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28일까지 지구사랑탐사대 13기 대원을 모집합니다. 지구사랑탐사대에 지원하면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요? 12기 활동에서 올해의 시민과학자 상을 받은 오목눈이사랑 팀을 1월 4일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만났습니다.
모든 종 찾은 순간, 감격의 소리 지르다
지구사랑탐사대는 생태 연구자와 함께 우리 주변에 사는 동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지사탐 활동에 참여하면 대원들이 주변에서 발견한 생물종을 기록하고, 생태 연구자들이 이 자료를 다양한 생물 연구를 하는 데 활용해요.
2024년 지구사랑탐사대 12기에는 1307팀의 대원이 참여했어요. 이 중 23팀이 매미와 민물고기 등 16종을 모두 탐사해 올해의 시민과학자 상을 받았어요. 1월 4일에 만난 오목눈이사랑 팀 역시 상을 받은 팀 중 하나였지요.




오목눈이사랑 팀이 처음 활동을 시작한 건 지난 2022년 10기였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독자였던 전보민 대원이 10기 지사탐 대원으로서 3종 수료를 한 뒤, 다음 해부터 동생인 전도진 대원도 함께 활동에 참여했어요.
전도진 대원은 “2024년 마지막 종을 찾은 순간 감격에 겨워 소리를 질렀다”고 회상했어요. 지난해 10월 오목눈이사랑 팀은 바다생물을 제외한 모든 종을 수료한 채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갯벌에 뜰채를 들고 찾아갔어요. 열심히 갯벌을 돌아다녔지만, 망둥어만 보이던 중 바닷물이 고인 쪽으로 걸어가자, 마지막 종인 숭어를 발견할 수 있었어요.
오목눈이사랑 팀은 모든 종을 탐사한 비결로 쌍안경과 카메라를 꼽았어요. 전도진 대원은 “카메라를 사용할 때는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 둔다”며 “새를 탐사할 때는 새가 날아올 자리를 예상하고 그 자리에서 묵묵히 기다려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오목눈이사랑 팀은 올해 지사탐 13기에도 활발히 참여할 예정이에요. 전보민 대원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 생물도 만나면서 다양한 생물이 잘 살 수 있도록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어요.




_ 인터뷰 : 동네 생물 탐사가 가장 즐거워요!
Q.가장 기억에 많이 남는 탐사는 무엇인가요?
2024년 일본 야쿠시마에서 붉은바다거북을 만난 활동이 가장 기억에 많이 남아요. 붉은바다거북이 놀랄까 봐 아주 작은 조명만 켜고 슬며시 붉은바다거북에게 다가갔는데, 알을 낳는 모습을 두 눈으로 볼 수 있어서 감격스러웠어요. 붉은바다거북뿐 아니라 원숭이와 사슴도 만나 반가웠습니다. 저는 2024년 10월 경북 영주시의 소백산을 탐방하러 갔던 기억이 많이 나요. 밤에 탐사를 한 건 이때가 처음이었기 때문이에요. 낮에는 보기 어려웠던 거미와 귀뚜라미, 메뚜기 등을 만날 수 있었어요. 특히 민달팽이가 짝짓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신기했습니다.
Q.생물을 탐사할 때 언제가 가장 즐거운가요?
저는 동네를 돌아다니다가 사람들이 관심을 두지 않고 보지 못한 생물을 발견했을 때 짜릿해요. 혼자서 보물을 발견한 기분이 들기 때문이에요. 비가 온 뒤 하굣길에 학교 운동장에 생긴 물웅덩이에 사는 귀제비를 발견한 적이 있어요. 다른 친구들은 관심을 두지 않고 걸어갔는데 저는 귀제비 사진을 찍으면서 즐거웠습니다. 저도 동네 탐사를 좋아하는데 우연히 놀이터에서 가시개미를 만났어요. 놀이터에 개미가 만든 굴을 발견해서 근처로 다가갔더니 개미의 등에 가시가 있었어요. 검색했더니 이 개미는 가시개미였어요. 가시개미는 다른 개미의 굴에 들어가 개미들의 페로몬을 몸에 복사해 자기의 굴로 점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뒤 가시개미에 더 많은 관심이 생겼습니다.
Q.탐사하러 가고 싶은 장소가 있나요?
2023년에 갔던 순천만습지에 다시 가 보고 싶어요. 그때는 지금 사용하는 카메라가 없을 때여서 쌍안경에 휴대폰을 갖다대 겨우 개구리 사진을 찍었던 게 아쉬워요. 다시 가서 더 다양한 종도 만나고 사진도 제대로 찍어보고 싶습니다
Q.새롭게 만나고 싶은 종이 있나요?
처음 지사탐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귀여운 새를 인터넷에 검색했더니 흰머리오목눈이가 나왔어요. 귀여운 흰머리오목눈이를 만나고 싶은 마음에 팀 이름을 오목눈이사랑 팀으로 지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흰머리오목눈이를 아직 못 만났어요. 2023년부터 우리나라에서 흰머리오목눈이가 많이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서 올해는 꼭 보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