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주말이나 명절이 되면 교통체증 관련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어요. 사람들이 한꺼번에 이동하는 때에 도로 상황은 차들로 꽉 차지요. 그렇게 꽉 막힌 도로를 지나갈 때면 차 안에서 한 번쯤은 ‘도대체 왜 이렇게 차가 막히는 걸까?’, ‘막힌 도로를 좀 시원하게 해결할 수는 없나?’라는 생각을 하게 돼요.
실제로 많은 과학자나 수학자들은 이런 도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오늘은 수학자들이 접근한 교통체증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요. 먼저 도로는 대체 왜 그렇게 막히는 걸까요?
GIB
막히는 도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길을 더 만들면 되지 않을까요? 앗! 그런데 그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라고 해요. 길을 없애야 도로가 더 막히지 않는다는데, 왜 그럴까요?
GIB
<;수업안내>;
1. 대상 : 교통체증의 해결 방법을 수학적으로 접근해 보고 싶은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한다!
3. 수업 목표
① 막히는 도로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② 브래스의 역설을 이해하고, 막히는 도로의 수학적 해결법을 설명할 수 있다.
③ S자 도로를 만드는 이유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
무학년 수학
5. 수업 지도 순서
주말이나 명절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교통체증 관련 교통 뉴스를 찾아 검색해 뉴스를 읽어 본다 ▶ 도로가 막히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 한다 ▶ <;브래스의 역설>;을 통해 막히는 도로의 해결법을 설명 한다 ▶ S자 도로를 만드는 이유를 설명 한다 ▶ 클로소이드 곡선의 뜻과 곡률의 뜻을 설명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