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내 곁에 생긴 뒤로 우리 삶은 아주 편리해 졌어. 등교 시간이 더 빨라지고 미처 기억 못한 것도 알려 주지. 그런데 AI에만 의존했다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셔터스톡
스마트폰을 대체할 기기의 등장
사람들이 눈을 뜨자마자 찾고, 한시도 몸에서 떼지 않다가 잠이 들 때가 돼야 손에서 내려놓는 물건은 무엇일까요? 바로 안경과 스마트폰입니다. 안경은 시력이 낮은 사람들이 세상을 더 뚜렷하게 보도록 도와주고, 스마트폰은 소셜 미디어 등의 기능을 통해 사람들을 세상과 연결해 줍니다. 여행지에 가서 길을 찾거나 정보를 찾을 때, 외출 전 날씨를 확인할 때, 그리고 모르는 외국어를 번역할 때 등 우리는 일상에서 숨 쉬듯이 스마트폰을 이용해요.
그런데 오픈AI를 비롯한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은 우리가 곧 스마트폰 없는 세상에서 살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어요. 이들은 스마트폰의 앱을 터치하는 대신, 우리 몸에 밀착된 기기에 들어 있는 인공지능(AI) 비서가 다양한 일을 처리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주장하지요. AI 기기가 생기면 사람들은 AI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도 의식하지 못한 채 다양한 방면에서 AI의 도움을 받게 될 거예요.
AI가 우리 삶에 더 깊이 들어오면, 우리는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AI 기기가 퍼진 세상에서는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이번 화에서는 스마트 워치와 안경 등 다양한 AI 기기를 알아보고 AI 리터러시를 배워볼 거예요. AI 리터러시는 AI를 성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 태도를 말해요.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맞춰 우리가 익혀야 할 리터러시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GIB
AI, 우리의 판단까지 돕는다
AI 시대에 등장할 장비의 대표적인 예시로 스마트 안경이 있어요. 지난 9월 미국의 기술 기업 메타는 ‘메타 레이밴 디스플레이’라는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어요. 스마트 안경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작은 화면이 들어 있어요. 사람이 눈으로 보는 것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그 과정에서 우리와 대화도 나눠요.
집안 곳곳에 설치할 수 있는 ‘앰비언트 컴퓨터’도 있어요. 앰비언트(ambient)는 ‘주변’을 의미하는 단어예요. 우리는 이미 구글 홈이나 알렉사, 지니 같은 가정용 앰비언트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어요. 주로 가전제품을 켜거나 쇼핑할 때 쓰이지요. 앰비언트 컴퓨터의 성능이 더 좋아진다면, 더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을 물어보면 스피커로 답해주거나 친구에게 대신 이메일을 보낼 수도 있지요.
스마트 워치의 기능도 달라질 거예요.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과 연결돼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을 손목시계를 통해 이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스마트 워치에 AI 기술이 추가된다면 우리의 일상이 더 편리해질 거예요.
예를 들어 AI 스마트 워치는 이용자의 심장 박동 횟수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해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이용자에게 알려 줘요. AI 스마트 워치는 일상 속 함께 하는 친구가 될 수도 있어요. 오랜 시간 공부하면 잠시 쉬라는 말을 해 주거나, 넘어지거나 사고가 났을 때 자동으로 보호자나 소방서에 연락하지요.
2024년, 미국의 기술 기업 리미트리스 AI는 대화를 녹음하여 정리하는 AI 목걸이를 공개했어요. 사람들이 대화 내용을 잊거나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 할 때가 있는데, AI 목걸이는 비서처럼 이를 해결하도록 도와줘요. AI가 우리의 기억이나 판단까지 돕는 거예요.
AI 기술은 편리하지만, AI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도 있어요. 우선 우리의 개인 정보가 다른 사람에게 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을 통해 다른 사람이나 장소를 몰래 촬영해 잘못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요. 또 AI 기업이 우리의 목소리와 얼굴, 생체 정보, 대화까지 수집할 수 있지요.
AI가 도와줄 수 있는 능력이 인간의 ‘사고 기능’이라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해요. 기억과 판단, 그리고 실행 과정을 AI가 도와주면 편리하지만, AI에 의존하다 보면 스스로 판단하는 습관이 줄어들어요. 최근에는 생성형 AI와의 대화에 빠져 잘못된 정보를 믿거나 AI에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의지하는 이용자도 생기고 있어요. 빠르게 발전하는 AI 시대에 어떤 지식과 기술, 태도를 지녀야 할지 고민해 보세요!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영상 읽어줌]
눈으로 무언가를 보기만 해도 안경이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스마트 안경이 우리에게 어떤 도움을 줄지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유튜브 채널 <뉴스TVCHOSUN> 영상 캡처
필자 소개
박유신(서울 삼광초 교사)
서울 삼광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애니메이션과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 회장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