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지구사랑 탐사대] 제주도에서 만난 기후변화의 흔적

지난 8월 18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2024 여름캠프 장소인 제주도로 향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주도에 새겨진 기후변화의 흔적, 제주도의 지질을 알아봐요!

 

 

생태로 보는 기후변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먼저 서귀포시의 바다를 찾았어요. 지구사랑탐사대 김기은, 이승환 연구원이 기수어와 해수어에 대해 설명해 주었지요.

 

“여기는 예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이에요. 이렇게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을 기수역이라고 해요. 기수역에 사는 물고기는 기수어라고 하죠. 보통 민물고기는 소금물에서 살 수 없지만, 기수어는 소금기가 있어도 잘 살 수 있어요.”

 

이날 지사탐 대원들은 115종의 기수어와 바다에서 사는 해수어를 발견해 기록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열대지방 물고기들을 만날 수 있었죠. 기후변화가 더욱 심해진다면 다른 열대어들도 우리나라에 나타날 거예요. 이렇게 생물종을 찾아 기록하는 것은 바다의 환경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랍니다.

 

다음으로 지사탐 대원들은 산림인 화순곶자왈로 향했어요. 대원들은 이디엘 연구원과 함께 등각류를 찾아보았죠. 등각류는 쥐며느리, 갯강구처럼 단단한 껍질을 가진 생물로, 우리나라에 사는 육상 등각류 29종 중 22종이 제주에 살고 있어요. 그중 5종은 제주도의 고유종이에요. 하지만 등각류들이 사는 곳도 기후변화에 따라 조금씩 바뀌고 있어요. 제주도 고유종으로 알려진 남방공벌레는 이제 전라남도에서도 발견되고, 제주도에서 처음 보고된 남방쥐며느리는 중부지방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요.

 

“공벌레와 쥐며느리는 몸의 모양으로 구분해요. 공벌레는 몸을 공처럼 말 수 있고, 몸통의 수직 높이가 높아요. 쥐며느리는 꼬리 끝에 한 쌍의 꼬리마디가 돌출돼 있고, 몸통의 수직 높이가 낮죠. 둘 다 습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니 낙엽이나 돌 밑을 살펴보세요!”

 

대원들은 이디엘 연구원의 안내에 따라 곶자왈의 흙 속을 살폈어요. 꽁꽁 숨어 있던 남방공벌레와 남방쥐며느리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지질로 보는 기후변화!

 

지구 표면의 여러 물질을 지질학자의 입장에서 자세히 보면, 먼 과거의 기후도 알 수 있어요. 대원들은 제주도의 기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우경식 명예교수와 함께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를 찾았어요.

 

서귀포층은 신생대 조개 등의 화석이 많이 묻혀 있는 지층으로, 제주도에서 서귀포층을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가 유일해요. 약 100만 년 전 물속에서 분출한 화산재, 석회 성분의 해양생물 껍질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서귀포층을 들여다보면 그 당시의 기후도 알 수 있죠.

 

“여기에는 산호 화석이 있어요. 산호는 따뜻한 바다에서 만날 수 있죠. 하지만 저기, 여러분의 얼굴보다도 큰 가리비 화석이 보이나요? 가리비는 산호와 달리 추운 바다에서 살아요. 서로 다른 바다에서 사는 생물이 어떻게 서귀포층에서 함께 발견될까요?”

 

우경식 교수의 설명에 대원들은 귀를 기울이며 화석을 유심히 살폈어요. 서귀포층에서 서로 다른 환경에 사는 해양생물 화석에 발견되는 이유는 빙하기 때문이에요. 우경식 교수는 “제주도의 바다는 과거에도 따뜻했지만, 빙하기 때는 바닷속이 지금과는 달리 아주 추웠다”고 설명했어요.

 

 

지사탐 대원들은 대포 주상절리대에도 갔어요. 주상절리는 육상에서 뜨거운 용암이 빠르게 식을 때 연결이 약한 부분이 갈라져 생기는 기둥 모양 화산 지형이에요. 현재 대포 주상절리는 물에 잠겨 있어요. 주상절리가 생겼을 때보다 해수면의 위치가 더 높아졌기 때문이죠. 이번 여름캠프에 참여한 매미박사 팀 정윤수 대원은 “서귀포층에서 빙하기와 간빙기의 생물 화석을 살펴본 것이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말했어요. 다음 지구사랑탐사대 캠프에서는 어떤 생물을 만나게 될까요? 가을캠프 이야기도 기대해 주세요! 

 

 

 

용어 설명
● 고유종 : 특정한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생물.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10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20호) 정보

  • 김예은(지구사랑탐사대 매니저)
  • 에디터

    조현영
  • 디자인

    정해인
  • 사진

    동아사이언스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통계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