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종일 화면을 들여다 보고 있으니 점점 자세가 나빠지는 것 같아. 스마트폰을 적게 쓰려고 다짐하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나도 모르게 맨날 시간이 훌쩍 지나버려. 어떻게 해야 할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2411/1732365692-271143ec-90e8-40fe-ae00-300ed881c105.png)
스크린 타임이 뭐예요?
“엄마가 자꾸 스마트폰을 그만하라고 하셔서 속상해요. 스마트폰으로 숙제도 하고 새로운 정보도 얻는데 말이에요.”
여러분도 혹시 이런 경험이 있나요? 스마트폰 같은 전자 기기 사용과 관련해 부모님과 갈등한 적이 많을 거예요. 하지만 무조건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까요? 오늘은 스마트폰의 좋은 점은 최대로 활용하면서도 부모님의 걱정을 덜 수 있는 스크린 타임 관리법을 배워 볼게요.
스크린 타임이란 TV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면서 화면을 보고 있는 시간을 뜻해요.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온라인 수업을 듣는 시간은 모두 스크린 타임에 포함되지요. 요즘은 전자 기기의 종류도 다양하고, 앱도 많아져 스크린 앞에서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하루에 3시간 정도 전자 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스크린 타임 권고 기준은 하루 2시간이에요. 우리나라 어린이의 스크린 타임은 다소 긴 편이지요. 스크린 타임을 잘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스크린 타임을 측정해 내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화면 앞에서 보내는지 확인해요. 만약 스크린 타임이 3시간 이상이라면 전자 기기 사용을 줄이는 게 좋아요. 그리고 남는 시간을 어떻게 쓸지 계획을 세워 봐요. 화면을 바라보는 것 말고 할 수 있는 다른 활동을 떠올리다 보면 주도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또 화면을 오래 보면 눈이 피로해지거나 목과 허리가 아플 수 있어요. 스크린 타임을 확인하고 관리하면 이런 문제를 예방하고 눈과 몸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답니다.
그냥 줄이지 말고, 적절하게 줄이자!
스크린 타임을 잘 관리하려면 단순히 전자 기기를 사용한 시간만 아는 게 아니라, 그 시간 동안 어떤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도 알아야 해요. 엔터테인먼트 앱, 소셜 미디어, 게임 앱 등 다양한 종류의 앱 가운데 어떤 앱을 더 많이 사용하는지에 따라 스크린 타임의 질이 달라질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엔터테인먼트 앱은 재미있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중요한 일이나 숙제를 놓치기 쉬워요. 조금만 보려 했는데 나도 모르는 사이 시간을 많이 쓰고 후회하기도 하지요. 반면, 같은 시간에 구글 클래스룸이나 듀오링고 같은 교육 앱을 쓴다면 새로운 언어를 배우거나, 학교 공부에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 스크린 타임을 통해 내가 어떤 앱을 쓰는 데 시간을 많이 쓰는지 잘 살펴보세요. 나에게 유익한 앱을 선택하면 스크린 타임이 같아도 다른 결과를 낼 수 있을 거예요.
어떤 앱이 좋은 앱인지 잘 모르겠다면 선생님이 고른 추천 앱을 참고해 보세요. 코딩을 배우는 앱이나 과학 실험을 보여주는 유튜브 채널, 예술과 관련된 튜토리얼 앱이 있어요. 이런 앱은 새로운 지식을 쌓고 창의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돼요.
➊ 듀오링고(Duolingo)
외국어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앱입니다. 여러 가지 언어를 선택해서 배울 수 있고 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즐겁게 배울 수 있어요.
➋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수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과목을 무료로 배울 수 있는 교육 앱입니다. 체계적인 비디오 강의와 연습 문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어요.
➌ 엔트리(Entry)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앱입니다. 블록 코딩 방식을 사용해서 쉽게 코딩을 시작할 수 있고 자신만의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어요.
➌ 엔트리(Entry)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앱입니다. 블록 코딩 방식을 사용해서 쉽게 코딩을 시작할 수 있고 자신만의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어요.
요즘 스크린 타임 기능은 시간 측정 말고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니 이를 활용하는 것도 좋아요. 예를 들어 특정 앱의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기능을 이용해 공부해야 하는 시간에는 게임 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죠. 또 요일별로 전자 기기 사용이 가능한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어요. 주중에는 공부와 휴식을 위해 스크린 타임을 줄이고, 주말에는 조금 더 여유롭게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거예요.
같은 시간 동안 화면을 보더라도 어떤 콘텐츠를 보느냐에 따라 나의 일상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꼭 공부를 하는 앱이 아니어도 괜찮아요. 새로운 요리나 사진 촬영 기술을 배우거나 음악을 만드는 등 전자 기기의 다양한 앱을 이용해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해 보세요. 더 알찬 스크린 타임을 즐길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