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이 부족해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해서 사용합니다. 수입을 하려면 외국 돈이 많이 필요하겠지요. 외국 돈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을 만들어 외국에 팔아서 마련할 수 있습니다. 외국과 물건을 사고팔 때는 미국의 달러가 주로 쓰입니다. 1달러에 대한 우리나라 돈의 가치가 얼마인지는 환율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돈에 대한 다른 나라 돈의 가치를 나타낸 비율을 환율이라고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환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신하는 우리 돈
 

환율은 수출입량이나 이자율 등에 따라 시시각각 변한다.
 

많은 나라에는 자기 나라만의 고유한 화폐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화폐는 원화이고, 미국은 달러화,일본은 엔화, 중국은 위안화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원으로 계산하듯이 미국에서는 달러, 중국에서는 위안으로 계산하지요.

유럽에서는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유로라는 동일한 화폐를 사용합니다. 유럽여행을 할 때, 유로화만 있으면 독일이나 프랑스, 이탈리아 등 어느 곳에 가든지 물건을 살 수 있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다른 나라를 여행하려면 그 나라의 화폐가 있어야 합니다. 일주일 동안 미국을 여행하는 데 드는 경비가 2000달러라고 한다면 우리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달러를 살 때 드는 우리 돈을 계산하려면 현재의 환율이 얼마인지 알아야 합니다. 만일 환율이 1200원이라면 이는 1달러를 사는 데 필요한 우리 돈이 1200원이라는 뜻입니다. 2000달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1200 × 2000 = 240만 원의 우리 돈이 필요합니다.

오르락내리락 환율의 원리

그런데 환율은 쉽게 바뀝니다. 우철이와 함께 수출과 수입에 따라 환율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현재의 환율이 1200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아빠 : 우철아! 우리나라가 수출을 많이 하면 환율이 어떻게 될까?
우철 : 음, 수출을 많이 한다는 말은 달러를 많이 벌어온다는 거죠?
아빠 : 그렇지.
우철 : 그럼 달러가 많아지니까 환율이 오르겠지요.
아빠 : 그럴까? 잘 보렴. 달러가 많아지면 달러를 원화로 바꾸려는 사람이 많아지겠지.
우철 : 네.
아빠 : 많은 사람들이 원화를 필요로 하면 원화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
우철 : 가치가 올라가겠죠. 아! 1200원보다 적게 주고도 1달러로 바꿀 수 있겠네요.
아빠 : 그럼 환율은 어떻게 되는 거지?
우철 : 환율은 1200원보다 더 적은 값으로 내리겠네요.
아빠 : 맞았어.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면 환율은 반대로 떨어진단다.
우철 : 조금 어렵네요.
아빠 : 수입할 때를 생각하면 더 쉬울 거야. 수출과 반대로 수입을 많이 해야 한다면 어떻게 될까?
우철 : 수입을 하려면 달러가 필요하니까 환율이 올라가겠지요.
아빠 : 그렇지. 달러를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1달러를 사는 데 1200원보다 더 많은 돈을 주고 사야 되겠지.

이와 같이 환율은 수출을 많이 해서 부자나라가 되거나 수입을 많이 해서 가난한 나라가 되는 경우에 따라 변합니다. 앞의 예에서 만약 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진다면 여행경비는 얼마나 들까요? 여행경비가 2000달러라고 했으니까 2000 × 1000 = 200만 원만 있으면 되지요. 같은 여행을 하는데도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답니다.

하지만 환율이 내려간다고 항상 좋은 것은 아니랍니다. 환율이 낮으면 외국에 수출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달러가치가 낮을 때 외국에서 국내 가격만큼 받으려면 달러를 많이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6000원인 상품을 수출한다고 해 봐요. 1달러가 1200원이라면 외국 사람은 이 상품을 5달러에 살수 있어요. 달러가치가 낮아져 1달러가 1000원이 되면 같은 상품을 6달러를 줘야 살 수 있겠죠. 외국사람에게는 가격이 비싸지는 셈이 되니까 물건을 사지 않으려고 하겠지요. 그러면 수출이 줄어들고 다시 환율이 높아지게 된답니다.

환율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의 문제 때문에 세계는 치열한 싸움을 벌이기도 합니다.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가 대표적인 예지요. 최근 중국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위안화의 가치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정부가 개입해 위안화의 가치를 낮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위안화의 가치를 높이면 중국기업이 수출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중국정부는 기업이 어려워지면 중국에 엄청난 혼란이 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세계 금융의 기본 통화
 

세계 금융의 기본 통화
 

세계에서 이뤄지는 금융거래나 결제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기축통화’라고 한다. 보통 세계 금융의중심에 있는 나라의 화폐가 기축통화가 된다. 미국의 달러화가 대표적인 기축통화다. 중국은 달러가 가지고 있는 기축통화의 기능을 위안화로 바꾸려는 꿈을 가지고 있다. 최근 금융위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떨어진 틈을 타서 중국은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려는 시도를 한 적이 있다. 유럽이 협조하지 않아 무산됐지만, 세계 금융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나라가 되려고 세계 각국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요동치는 환율의 위험을 줄여라

어떤 기업이 수출을 하고 수출대금 100만 달러를 한 달 뒤에 받기로 했다고 하죠. 현재 환율이 1200원인데 수출대금을 지금 받는다면 12억 원을 받을 수 있지요. 그런데 한 달 뒤에 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지면 받게 될 돈은 10억 원으로 줍니다. 환율이 달라져 2억 원을 손해 보게 된 거죠.

금융시장에는 이처럼 쉽게 변하는 외국 돈의 가치와 관련한 금융상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환율이변할 때 입을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서지요. 대표적인 상품이‘선물환’입니다. 선물환은 일정기간 내에서 환율을 미리 결정해 두기로 약속한 외국환입니다. 앞에서 말한 기업이 환율을 1100원으로 약속한 선물환을 사둔다면 당장은 손해를 보는 것 같아도 한 달 뒤에 입을 피해를 줄일 수 있답니다.

이때 사고파는 사람이 서로 이득을 볼 수 있도록 가장 적절한 환율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의 공정한 가격과 위험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이 필요한 것은 당연하겠지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11월 수학동아 정보

  • 전인태 교수

🎓️ 진로 추천

  • 경제학
  • 금융·보험학
  • 무역·유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