수 있는 교육지원정보시스팀(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이다. EDIS에 속하는 업무들을 살펴보면 학과별 교수명단, 교수신상, 보직내용, 학과장조회, 전공과목조회, 교과과정, 학생현황, 학생주소 조회, 써클명에 의한 회원조회, 운동선수 및 단체전적, 성적조회, 학사경고자 성적우수자조회, 호관 호실별 강의실조회, 교수별담당과목, 출강요일, 수강인원조회, 학과별비품현황, 졸업준비금 납부현황 같은 정보들이 있다.

학생지도를 위하여 교수는 단말기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많은 양의 정보를 단시간내에 얻을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다.

AIS는 각 행정부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사무행정지원 정보시스팀(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이다. 여기에는 기본 자산 및 재산관리, 비품관리, 예산편성, 교직원 인건비 계산, 비상계획 및 민방위 업무에 관한 정보를 담은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물쇠를 채운것과 같은 '락커'(Locker)시스팀이므로 비밀번호(Password)가 맞는 사람에 한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MIS는 경영자지원정보시스팀(Manager Information System)이다. 학교의 최고 경영자에게 보다 합리적인 학교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예를들면 교수 및 직원에 관한 통계, 학교의 예산 편성이나 비품현황, 졸업자 진로현황, 장학금 및 교수연구비 수혜현황, 학생활동 현황 등 학교를 위한 장기적인 발전수립계획을 세울 수 있는 적절한 정보와 분석된 통계자료를 제시한다. MIS도 비밀번호가 맞는 사람에게만 정보를 제공하는 보안기능이 있다.


(그림2)
 

LIS는 학생이나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는데, 방대한 장서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도서관 지원정보시스팀(Library Information System)이다. LIS를 이용하면 서명, 주제명, 저자명에 의한 도서검색, 대출절차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그림3)


LIS를 이용하는 한 예를 보자. (그림2)에서 11)서명에 의한 도서 검색을 선택할 경우 (그림3)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원하는 서명을 입력하면 (그림4)와 같은 서명에 관련된 책들이 나오게 된다. 이 화면에서 자세히 알고싶은 하나의 책을 선택하면 (그림5)와 같은 상세한 도서목록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그림4)


이와같이 이용자는 예전과 같은 북카드(Book Card)를 찾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거치지 않고도 개가식으로 설치된 도서관에서 자유로이 원하는책을 대출받을 수 있다.


(그림5)


이때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를 단말기와 연결된 바코드리더(Barcode Reader)로 읽어서 입력시킨다. 도서속에는 자성체, 소리를 내는 전자감응표(Tattle Tape)가 부착되어 있어서 만일 대출절차를 거치지 않은 사람이 출구를 나올때는 '삐이'소리를 내는 책 도난방지 시스팀(Book Detection System)이 LIS와 연결되어 있다.

또 다이얼업 모뎀(Dial-up Modem)을 통하여 외국의 데이타뱅크인 다이얼로그(Dialog)와 연결하여 학술정보 및 필요한 자료를 쉽게 얻어볼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S와 LIS는 모든 대학인에게 제공되며, EDIS AIS MIS는 '락커'(Locker)를 거쳐 비밀번호를 제시하는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럼 한 사람이 입학해서 졸업할때까지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떻게 ITIS를 사용하는가를 살펴보자.

① 입학당시 컴퓨터 처리를 위한 OMR답안지를 사용하여 입학시험을 치른다.
② 컴퓨터를 이용한 채점으로 입학사정
③ 컴퓨터로 인쇄한 합격통지서와 등록금 고지서를 받는다.
④ 입학후 바코드를 부착한 학생증을 발급 받는다.
⑤ 컴퓨터를 이용한 수강신청
⑥ 컴퓨터 강좌를 듣는다.
⑦ 강의후 직접 컴퓨터실습
⑧ 도서관에 가면 학생증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책을 대출받고 단말기를 통해 국내외 도서정보를 검색하여 본다.
⑨ 리포트는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제출한다.
⑩ ITIS를 이용하여 동문 고등학교 출신의 명단이나 써클에 관한 정보나 기타 면학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⑪ 학내외 행사에 관한 정보나 학교생활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틈틈히 알아본다. 방학이되면 컴퓨터로 처리된 성적표와 컴퓨터로 주소를 인쇄한 봉투를 받아볼 수 있다.
⑫ 졸업후에는 각종 증명서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발급받는다.
이러한 모든 서비스는 단말기가 설치된 곳이면 어느곳에서나 5초 이내에 이용할 수 있다. 예전에 하나의 정보를 얻기 위해 들였던 시간과 노력을 생각하면 실로 엄청난 변화라 할 수 있다.

