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크레이튼대 연구팀은 네브라스카 주 링컨 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4~8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체질량지수와 신체 균형도를 평가했다. 체질량지수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중의 증가와 비례하는 특징이 있어서 비만 정도를 측정할 때 많이 활용한다. 또 신체 균형도 검사는 말 그대로 전반적인 신체 균형을 측정하는 것으로, 운동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가 된다. 연구팀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측정과 함께 수학과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운동을 많이 해서 신체 균형도가 높게 나타난 학생들이 수학과 읽기 시험을 더 잘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경우 2.4배, 읽기의 경우 2.2배나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조사한 아이들의 가정환경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가정환경이 어려워도 신체 균형도가 높은 아이들이, 부유하지만 활동적이지 않은 아이들보다 수학과 읽기 시험에서 잘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레베카 하심 박사는 “아이들이 운동을 하면서 느끼는 스스로에 대한 만족감이 학업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책임자인 밥 라우너 박사는 “최근 많은 미국 학교들이 체육활동 시간을 줄이는 대신 다른 과목 수업을 늘리고 있는데,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며,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