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천종이 넘는 화려한 식물들의 세계 너도바람꽃 한라돌쩌귀 등 희귀식물이 56종

남방계식물과 북방계식물이 만나는 곳
 

만병초
 

연중 5,6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다고 하여 이름붙여진 설악산(雪嶽山,1천7백8m)은 높은 산을 따라 남하하는 북방계 식물과, 낮은 곳을 따라 북상하는 남방계 식물이 만나는 곳이다.

이같은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설악산에는 자연히 식물의 종류가 많고 특산·희귀식물도 많다. 최근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설악산에는 1천13종의 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너도바람꽃 한라돌쩌귀 등 희귀식물이 56종, 갈퀴아재비 매화말발도리 등 특산식물이 65종이다 된다.

이제 설악산의 입구에서부터 대청봉을 향해 올라가면서 이곳의 식물들이 연출해내는 화려한 식물상을 살펴보자.

설악산의 평탄한 산기슭의 물가에는 어린 소나무숲이 많으며, 황철나무와 등칡이 섞여 난다.

케이블카를 타고 권금성에 오르면 바위틈사이에 황금색의 꽃을 뽐내는 만리화가 자라고 있다. 또 이 일대에는 넓은 면적의 잣나무 천연림이 있고, 그늘진 골짜기에는 찝빵나무와 조리대의 숲이 많다. 때때로 상록수인 만병초가 눈길을 끈다.

신흥사 입구에는 흉고직경(사람의 가슴높이쯤 되는 곳의 지름)이 1m에 달하는 아름드리 전나무가 있고 계조암의 흔들바위 옆에는 금강돌배나무가 화려하게 피어 이른 봄을 장식한다. 비선대의 절벽에 붙은 것처럼 선 잣나무와 냇가의 암벽에 붙은 금강봄맞이꽃은 맑은 시냇물과 어울려서 천불동계곡으로 한없이 손짓한다.

오색약수터의 안쪽 선녀탕과 옥녀폭 주변의 벗나무와 개살구나무의 꽃은 대단히 화려하고 냇가에서는 소박한 돌단풍의 꽃이 볼만하다. 이리저리 엉켜 있는 등칡에 달린 주전자꼭지 같은 연한 녹색의 꽃은 장관이다.

이른 봄 대승폭포 입구의 산괴불주머니는 아름다운 자연의 꽃길을 만들고 있으며, 늦은 여름에는 산등에서 금강초롱꽃의 화려한 모습이 나타난다.

백담사 뒷쪽의 전나무숲은 그리 늙은 편은 아니지만 심산의 기분을 더 한층 돋아주고, 근처 습지에는 작은 녹색기둥을 모아세운듯한 속새의 군집이 또한 발길을 멈추게 한다. 대승령으로 들어가는 계곡은 깊어짐에 따라 다래덩굴과 등칡이 엉켜 있고 앉은부채 산마늘 만병초의 아름다운 모습이 나타난다. 고개마루 근처에는 까치바람꽃 얼레지 너도바람꽃이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오세암으로 올라가는 계곡에는 솔나리 말나리가 나타나고 쌍폭근처에 이르면 분포의 남한계선 위에 놓여 있는 새양버들과 덤불오리나무가 사이좋게 자라고 있다. 봉정암으로 오르는 길 옆에는 두릅나무가 많으며 곰이 서식한다는 찝빵나무의 군락도 나타난다.

능선위의 식물은 고도에 따라 나타나는 종류도 다양하다. 커다란 잎을 펼쳐들고 가시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땃두릅이 있는가 하면, 자잘구레한 잎이 무성한 가운데 날카로운 가지로 줄기를 장식하고 아름다운 꽃과 열매로 유혹하는 생열귀나무와 인가목이 있다. 모싯대 끝에 도라지꽃과 같은 커다란 꽃이 달리는 도라지모싯대도 나타난다.

주봉인 대청봉과 중청봉같은 높은 정상에 오르면 눈잣나무 설악주목의 군집이 있고, 구슬댕댕이가 옆으로 살살 기어 간다. 점봉산과 대청봉 높이의 지대에는 눈향나무 만주송이풀 가는다리장구채 같은 많은 고산식물이 자라고 중청봉 능선 근처에는 분포 남한계선에 있는 홍월귤과 월귤이 바위에 붙어 있다.

산악인들의 사랑을 받는 속칭 에델바이스라고 불리는 산솜다리는 권금성계곡, 마등령 공룡능선, 한계령의 능선과 큰뿔받이 및 화채봉의 바위틈에 붙어 있다.

설악산의 식생은 수직적으로 뚜렷이 구별되지는 않으나 4백m 이하는 산록대(山麓帶),4백~1천2백m 사이를 교목대(喬木帶), 1천2백~1천5백m 사이를 아교목대, 1천5백~1천6백50m 사이를 관목대(灌木帶) 그리고 그 이상을 초본대(草本帶)로 구별할수 있다. 그러므로 이 지역은 1천5백m 이상은 한대요소가 격리분포돼 있고 그밖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온대중부의 대표적인 숲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갈나무 서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낙엽활엽수와 소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주목 등의 상록침엽수와의 혼성림으로 되어 있다.

최근 중앙대 연구팀이 산출한 바에 의하면 설악산에 가장 많은 나무는 소나무류로 입목축적 13만6천6백12t에 달해 전체식물의 39.4%를 차지하며 광엽(廣葉) 낙엽수가 32.5%, 신갈나무가 17.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잣나무의 군락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86년 04월 과학동아 정보

  • 이우철 교수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산림·작물·원예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