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 [가상 인터뷰] 잠자던 블랙홀이 다시 깨어났다!

우주 먹방 중 최고는 역시 블랙홀의 빛 먹방이야. 그런데 최근에 새로운 블랙홀이 먹방을 시작했대. 과학마녀 일리가 이 소식을 놓칠 수 없지! 얼른 인터뷰해 볼게. 

 

▲박동현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은하에 사는 블랙홀이야. 우리 블랙홀들은 주기적으로 활동하면서 빛과 주변 물질을 빨아들여. 나는 그동안 쉬고 있다가 얼마 전에 깨어나 다시 활동하기 시작했어. 그런데 날 계속 지켜보던 독일의 천문학자 파울라 산체스-사에즈 박사가 이를 알아챘지. 6월 18일, 산체스-사에즈 박사는 2019년 12월부터 6년간 모든 데이터를 공개하며 내가 활동을 다시 시작한 것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네가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는 걸 어떻게 알게 된 거야? 

 

내 주변으로 방출되는 빛이 갑자기 강해졌거든. 천문학자들은 우주를 관찰할 때 사람의 눈에 보이는 빛 말고도 자외선, 적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측정해. 그런데 잠잠했던 내 주변에서 몇 년 사이 급격한 빛의 변화가 감지됐어. 2022년 6월부터 내 주위 중적외선은 2배 이상 증가했고 2024년 2월부터는 엑스선이 방출되기 시작됐어. 그리고 자외선은 2004년 관측치보다 4배 이상 증가했지. 

 

 

블랙홀은 빛을 빨아들이는데 왜 네가 다시 활동하니까 빛이 강해진 거야? 

 

나는 가스나 먼지부터 별이나 은하까지 다 빨아들일 수 있는데, 나에게 끌려오던 물질은 ‘사건의 지평선’을 지나기 직전에 아주 강한 에너지를 방출해.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과 바깥 세상을 구분하는 경계로, 물질이 여길 지날 때 엄청난 열과 마찰이 일어나거든. 그래서 내가 활동하면 사건의 지평선 주변에서 오히려 강한 빛이 관측돼. 그리고 사건의 지평선을 지나면 그때부터는 빛조차 삼켜져 버리지!

 


너의 활동을 파악하는 게 왜 중요한 거야?

 

천문학자들은 블랙홀이 주기적으로 활동한다는 사실을 원래 알고 있었어. 하지만 멈춰 있던 블랙홀이 활동을 시작하는 순간을 실시간으로 관측한 건 이번이 처음이야. 나는 은하의 중심에 있어서 은하가 생기고 커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쳐. 그래서 나의 활동을 잘 알면 은하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지. 천문학자들은 이번 발견이 우주의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7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14호) 정보

  • 박현선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