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티브코딩쌤-마인크래프트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

 

 

마인크래프트에 어과동 400호 기념 마을이 만들어졌어요! 처음 제가 만들 때만 해도 거대한 환영 인사말과 축하 케이크, 플레이어들을 안내하는 NPC만 있었는데, 연 지 하루 만에 수많은 창작물로 채워져 깜짝 놀랐습니다. 
그럼 어과동 마을 제작기를 공개합니다!

 

어과동 마을, 어떻게 탄생했나?

“선생님, 도와주세요!” 지난 4월 이다솔, 이윤선 어과동 기자에게 전화가 왔어요. 어과동 400호를 기념하기 위해 마인크래프트에 어과동 마을을 짓고 싶다는 내용이었지요.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블록을 이용해 가상 세계를 건축하는 게임이에요. 올해 2월 이곳에서 미국 버클리대학교 졸업식 등이 열리며 마크는 실제 세계의 사회, 문화, 경제, 정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가상 세계 ‘메타버스’로 주목받기도 했지요. 마크의 어과동 마을, 어떻게 지었는지 보여 줄게요.

 

 

 

첫 번째 선택! 마크 베드락 에디션

 

마크는 처음으로 개발된 자바 에디션, 다양한 플랫폼에서 함께 플레이할 수 있도록 개발된 베드락 에디션, 학교 교육을 위해 개발된 교육용 에디션 등으로 나뉘어요. 이중 베드락 에디션은 윈도우10과 모바일 기기, 닌텐도 스위치와 같은 콘솔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어요. 


어과동 마을을 베드락 에디션에서 만들기로 한 것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안정적으로 함께 플레이할 수 있고, 처음 마크를 접하는 사람들도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답니다. 베드락 에디션은 윈도우의 경우 Microsoft Store, 모바일의 경우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찾을 수 있어요. 베드락 에디션을 실행한 뒤, 플레이 >; 새로 만들기 >; 새 월드 만들기 버튼을 눌렀어요.

 

두 번째 선택! 크리에이티브 모드

 

➊ 기본 게임 모드는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설정했어요. 서바이벌과 크리에이티브 중 후자를 선택한 것은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모든 건축 아이템을 쓸 수 있어, 저와 어과동 독자 플레이어들이 자유롭게 어과동 마을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➋ 월드 유형을 평면으로 설정했어요. 자유로운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물이 없는 평면이 좋아요.

 


➌ 월드 [옵션]에서 ‘좌표 보기’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옮겨 스위치를 켰습니다. 좌표를 봐야 앞으로 배울 ‘fill’ 명령을 사용할 수 있지요.

 

 

 

fill 명령어로 어과동 마을을 건축하라!

건축을 위해 크리에이티브 모드를 이용해도 되지만, 명령어를 쓰면 더 쉽게 건축할 수 있어요.    이번 화에서는 명령어를 활용한 건축법을 소개해요.

 

 

큰 구조물을 지을 때, 같은 블록을 일일이 채우는 대신 fill 명령어를 쓰면 건축할 대상을 한꺼번에 같은 블록으로 채울 수 있어요. 어과동 마을의 무대와 케이크는 많은 친구들이 함께 꾸밀 수 있을 만큼 아주 커야 하므로, fill 명령어를 써 만들었어요.


 fill 명령어는 <;시작 좌표>;와 <;끝 좌표>; 사이의 공간을 선택한 <;블록>;으로 빈 공간 없이 채운다는 뜻이에요. 위에서 [블록데이터]는 블록의 속성이에요. 예를 들어 ‘planks’를 쓰면 ’판자’ 블록이, ‘planks 2’를 쓰면 자작나무판자 블록이 채워져요. 

 

첫 번째 무대 제작하기

 

 

 

먼저 위 그림과 같이 바닥면에 큰 직육면체를 먼저 만든 뒤, 작은 직육면체를 위에 쌓았어요. 차례차례 살펴 볼까요?


➊ 월드를 생성하고 화면 왼쪽 위에서 플레이어가 있는 위치의 좌푯값이 (0, 4, 0)인지 확인했어요. 만약 좌푯값이 다르다면 이 좌표로 직접 이동해야 하지요. 
➋ 바닥면을 만들기 위해 다음 명령을 채팅창에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실행했어요.

 

 

 

→좌표 (41, 3, 41)에서부터 좌표(-21, 3, -21)까지 차지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을 stonebrick(석재벽돌)으로 채운다.


 

 

→좌표 (40, 3, 40)에서부터 좌표(-20, 3, -20)까지 planks 2 (자작나무 판자)로 채운다.

 

➌ 다음은 무대를 만들기 위한 명령이에요. 

 

 

 

→좌표 (36, 4, 36)에서부터 좌표(-16, 6, -16)까지 stonebrick(석재벽돌)로 채운다.

 

 

두 번째 케이크 제작

 

 

다음엔 fill 명령을 이용해서 무대 위에 3단 케이크를 만들었어요.

 

 

 

→좌표 (23, 7, 23)에서부터 좌표(-3, 15, -3)까지 concrete    (흰색 콘크리트)로 채운다.

 

 

 

→좌표 (18, 15, 18)에서부터 좌표(2, 21, 2)까지 concrete    (흰색  콘크리트)로 채운다.

 

 

 

→좌표 (7, 22, 7)에서부터 좌표(13, 27, 13)까지 concrete    (흰색 콘크리트)로 채운다.

 

 

 

세 번째 인사말 제작하기

 

➊ 블록으로 글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이 필요해요. 글씨의 바탕이 될 벽면을 다음 명령을 입력하여 만들어 줬어요.

 

 

→좌표 (30, 20, -16)에서부터 좌표(-12, 48, -16)까지 concrete 14(빨간색 콘크리트)로 채운다.

 

 

→좌표 (36, 20, -12)에서부터 좌표(36, 48, 32)까지 concrete 3(밝은 파란색 콘크리트)으로 채운다.


➋ 완성된 벽면의 가장자리에 있는 블록은 아래 그림처럼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직접 부수었어요. 벽면을 부드러운 모습으로 연출할 수 있지요.

 

➌ 글씨는 흰색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해서 직접 썼어요. 아이템 창을 열고 건축탭에서 흰색 콘크리트를 가져온 뒤, 글자 모양대로 생각해 벽면에 설치했어요.

 

 

 

네 번째 마무리 작업

 

무대로 올라가는 부분에 계단도 설치했어요. 아이템 창을 열어 건축탭에서 자작나무 계단 블록, 자작나무 판자, 석재 벽돌을 가져왔지요. 이어서 무대 가장자리의 석재 벽돌을 부순 뒤, 석재 벽돌 블록과 자작나무판자 블록으로 계단을 놓았어요. 마지막으로, 케이크도 모서리 부분을 다듬어 보다 자연스러운 케이크 만들어주었답니다.

 

 

 

6월 10일 저녁 7시, 유튜브에서 어과동 마을 잔치가 열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1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상민 교사
  • ‘스티브 코딩’ 유튜브 크리에이터
  • 에디터

    이다솔 기자 기자
  • 디자인

    최은영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문화콘텐츠학
  • 게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