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개발에는 총 4000만 시간이 걸렸고 14개국에서 수천 명의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들이 참여했어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발사를 앞두고 개발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인터뷰1

“수천 명의 사람이 20년 넘게 노력한 헌신과 팀워크의 결과물입니다!”

찰스 바이크만(NASA 외계 행성 과학 연구소 소장)

 

 

 

 

 Q인류가 외계 행성을 탐색하고 탐험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저는 NASA 외계 행성 과학 연구소 소장입니다. 지상 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을 조합해 지구부터 목성까지 다양한 크기의 외계 행성들을 발견하고 관측해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하죠.
외계 행성을 찾는 이유는 탐험이 인간 본성의 일부이기 때문이에요. 인간은 호기심이 많은 동물입니다. 이러한 호기심은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이죠. 좀 더 현실적인 이유로는, 다른 행성에 대한 연구가 지구 환경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외계 행성의 대기 모형은 지구온난화를 해결하는 데 단서를 줄 수 있습니다. “지구에 쏟아지는 태양 빛의 양이 달라지면 어떻게 될까?”, “대기에 이산화탄소나 오존의 양의 더 많아지면 어떻게 될까?”와 같은 질문에 외계 행성이 답을 줄 수 있을 거예요.

 

 Q망원경 개발 과정 중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알파 센타우리라는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을 찾는 프로그램이 올해 초 승인됐을 때였어요. 앞으로 가장 행복한 순간은 곧 있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성공적인 발사와 완벽한 운용의 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개발에 참여한 15년의 세월이 결실을 맺을 것을 약속하는 만큼 기대하는 마음이 큽니다.
 


 Q발사를 앞두고 어떤 감정이 드나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아주 민감해서 빅뱅 이후 태어난 멀리 떨어진 은하와 성운, 이들로부터 형성된 별과 행성까지 탐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이미 궁금해 하던 질문에 답을 주기도 하겠지만, 새로운 질문거리를 만들어줄 수도 있겠죠.

 

 

 

 

 

인터뷰2

“제임스 웹은 우주에 대한 열망과 이해를 넓혀줄 거예요.”

매튜 그린하우스(NASA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ISIM 프로젝트 선임 연구원)

 

 

 

 Q망원경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저는 1997년부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ISIM 프로젝트 선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망원경이 관측하는 천체를 분석하는 데 쓰이는 과학 기기를 개발하고 관리했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결과는 어쩌면 우주과학과 천문학 교과서의 내용을 뒤바꿀 지도 모릅니다. 이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쌓인 첨단 기술 내용이 공학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죠.
 


 Q개발 중에 제일 기뻤던 일과 힘들었던 일이 궁금해요!


망원경의 과학 기기 개발을 전부 마치고 검증을 끝낸 뒤 망원경 본체에 과학 기기를 전부 실었을 때가 생각납니다. 2016년 3월이었는데 이때가 제일 기쁘고 행복했습니다. 아주 초기에 이 계획이 중단될 뻔한 큰 문제가 두 번 있었는데, 이때가 정말 힘들었습니다. 첫 번째 난관은 우주망원경이 커도 너무 커서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실어 보낼 로켓의 수납공간보다도 컸다는 점이었습니다. 또 다른 난관으로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극저온의 환경에서만 제대로 성능을 낼 수 있는데, 망원경이 너무 커서 냉각기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냉각시킬 수가 없었다는 점이었죠. 다행히 이 문제들은 주 거울을 접고, 망원경을 라그랑주 점으로 보내기로 하면서 해결됐죠.
 


 Q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려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개발에 참여한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입니다. 배경도 다양하고 출신지도 제각각이죠. 하지만 그들은 자신의 모든 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바쳤습니다. 전 어려서부터 우주선을 만들고 싶어 대학에 가서 과학을 공부했고,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도 그들이 사랑하는 것을 공부했습니다. 그 결과 모두 정말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해냈습니다. 여러분도 제가 그러했듯 과학에 영감과 용기를 얻어, 하고 싶은 것을 하길 바랍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2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항공·우주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