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 [기자의 체험] 식물부터 공룡까지! 나도 과학 기자!

기자의 체험 취재 현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린이 기자들은 한택식물원에서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국립과천과학관에선 티라노사우루스와 우주에 대해 배웠답니다. 열정이 가득했던 어린이 기자들의 취재 현장을 살펴봐요.

 

 

작은 꽃마리와 커다란 바오바브나무까지!

 

 

4월 27일, 경기도 용인에 있는 한택식물원에 4명의 어린이 기자가 모였어요. 한택식물원 정향화 해설사를 따라 식물원 입구로 들어서자 무성하게 자란 식물들이 식물원 안을 가득 채우고 있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였지만 어린이 기자들은 커다란 나무가 만들어준 그늘 안에서 땀을 식힐 수 있었어요.

 

“오늘은 평소에 그냥 지나쳤을 꽃과 나무를 관찰할 거예요. 같이 숨겨진 보물찾기를 해 볼까요?”

 

정향화 해설사는 이렇게 말한 후 가장 먼저 옆에 심어진 냉이를 집어 들었어요. 그리고 냉이를 손바닥에 올려 반대 손으로 쓱쓱 비볐죠. 그러자 냉이에선 바스락바스락 소리가 났어요. 어린이 기자들은 냉이에서 나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이 모습을 신기해했습니다. 향긋함이 느껴진다며 오랫동안 냉이 냄새를 맡기도 했죠. 

 

식물원은 제법 오르막길이 많았어요. 하지만 어린이 기자들은 힘든 내색 없이 이곳저곳에 보이는 꽃들을 구경하며 정향화 해설사의 뒤를 열심히 따랐습니다. 한참을 걸어 도착한 곳에는 온실 정원이 있었어요. 그곳에 들어서자 커다란 나무 여러 개가 보였죠. 

 

“여기 보이는 나무가 소설 <어린왕자>에 나오는 바오바브나무랍니다.” 

“헉, 나무의 둘레가 엄청 두꺼워요!” 

 

강담희 어린이 기자가 바오바브나무의 둘레를 가늠해 보겠다며 나무를 끌어안고 외쳤어요. 또 나무줄기가 특이하게 생겼다며 손바닥을 나무줄기에 대고 문질러 거칠거칠한 촉감을 느끼기도 했죠. 이날 어린이 기자들은 냉이와 바오바브나무 이외에도 독초의 한 종류인 천남성, 노란색 꽃을 피우는 히어리, 작고 귀여운 꽃마리, 가늘고 긴 잎을 가진 창포 등 다양한 식물을 살폈답니다. 이파리 위에 앉아 있는 청개구리도 구경했죠. 모든 식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던 전지우 어린이 기자는 “집에서 달맞이꽃을 키우고 있을 만큼 식물을 좋아한다”며 “오늘 본 식물 중 손톱 크기의 꽃마리가 가장 인상 깊었다”고 소감을 전했어요. 

 

 

 

 

공룡과 우주를 한꺼번에 살펴요!

 

 

“으악, 진짜 커다랗고 무섭게 생겼어요!”

 

5월 10일, 경기도 과천에 있는 국립과천과학관은 23명의 어린이 기자로 붐볐어요. 공룡 연구 200주년을 기념해 설치된 세계 최대 크기의 티라노사우루스 골격 표본을 보러 온 거였죠. 8.8t(톤)에 달하는 티라노사우루스 표본은 버스 한 대 크기와 비슷했습니다.

 

이날 국립과천과학관 신영화 연구사는 티라노사우루스의 표본 앞에서 과학자들이 복원한 티라노사우루스의 뇌 모형과 티라노사우루스의 성장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어요. 강채원 어린이 기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티라노사우루스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많이 밝혀지는 게 신기하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으로 어린이 기자들은 일상 속에 담긴 과학 원리를 배우기 위해 과학 탐구관으로 향했어요. 자전거 바퀴를 직접 돌려보며 회전력과 관성에 대해 배우고, 병을 흔들어 그 안에 든 물과 식용유를 더 빨리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었죠. 어린이 기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였던 건 적외선과 자외선 카메라 앞에서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 살펴보는 활동이었어요. 이리저리 움직이며 일반 카메라 화면과 다르게 보이는 자신의 모습을 재미있게 바라봤답니다.

 

이어서 어린이 기자들은 일식과 월식을 설명하는 영상을 보고, ‘보이지 않는 우주’ 기획전도 관람했어요. 기획전은 우주방사선 등 어린이가 이해하기 조금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어린이 기자들은 마지막까지 조재일 연구사의 설명에 열심히 귀 기울였습니다. 이지민 어린이 기자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과,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가려지는 월식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며 “이 현상들을 주제로 해 기사를 쓸 예정”이라고 했어요. 이호준 어린이 기자는 “중성미자가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입자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6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12호) 정보

  • 진현경
  • 디자인

    정영진
  •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한택식물원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산림·작물·원예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