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교복이 예쁜 학교로 가고 싶어요!”, “올림피아드가 뭐예요?” 시계를 거꾸로 돌려 중학교 3학년인 박보람 양을 만났다면 아마 이 말을 듣지 않았을까. 수학을 좋아하고, 친구들의 질문을 함께 고민하는 일이 즐거웠던 소녀는 단단한 수학자로 자라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박보람 교수의 어릴 적 장래희망은 선생님이었다. 중학생 때부터는 수학이 가장 좋아서 수학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결국 수학교육과에 입학했고 선생님을 뽑는 시험도 준비했다. 그런데 대학교 졸업 전에 들은 대학원 수업에 푹 빠져버렸다. ‘좀 더 배우고 나서 선생님이 돼도 좋지’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이어갔고, 결국 여기까지 왔다. 박 교수가 수학자가 된 전말(?)은 이렇다.

“선생님 말고 수학자가 되겠다고 했을 때 가족들은 무척 아쉬워했어요. 반면 지금의 남편인 남자친구는 제가 하고 싶은 걸 하라고 했어요. 그래서 크게 고민하지는 않았어요. 저도 제가 수학자가 된 게 신기해요.”

박 교수는 교복이 예쁘고, 당시 두발자유를 허락한 몇 안 되는 학교 중 하나였던 모 외국어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외고에도 이과가 있는 줄 알았기 때문에 굳이 외고를 피할 이유가 없었다.

“입학하고 나서 보니까 이과가 없더라고요. 수학2 과목을 가르쳐주지도 않고요. 혼자 해야 되는구나 생각했죠.”
 


모르는 문제는 보람이에게!

수학을 쭉 잘했냐는 기자의 질문에 “외고여서 수학을 잘하는 친구가 적었다”는 겸손한 답이 돌아왔다. 박 교수는 친구들이 물어보는 수학 문제를 어떻게 풀지 가르쳐 주는 게 너무나 재미있었다고 한다.

“돌이켜보면 오만한 생각이었지만 당시에는 선생님이 될 거니까 이 친구들을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친구들의 질문을 받아주려고 기다리곤 했죠. 설명을 이런 방식, 저런 방식으로 해보는 게 즐거웠어요.”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는 미국 럿거스대 이산수학 및 이론 컴퓨터과학 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생활했다. 그곳에는 분명 미국인이 많았을 터. 기자는 평소 궁금했던 점을 질문했다. “미국 아이들의 ‘수학을 잘한다’는 기준이 우리나라 아이들과 많이 다른가요?”

박 교수는 ‘생각의 차이’에 관한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줬다.

“수학 문제를 놓고 고민하다 보면 힌트가 될 수 있는 작은 부분을 찾아낼 때가 있어요. 저는 조금 더 생각해보고 나중에 이야기하려고 했어요. 반면 외국인 동료들이 굉장히 작은 걸 발견했을 때도 곧바로 이야기하고, 그것에 대해 무척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여러 번 봤어요. 이렇게 아이디어를 바로 이야기하는 자세는 공동 연구를 할 때 굉장한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말을 안 하면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거든요.”
 

소중한 두 역할, 수학자와 엄마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실력을 비교하는 기사를 많이 접한 기자는 수학을 잘하고 싶은 여학생을 위한 조언을 구했다. 박 교수는 “학생들을 지도해 본 결과 여학생이 특별히 부족하진 않다”며, 수학자의 길을 걸으려는 여성들의 고충에 대해 이야기했다.

“엄마가 되면 손에서 공부를 조금 놔야 되는 순간이 와요. 아직 사회적인 지원 시스템이 충분하지 않거든요. 저도 집에 빨리 가야 되니까 1분 1초도 놓치지 않는다는 기분으로 살고 있어요. 휴대폰 게임도 하지 않고, 아이들이 자는 시간에 무슨 일을 할지 항상 생각해요. 훗날 수학자가 되려는 여성의 삶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줄 수 있지 않을까요?”

만약 3일간 휴가가 생긴다면 박 교수가 하고 싶은 일은 단연 ‘공부’다. 육아를 하기 전에는 문제 하나에 꽂히면 잠이 안 와서 이틀 동안 밤을 새고, 하루 자는 생활을 했다고 한다. 요즘은 꿈에서 문제를 풀 때도 많다고.

“바로 어젯밤에도 문제 푸는 꿈을 꾼 것 같은데요? 어떤 상황은 아니고 문제 자체가 꿈이에요. 얼마 전에는 특정한 그래프의 성질을 막 써내려 간 노트가 보였어요.”



수학자의 직업병?

유난히 맞춤법에 민감한 기자처럼 수학자에게도 직업병이 있을까? 박 교수는 어떤 현상을 끝까지 분석할 때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 주사위 두 개를 던져서 나온 숫자의 합이 홀수면 원래 가격의 두 배를, 합이 짝수인데 서로 다른 숫자가 나온 경우에는 반값을 내고, 합이 짝수이면서 숫자도 똑같으면 공짜로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이 있어요. 여기서 ‘이 주사위는 한 쪽 면이 무거워서 특정 숫자가 더 잘 나오도록 만들어진게 아닐까’, ‘맥주 가격은 제대로 책정된 걸까’ 같은 얘기를 굉장히 오래 했어요.”

“교수님도 주사위를 던지셨나요?

“어차피 정가를 주고 사 마시는 것보다 주사위를 던져보는 게 확률적으로 이익이었어요(하하).”

박 교수는 요즘 중고등학생들이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무척 안타깝다고도 했다.

“앞으로 여러 직업이 사라지는 반면 새로 생기는 직업은 훨씬 적어요. 새로운 직업을 보면 앞으로는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아이디어’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단 하나의 능력일지 몰라요. 이런 능력을 기르기 위한 가장 기초가 수학이에요.”

그녀는 수학을 포기하는 일명 ‘수포자’도 많고, 반대로 경시대회에만 목숨 거는 친구들도 많은 현실을 찔렀다.

“KMO(한국수학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를 위한 여름/겨울학교에 들어가는 데 모든 걸 거는 학생들이 많대요. 하지만 수학을 잘하는 방법, 수학으로 성공하는 방법이 단지 그것만은 아니에요.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다양한 활동으로 자신의 사고를 넓혔으면 좋겠어요.”
 

2016년 09월 수학동아 정보

  • 고은영 기자

🎓️ 진로 추천

  • 수학
  • 교육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