전자메일 기능도

운영시스팀은 정보시스팀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반드시 보호가 요구되는 자료가 많이 때문에 체계적인 취급을 위해서 담당 직원만이 락커(Locker)를 거쳐 이용할 수 있는 보안기능이 있다. 비밀번호(Password)는 업무담당자가 수시로 변경하여 사용한다.

운영시스팀은 메뉴드리븐(Menu Driven)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과거의 모든 업무가 일괄처리(Batch) 되었던 것과는 달리 데이타 발생부서에서 직접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하면 업무처리가 끝나는 리얼타임(Real-Time)처리 방식이다. 그리고 업무부서에서는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공문을 주전산기를 통해 다른부서로 발송할 수 있는 공문발송 가능도 가지고 있어 사무자동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운영시스팀은 교무처, 학생처, 사무처, 부속기관, 부속 연구소, 동창회, 도서관 등의 실질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팀이다. 자료의 수집 분류 정리 관리를 하며, 자료의 이용지도와 활용안내에 관한 업무 및 변동자료가 발생하는 부서에서는 MV/10000 시스팀을 이용하여 별도의 변동자료를 관리하며 데이타의 보호와 유지에 역점을 둔다.

재택근무도 가능

ITIS가 갖고 있는 특별한 기능 2가지를 소개해보자.

PC(Personal Computer)와 주전산기(MV/system)와의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INNET라고 하는데 ITIS 사용자 확대와 원거리 사용자의 편익도모, 외국의 주요데이타뱅크와의 연결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다. 이 INNET는 PC에서 주전산기 간의 통신을 전용회선이나 Dial-up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연결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데이타뱅크와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ITIS는 전용회선이나 Dial-up 모뎀을 사용하여 서울에 집이 있는 교수라도 가정에서 교내의 컴퓨터와 연결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거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기능으로 INTRANS가 있다. 이것은 ITIS의 운영 컴퓨터인 주전산기와 PC사이의 통신(Communication)의 일환으로 PC에서 작성한 파일을 주전산기로, 주전산기의 파일을 PC로 전송하는 전달(transfer)가능을 가지고 있다.

컴퓨터를 사용해 본 사람들은 컴퓨터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욕구는 점점더 커지게 되며 컴퓨터를 배우고자 하는 열의도 점점 고조되고 있다.

학생전용 교육 실습용으로 MV/10000 1대를 학생들의 실습이나 교수연구의 지원용으로 쓰는데, 24시간 불이켜진 실습실의 모습이 이 열기를 대변해 주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컴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극히 많은 용량의 디스크가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용량이 문제가 되는데 학생자신의 보조용디스크(Floppy Disk)에 파일을 보관하게 함으로 전체의 디스크에 보관된 파일을 백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ITIS는 본교에 소속된 교수 학생 교직원등에게 컴퓨터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컴퓨터 문맹인을 없애고, 학생 대학원생 교수 등의 연구나 학업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컴퓨터 시스팀을 24시간 가동하여 능률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ITIS는 국내외간의 데이타베이스와 접촉을 통하여 교육자료 이용을 확대하고 타대학과의 접속을 통한 교육정보의 교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당면한 금년도의 계획으로는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인천직할시내의 전교육기관, 각급학교를 연결하는 교육·연구전산망을 계획 추진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88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사진

    정경택 기자
  • 배해영 교수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