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를 직접 여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마인크래프트 월드에서 체험해보는 것은 가능합니다. 오늘은 태양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행성들을 코딩으로 쉽게 만들어 표현해 볼게요.
첫 번째 부글부글 태양을 만들자!
태양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므로 빛을 내는 블록을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용암 블록을 이용해서 태양을 만들고 용암이 흘러내리지 않게 스테인드글라스 블록으로 외곽선을 그릴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1’로 약속하세요.
➋ ‘고급-모양-공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가져온 뒤 블록을 ‘붉은 색 스테인드글라스’로 바꾸세요.
➌ ‘위치-월드 좌표’ 명령 블록을 가져와 그림과 같이 값을 바꾸세요. 자신이 만든 월드에 맞게 중심 좌표를 수정해도 괜찮지만 추가로 행성을 만들 때 행성의 중심 좌표를 쉽게 계산하려면 태양의 중심 좌표부터 간단한 수로 하는 정하는 것이 좋아요. 반지름과 모드타입도 그림과 같이 바꿔 주세요. 모드타입을 ‘외곽선’으로 설정하면 공 모양의 내부는 빼고 외곽선만 블록으로 채워져요.
➍ 같은 방법으로 ‘공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하나 더 가져와 ‘용암’ 블록으로 공 모양을 만드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중심 좌표는 같지만 반지름을 1칸 줄였어요.
➎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1’을 실행하세요. 완성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이때 코드를 수정하면 코드 실행이 중지되니 다 완성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잠깐! 태양을 더 크게 만들고 싶어요. 얼마나 큰 공 모양을 만들 수 있나요?
마인크래프트 월드에는 공의 크기 제한이 없지만 코드 작성기에는 있어요. y좌표 0에서부터 256까지만 공 모양을 만들 수 있거든요. 따라서 중심 좌표를 (0, 128, 0)으로 하고 반지름을 128로 하면 가장 큰 공 모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단, 만들어지는 데 5시간 정도 걸린답니다.
두 번째 지구와 달의 운동 표현하기
지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이에요.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고요. 이번에는 달과 지구를 만들고 달이 공전하는 모습을 표현해 볼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2’로 약속하세요.
➋ ‘공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가져온 뒤 블록을 ‘밝은 파란색 콘크리트’로 바꾸세요.
➌ ‘위치-월드 좌표’ 명령 블록을 가져와 그림과 같이 값을 바꾸세요. 앞서 만든 태양에서
x축 방향으로 50칸 떨어져 있는 위치예요.
➍ 반지름은 ‘5’, 모드타입은 ‘외곽선’으로 해주세요.
➎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2’를 실행하세요.
➏ 밝은 파란색 공 모양이 만들어지면 지구의 대륙 부분을 표현할 적절한 블록 골라 직접 설치하며 표현해 주세요.
➐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 명령 블록을 가져와 ‘보름달’로 약속하세요.
➑ ‘블록-블록 채우기’ 명령 블록을 가져와 블록 값을 ‘안산암’으로 바꾸세요. 달과 색깔이 비슷해 보이는 적절한 블록으로 선택하면 돼요.
➒ ‘월드 좌표’ 명령 블록을 가져와 시작과 끝 좌푯값에 각각 넣고 그림과 같이 값을 바꾸세요. 그림에 나타난 좌푯값은 지구의 중심 좌표에서 x축 방향으로 5칸 떨어진 곳이에요.
➓ ‘반복-일시중지’ 명령 블록을 가져온 뒤 시간 값을 ‘1000’으로 바꾸세요.
11 앞서 작성한 ‘블록 채우기’ 명령 블록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복사’를 선택해 가져온 뒤 블록 값을 ‘공기’로 바꾸세요. 달이 공전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달을 만든 다음 다시 안 보이게 만드는 명령이에요.
12 ‘채팅명령어’ 명령 블록을 가져와 ‘하현달’로 약속한 뒤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앞서 작성한 보름달 채팅명령어 코드를 복사한 뒤 수정하면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요.
13 같은 방법으로 채팅명령어 ‘삭’, 채팅명령어 ‘상현달’도 그림을 참고하여 만들어 주세요.
잠깐! 달의 위치를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달의 각 모양마다 위치 좌푯값을 정확히 입력해야 달이 공전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지만, 필요한 좌푯값을 계산하는 건 어려워요. 이때는 월드 설정에서 ‘좌표 보기’ 옵션을 켜고 플레이어가 달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좌푯값을 읽으면 쉽답니다.
14 ‘반복-무한반복 실행’ 명령 블록을 가져오세요.
15 ‘플레이어-다음 채팅명령어를 실행’ 명령 블록을 가져와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앞서 작성한 채팅명령어를 순서대로 무한반복 실행해주는 코드예요.
16 ‘반복-일시중지’ 명령 블록을 가져와 시간 값을 ‘1000’으로 바꾸세요. 채팅명령어가 너무 빨리 반복 실행되지 않도록 1초 동안 정지시켜요.
17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세요.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요.
세 번째 토성 만들기
토성은 아름다운 고리를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이번에는 ‘원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이용해서 토성을 만들어 봐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3’으로 약속하세요.
➋ ‘공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가져온 뒤 블록을 ‘갈색 테라코타’로 바꾸고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➌ ‘원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을 두 번 가져온 뒤 블록을 모두 ‘갈색 테라코타’로 바꾸세요. 중심의 좌표는 ‘공 모양 만들기’ 명령 블록과 같도록 하고 방향은 ‘y좌표’, 모드타입은 ‘외곽선’으로 해주세요. 반지름은 각각을 ‘15’와 ‘16’으로 설정하세요.
➍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3’을 실행하세요.
잠깐! 마인크래프트에서 행성들을 실제 비율로 표현한다면?
마인크래프트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원의 반지름은 128칸이에요. 만약 태양의 반지름을 128칸이라고 한다면 지구의 반지름은 1.17칸, 토성은 10.7칸 정도예요. 태양의 어마어마한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